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강원지역 초등학생들의 급식유형(도시형, 농어촌형 및 도서벽지형) 별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 및 영양지식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Eating Behavior,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Food Service Type in Gangwon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5, 2012년, pp.638 - 646  

원향례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기쁨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급식유형이 다른 초등학생들의 식행동 및 식이자기효능감과 영양지식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급식유형에 따라 아동들의 바람직한 식행동을 형성하기 위한 영양교육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급식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부모의 교육정도, 부모의 직업, 출생순위, 형제 수, 월 소득으로 나타났다. 급식유형에 따른 식행동 평균 점수는 도시형, 농어촌형, 도서벽지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세부 문항별 점수 중 식사 시 영양지식의 활용 여부와 외식 빈도를 묻는 문항은 도시형, 농어촌형, 도서벽지형 순으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급식유형에 따른 식이자기효능감 평균점수는 도시형, 농어촌형, 도서벽지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급식유형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식이자기효능감 4개 영역의 전체 점수는 감정적 상태 영역, 음식의 선택 영역, 일반적 습관 영역, 사회적 환경 영역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급식유형에 따른 세부 문항 중 유의적 차이를 나타낸 문항은 일반적인 습관 영역에서 친구들과 속도를 맞추어 천천히 식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항과 음식의 선택 영역에서는 튀기거나 부친음식 대신 굽거나 찐 음식의 선택에 대한 문항이 농어촌형>도시형>도서벽지형의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사회적 환경 영역은 친구 생일잔치나 명절날 음식의 절제 대한 문항(도시형>농어촌형>도서벽 지형)과 감정적 상태 영역에서는 우울할 때 음식물의 절제에 대한 문항(도서벽지형>도시형>농어촌형)에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급식유형에 따른 영양지식의 평균점수는 농어촌형, 도시형, 도서벽지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급식유형에 따른 세부 문항 중 잠자기 전 간식 섭취와 체중증가의 관계를 묻는 문항(도시형 $0.90{\pm}0.31$, 농어촌형 $0.90{\pm}0.31$, 도서벽지형 $0.80{\pm}0.40$)과 비슷한 크기의 식품 간의 열량 비교 문항(농어촌형 $0.72{\pm}0.45$, 도시형 $0.71{\pm}0.45$, 도서벽지형 $0.57{\pm}0.50$)은 급식유형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급식유형에 따른 식행동, 식이자기효능감, 영양지식의 상관관계는 도시형, 농어촌형에서는 식행동, 식이자기효능감, 영양지식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도서벽지형에서는 영양지식과 식이자기효능감과 관계(r=0.280), 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과의 관계(r=0.510)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나, 영양지식과 식행동의 관계(r=0.123)는 상관 정도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식행동의 예측 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식행동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식이자기효능감과 영양지식을 독립변수로 단계별로 변수를 투입하여 회귀 분석한 결과 도시형(식이자기효능감, 영양지식)에서는 식이자기효능감과 영양지식이식행동에 영향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농어촌형(식이자기효능감)과 도서벽지형(식이자기효능감)에서는 식이자기효능감만이 식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급식유형에 따라서 식행동, 식이자기효능감, 영양지식간의 평균점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세부 항목에서는 급식유형별 차이를 나타내었고, 식행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eating behavior,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by comparing these item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food service type. The survey was made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759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ele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급식유형이 다른 초등학생들의 식행동 및 식이자기효능감과 영양지식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급식유형에 따라 아동들의 바람직한 식행동을 형성하기 위한 영양교육 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 및 영양지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있으나(29), 아직까지 급식유형 별로 비교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지역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식행동, 식이자기효능감, 영양지식수준을 조사하여 급식유형별로 비교해 봄으로써 급식유형 별 식행동 및 식이자기효능감과 영양지식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아동들의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과 건강관리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동기란? 학동기는 식습관이 형성, 고정되는 시기로 학교생활을 통한 자극 및 또래집단이 큰 영향을 미치고(1) 가치관이 완전히 확립되어 있지 않은 이 시기의 식습관은 반복학습의 결과라고 할 수 있으므로 영양교육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식습관 확립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2-5). 학령기에 습득한 건전한 식행동은 일생의 성장 발육과 건강을 지배하고 정서발달과 지적능력의 형성에도 매우 중요하므로(6-13), 영양교육의 효과성이 가장 큰 시기로 검증된 학령기 아동들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시급히 요구되는 과제이다.
영양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영양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교육적인 방법을 통해 식행동을 변화시켜 올바른 식습관을 유도하여 건강한 삶을 이루는 것이 목적이다(14).
강원지역 내 학교 급식유형은? 강원지역 내 학교급식의 최근 현황을 살펴보면 2006년부터 100%인 353개교의 모든 초등학교가 급식을 실시하고 있으며 도서벽지 교육진흥법(32)과 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대한 특별법(33)에 의거하여 행정단위, 학교규모와 급식물자 수급여건을 고려하여 급식유형을 분류하였다. 급식유형 별로 살펴보면, 도시형 급식은 86개교(24.4%), 농어촌형 급식은 154개교(43.6%), 도서벽지형 급식은 113개교(32.0%)로 보고되고 있다(34). 이는 도시형에 비해 농어촌 및 도서벽지형의 급식유형 형태가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Koo JO, Lee JW, Choi YS, Kim JH, Lee JH. 2006. Nutrition across the life span. Hyoil Pub. Co, Seoul, Korea. p 230. 

  2. Lim JY, Na HB. 2011. Effect of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yeonggi-do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6: 1-13. 

  3. Kwon DH, Han SN, Kim HK. 2011.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6: 183-194. 

  4. Son HG, Lee YK. 2010. Development of evaluation of an elementary schoo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breakfast skipping. Korean J Community Nutr 15: 740-749. 

  5. Lee YM, Lee MJ, Kim SY. 2005.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 in 4th-5th and 6th grade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1: 331-340. 

  6. Trahms CM. 2000. Nutrition in childhood. In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McGraw-Hill, Boston, MA, USA. p 298-302. 

  7.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0. Manual of food service management 3rd. 

  8. Shaible UE, Kaufmann SHE. 2007. Malnutrition and infection: complex mechanisms and global impacts. Plos Med 4: 806-812. 

  9. Alaimo K, Olson CM, Frongillo EA. 2002. Family food insufficiency, but not low family incom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ysthymia and suicide symptoms in adolescents. J Nutr 132: 719-725. 

  10. Sigfusdottir ID, Kristjansson AL, Allegrante JP. 2006. Health behaviour and academic achievement in Icelandic school children. Health Educ Res 22: 70-80. 

  11. Neumann CG, Murphy SP, Gewa C, Grillenberger M, Bwibo NO. 2007. Meat supplementation improves growth, cognitive and behavioral outcomes in Kenyan children. J Nutr 137: 1119-1123. 

  12. Kim SA, Lee BH. 2008. Relationships between the nutrient status, dietary habits,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Bucheon-si. Korean J Nutr 41: 786-796. 

  13. Lee KH, Hwang KJ, Her ES. 2001. A study on body image recognition, food habits,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f elementary children in Changwon. Korean J Community Nutr 6: 577-591. 

  14. Oh SY. 2006. Practical application of nutritional theory.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Workshop. 

  15. Choi MY, Kim HY. 2008. Nutrition knowledge, dietary self efficacy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student's stage of regular breakfast or exercise. Korean J Community Nutr 13: 653-662. 

  16. Lawrance L, McLeroy KR. 1986. Self-efficacy and health education. J Sch Health 56: 317-321. 

  17. Lee JS, Ha BJ. 2003. A study of the dietary attitud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ices in Kyeo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8: 171-180. 

  18. Lee JS, Yun JW. 2003. A study on perception about body imag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of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95-301. 

  19. Kwon SY, Han JI, Chung YJ. 2008. Relational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self efficacy and change of dietary behavior of nutrition professional. Korean J Nutr 41: 550-560. 

  20. Kang MJ. 2005.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21. Choi SJ. 1998. Dietary self-efficacy &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2. Guy S, Parcel EE, Chery LP, Henry AF. 1995. Measurement of self-efficiency for diet-related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Sch Health 65: 23-27. 

  23. Park DY. 2011. Utilizing the health belief model to predicti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of weight reduction by weight status.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5: 337-348. 

  24. Bandura AA. 1977. Self 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hychol Rev 84: 191-215. 

  25. Annesi JJ. 2011. Moderation of participant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s of changes in self-regulation for exercise with self-regulation for controlled eating, and selfefficacy for exercise with self-efficacy for controlled eating. Psychol Rep 108: 329-337. 

  26. Lee SY. 2001. The research study on the eating habit and food preferenc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wangju. Korean J Human Ecology 4: 46-61. 

  27. Kim YH, Seo JS. 2004. Dietary pattern of children with an unbalanced diet in school feeding. J Korean Dietetic Assoc 10: 345-355. 

  28. Kim SR. 2003. Relationships among nutritional knowledge, eating behavior and dietary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onbuk province.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buk, Korea. 

  29. Won HR. 2008. Relationships among eating behavior, dietary self 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9: 11-19. 

  3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s and Technology. 2010. Basic direction of school food service. 

  31. Kim SB, Choi HJ. 2008.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food exchange system: changes in elementary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s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13: 922-933. 

  32. Education Improvement Act for Islands and Isolated Areas. 2001. 

  33. Special Act of Development Promotion for Agriculture and Fishery Zone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the People in Agriculture and Fishery Industry. 2004. 

  34. Kangwon-do Office of Education 2010. Present condition of food service management. 

  35. Lee JY. 2001. A study of the effect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dietary self-efficacy and dietary practic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 118: 132-142. 

  36. Matthew MC, David BA, Raymond SN. 1991. Self-efficacy in weight management. J Consult Clin Psychol 59: 739-734. 

  37. Jung MK. 2001. Body mass index and dietary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13: 101-111. 

  38. Kim OH, Park HA, Cho YG, Kim KW, Hur Y, Song JH, Kang JH. 2010.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15: 717-726. 

  39. Jun SN, Ro HK. 1998. A study on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on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3: 65-72. 

  40. Sung CJ, Sung MK, Choi MK, Kim MH, Seo YC, Park ES, Baik JJ, Seo JS, Mo SM. 2003. Comparison of the food and nutrition ecolog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regions. Korean J Community Nutr 8: 642-651. 

  41. Kim KH. 2010. Food habits, eating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by gender and among Seoul and other regions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5: 180-190. 

  42. Won HR. 2003. A study of the college students'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attitude by comparing those of Korean oriental medicine major students and those of food and nutrition major student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4: 43-51. 

  43. Won HR, Park MW. 2004. Comparison of clinical nutrition knowledge and practice between Korean oriental medicine major students and food and nutrition major student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5: 151-157. 

  44. Won HR, Rhie SG. 2006. College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and practice toward dietary fat.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ence 17: 8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