$\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팽화발효홍삼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ffed and Fermented Red Ginseng on Blood Glucose-related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5, 2012년, pp.630 - 637  

박주헌 (한국식품연구원) ,  성기승 (한국식품연구원) ,  김성수 (한국식품연구원) ,  심건섭 ((주)그린바이오) ,  한찬규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팽화발효홍삼이 당뇨쥐의 혈당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SD계 수컷 흰쥐에게 STZ로 당뇨를 유발시킨 후 당뇨대조군(DC), 일반홍삼군(300 mg/kg, RG), 팽화 후 유산균 $Bifidobacterium$ $breve$$Lactobacillus$ $delbrueckii$의 혼합균주로 발효한 팽화발효홍삼군-1(300 mg/kg, BL) 및 Enterococcus faecalis로 발효한 팽화발효홍삼군-2(300 mg/kg, EF)로 나누어 각 실험시료를 5주간 경구투여한 결과, 실험기간 동안 BL군의 혈당은 DC, RG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p<0.05), 실험 5주째의 경우 DC, RG군뿐만 아니라 EF군보다도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경구당부하 검사 결과에서도 BL군이 통계적으로 가장 낮은 혈당수준을 유지하였고(p<0.05), 혈당 곡선하면적(AUC)은 DC군에 비해 BL군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실험종료 후 공복혈당은 BL군이 DC, RG군보다 유의하게 낮았고(p<0.05), 혈청 인슐린 농도 역시 BL군이 DC군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낮게 나타났으며(p<0.05), 인슐린저항성은 DC군에 비해 BL, EF군이 유의하게 낮았고(p<0.05), 그중 BL군은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당화혈색소(HbA1c) 함량은 BL군이 DC, RG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청 총콜레스테롤(TC) 농도는 DC군에 비해 RG, BL, EF군이 통계적으로 낮았고(p<0.05),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BL군이 DC군보다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에서 $B.$ $breve$$L.$ $delbrueckii$의 혼합균주를 사용하여 제조한 팽화발효홍삼은 혈당농도를 낮추고 혈당관련 지표성분 및 혈청 지질농도 개선에도 다소간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uffed and fermented red ginseng on blood glucose-related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Male Sprague-Dawley diabetic rats were orally injected with 0.85% NaCL as a diabetic control (DC), 300 mg/kg general red ginseng (RG),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팽화발효홍삼이 당뇨쥐의 혈당관련 지표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streptozotocin으로 유도한 당뇨쥐에게 발효 유산균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팽화발효홍삼농축액을 각각 5주간 경구투여하고 혈당변화 및 관련 지표성분 함량, 경구당부하 검사, 혈청 지질농도 등을 조사하고 일반홍삼과 비교 검토하여 기능성 팽화발효홍삼으로서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Fig. 1. Effects of puffed and fermented red ginseng on blood glucose level and area under the blood glucose curve after oral glucose tolerance test in STZ-induced diabetic rats. Experimental conditions are same as the annotation of Tabl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삼이란 무엇인가? 특히 식후혈당 개선효과(6-9)는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 주목할 만하며 최근에는 발효홍삼이 개발됨으로써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홍삼은 수삼을 쪄서 말린 것으로, 인삼사포닌, 페놀계화합물, 폴리아세틸렌, 산성다당체, 산성펩티드, 인삼단백질, sesquiterpene계 화합물, 리그난계 화합물인 고미신(gomisin-N, -A), 미량 알칼로이드 등의 생리활성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다(10-17). 이중 홍삼에 존재하는 자연상태의 사포닌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등은 체내로 직접 흡수되지 않고, Rh2, CompoundK 등과 같은 최종대사물로 전환되어 흡수되는데, 발효홍삼은 이러한 생물학적 전환을 사람의 장내 유익균인 유산균을 이용해 장에서 신속하게 흡수되어지도록 한 것이다(18).
일반적으로 당뇨병에 의한 질병 및 대사증후군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당뇨병은 인슐린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결핍으로 인하여 야기되며 여러 조직에서 인슐린 작용 저하에 의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의 대사 장애를 비롯하여 각종 병리학적 증세를 초래한다(1,2). 일반적으로 당뇨병에 의한 질병 및 대사증후군으로는 뇌졸중, 실명, 심근경색증, 만성신부전증 및 혈중 중성지방과 LDL-콜레스테롤의 증가, HDL-콜레스테롤의 감소 등의 지질대사 이상을 들 수 있다(3-5).
홍삼의 생리활성 물질 중 체내로 직접 흡수되지 않는 물질은? 홍삼은 수삼을 쪄서 말린 것으로, 인삼사포닌, 페놀계화합물, 폴리아세틸렌, 산성다당체, 산성펩티드, 인삼단백질, sesquiterpene계 화합물, 리그난계 화합물인 고미신(gomisin-N, -A), 미량 알칼로이드 등의 생리활성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다(10-17). 이중 홍삼에 존재하는 자연상태의 사포닌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등은 체내로 직접 흡수되지 않고, Rh2, CompoundK 등과 같은 최종대사물로 전환되어 흡수되는데, 발효홍삼은 이러한 생물학적 전환을 사람의 장내 유익균인 유산균을 이용해 장에서 신속하게 흡수되어지도록 한 것이다(18). 이러한 발효홍삼은 식후 혈당증가를 저하시키는 효과 및 당뇨병 세포모델에서의 산화스트레스 개선효과 등이 입증된 바 있다(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brams JJ, Ginsberg H, Grundy SM. 1982. Metabolism of cholesterol and plasma triglycerides in non-ketotic diabetes mellitus. Diabetes 31: 903-910. 

  2. Kannel WB, Megee DL. 1979.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JAHA 241: 2035-2038. 

  3. Treadway JL, Mendys P, Hoover DJ. 2001. Glycogen phosphoryl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Expert Opin Investig Drugs 10: 439-454. 

  4. Steinberg HO, Chaker H, Leaming R, Johnson A, Brechtel G, Baron AD. 1996. Obesity/insulin resistance is associated with endothelial dysfunction. Implications for the syndrome of insulin resistance. J Clin Invest 97: 2601-2610. 

  5. Hayden JM, Reaven PD. 2000. Cardiovascular disease in diabetes mellitus type 2: a potential role for nove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Curr Opin Lipidol 11: 519-528. 

  6. Vuksan V, Stavro MP, Sievenpiper JL, Koo VY, Wong E, Beljan-Zdravkovic U, Francis T, Jenkins AL, Leiter LA, Josse RG, Xu Z. 2000. American ginseng improves glycemia in individuals with normal glucose tolerance: effect of dose and time escalation. J Am Coll Nutr 19: 738-744. 

  7. Vuksan V, Sung MK, Sievenpiper JL, Stavro PM, Jenkins AL, Di Buono M, Lee KS, Leiter LA, Nam KY, Arnason JT, Choi M, Naeem A. 2006.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improves glucose and insulin regulation in well-controlled, type 2 diabetes: Results of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efficacy and safety. Nutr Metab Cardiovasc Dis 18: 46-56. 

  8. Vuksan V, Sievenpiper JL, Koo VY, Francis T, Beljan- Zdravkovic U, Xu Z, Vidgen E. 2000.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reduces postprandial glycemia in nondiabetic subjects and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rch Intern Med 160: 1009-1013. 

  9. Sievenpiper JL, Sung MK, Buono MD, Lee KS, Nam KY, Arnason JT, Leiter LA, Vuksan V. 2006. Korean red ginseng rootlets decrease acute postprandial glycemia: results from sequential preparation and dose-finding studies. J Am Coll Nutr 25: 100-107. 

  10. Sanata S, Kondo N, Shoji J, Tanaka O, Shibata S. 1974. Studies on the saponins of ginseng. I. Structure of ginsenoside- $R_0$ , $Rb_1$ , $Rb_2$ , Rc and Rd. Chem Pharm Bull (Tokyo) 22: 421-428. 

  11. Kimura M, Waki L, Chujo T, Kikuchi T, Hiyama C, Yamazaki K, Tanaka O. 1981. Effects of hypoglycemic components in ginseng radix on blood insulin level in alloxan diabetic mice and on insulin release from perfused rat pancreas. J Pharm Dyn 4: 410-417. 

  12. Yokozawa T, KobaYashi T, Oura H, Kawashima Y. 1985. Studies on the mechanism of the hypoglycemic activity of ginsenoside-Rb2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Chem Pharm Bull (Tokyo) 33: 869-872. 

  13. Kim CM, Han GS. 1985. Radioprotective effects of ginseng proteins. Yakhak Hoeji 29: 246-252. 

  14. Kim DJ, Seong KS, Kim DW, Ko SR, Chang CC. 2004. Antioxidative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s on paraquat- induced oxidative stress. J Ginseng Res 28: 5-10. 

  15. Kitagawa I, Taniyama T, Shibuya H, Nota T, Yoshikawa M. 1987. Chemical studies on crude drug processing. V. On the constituents of ginseng radix ruba (2): Comparison of the constituents of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prepared from the same Panax ginseng root. Yakugaku Zasshi 107: 495-505. 

  16. Choi JE, Han JS, Kang SJ, Kim KH, Kim KH, Yook HS. 2010. Saponin cont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ginseng extract pouch products collected from ginseng market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60-1665. 

  17. Shin YS. 2010. Comparisons of ginsenosid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hite ginseng and puffed red ginseng. Korean J Food Sci 26: 475-480. 

  18. Park SJ, Kim DH, Kim SS. 2006.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ginseng by lactic acid bacteria (FGL). J Ginseng Res 30: 88-94. 

  19. Je JH. 2007. Antidiabetic and oxidative stress relieving effects of fermented red ginseng.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0. Yang SJ, Woo KS, Yoo JS, Kang TS, Noh YH, Lee JS, Jeong HS. 2006. Changes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with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21-525. 

  21. Yoon SR, Lee MH, Park JH, Lee IS, Kwon JH, Lee GD. 2005. Changes in physicochemical compounds with heating treatment of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572-1578. 

  22. Han CK, Hong HD, Kim YC, Kim SS, Sim GS. 2007. Effect of puff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ginseng tail root. J Ginseng Res 31: 147-153. 

  23. Shin YS. 2010. Fermentation of red ginseng using CKDHC 0801 and CKDHC 0802.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469-474. 

  24. Reeves PG, Nielsen FH, Fahey GC.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s. J Nutr 123: 1939-1951. 

  25. Han CK, Kim SS, Choi SY, Park JH, Lee BH. 2009. Effects of rice added with mulberry leaves and fruit on blood glucose, body fat and serum lipid level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36-1341. 

  26. Matthews DR, Hosker JP, Rudenski AS, Naylor BA, Treacher DF, Tuner RC. 1985.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and beta-cell function from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man. Diabetologia 28: 412-419. 

  27. Hasegawa H, Sung JH, Matsumiya S, Uchiyama M. 1996. Main ginseng metabolites formed by intestinal bacteria. Planta Med 62: 453-455. 

  28. Akao T, Kanaoka M, Kobashi K. 1998. Appearance of compound K, a major metabolite of ginsenoside Rb1 by intestinal bacteria, in rat plasma after oral administrationmeasurement of compound K by enzyme immunoassay. Biol Pharm Bull 21: 245-249. 

  29. Odaka H, Matsuo T. 1992. Ameliorating effects of an intestinal disaccharidase inhibitor, AO-128,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Jpn Food Sci Nutr 45: 33-38. 

  30. Mogensen CE, Anderson MJF. 1973. Increased kidney size an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arly jurvenile diabetes. Diabetes 22: 706-712. 

  31. Heaton KW. 1973. Food fiber as an obstacle to energy intake. Lancet 2: 1418-1421. 

  32. Matkovics B, Kotorman M, Varga IS, Hai DQ, Varga C. 1998. Oxidative stress in experimental diabetes induced by streptozotocin. Acta Physiol Hung 85: 29-38. 

  33. Kahn CR. 1985. The molecular mechanism of insulin action. Ann Rev Med 36: 249-251. 

  34. Ng TB, Yeung HW, Lee HB. 1985. Hypoglycemic constituents of Panax ginseng. Gen Pharmacol 16: 549-552. 

  35. Lee HA, Kwon SO. 1997. Hypoglycemic action of components from red ginseng: (I)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ginsenosides from red ginseng on enzymes related to glucose metabolism in cultured rat hepatocytes. Korean J Ginseng Sci 21: 174-186. 

  36. Lee IS, Lee SO, Lee IZ. 2003. Effects of tissue cultured ginseng on blood glucose and lipid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Sci 35: 280-285. 

  37. Kim HS, Seong YH, Yang JW, Jeon BS, Park UY, Park WK, Oh KW, Choi KJ. 1997. Hypoglycemic effects of extract mixture of red ginseng and steamed Rehmaniae radix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Ginseng Sci 21: 169-173. 

  38. Cho YH, Shin HJ, Chang CH, Nam MS. 2006.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yogurt decreasing blood glucos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257-262. 

  39. Hwang KY, Kim YH, Cho YS, Park YS, Lee JY, Kang KD, Kim K, Joo DK, Ahn DK, Seong SI. 2008. Hypoglycemic effect of fermented soybean culture mixed with mulberry leaves on neonatal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52-458. 

  40. Remsberg KE, Talbott EO, Zborowski JV, Evans RW, McHugh-Pemu K. 2002. Evidence for competing effects of body mass, hyperinsulinemia, insulin resistance, and obese woma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Fertil Steril 78: 479-486. 

  41. Isomaa B. 2003. A major health hazard: the metabolic syndrome. Life Sci 73: 2395-2411. 

  42. Beck-Nielsen H. 1999.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prevalence and heritability. European Group for the study of Insulin Resistance (EGIR). Drugs 58 (Suppl I: 7-10); discussion 75-82. 

  43. Rhee SY, Chon S, Oh S, Kim SW, Kim JW, Kim YS, Woo JT. 2007. Insulin secre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newly diagnosed, drug naive prediabetes and type 2 diabetes patients with/without metabolic syndrome. Diabetes Res Clin Pract 76: 397-403. 

  44. Pinnell AE, Northam BE. 1978. New automated dye-binding method for serum albumin determination with bromocresol purple. Clin Chem 24: 80-86. 

  45. Levy RI. 1991. Cholesterol, lipoproteins, apolipoproteins and heart disease;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Clin Chem 27: 653-662. 

  46. Yamamoto M. 1984. Long term ginseng effects on hyperlipidemia in man with further study of its action on atherogenesis and fatty lover in rats. 4th Int'l Ginseng Symp. Ginseng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 13-2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