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닝빵 반죽을 2차 발효 후에 microwave, 가압가열 및 microwave/가압가열 병행 처리를 하여 오븐에 굽기 전후 모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모닝빵의 pH는 가압가열 처리한 빵이 무처리구에 비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함량은 microwave 처리한 반죽을 오븐에 구운 빵(25~28%)이 무처리구(33%)와 비교 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빵의 색도 측정 결과, 겉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오븐에 굽지 않은 microwave 1분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무처리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빵 내부는 가압가열 처리한 빵에서 명도는 감소하였으며, 적색도 및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가압가열 처리한 빵에서 경도, 검성, 씸힘성 및 전단력이 무처리구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microwave 1분 처리 후 오븐에 구운 빵이 색, 향,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무처리구와 유사한 평가를 받았으나, 가압가열/microwave 병행 처리 후 구운 빵이 색, 향, 형태,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으로 모닝빵 반죽에 물리적 처리 시 빵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좋지 않게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이전 연구에서 빵의 알레르겐성을 가장 감소시 가압가열/microwave 병행 처리 후 오븐에 구운 빵이 품질 및 기호도 평가에서 가장 좋지 않은 결과를 보여 가압 가열 및 microwave 처리 후에도 빵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utoclave and microwave treatments on dough to determine if there were any changes in quality after the dough was cooked into bread. Wheat dough after secondary fermentation was treated with a microwave (1 min), an autoclave (30 min), and both an autoclave and microwave (30 m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모닝빵 반죽에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 시 밀 단백질인 gliadin의 알레르겐성을 감소시키는데 가장 효과를 보인 연구 결과에 따라(12)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에 의한 빵의 품질 변화를 평가함으로써 밀 알레르기 환자 치료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빵의 색은 굽고 난 후 색이 좋아야 먹음직스럽게 보일 뿐만 아니라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어 황갈색을 띠는 것이 좋으며, 빵의 색도는 pH, 당의 종류와 양, 온도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본 연구에서 속 내부가 가압가열 처리 후에 황색도 및 적색도가 크게 증가하여 모닝빵의 기호적 품질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밀의 영양학적 성분은? 밀은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으로 당질 70~74%, 단백질 10~14%, 지질 1.9~2.3%를 함유하고 있으며, thiamin, riboflavin, niacin 등의 비타민도 풍부하다(1). 밀가루는 주성분인 gluten 함량에 따라 강력분, 중력분, 박력분으로 나뉘는데 제빵용은 주로 강력분을 사용한다.
밀가루는 주성분인 gluten 함량에 따라 3가지로 나누면? 3%를 함유하고 있으며, thiamin, riboflavin, niacin 등의 비타민도 풍부하다(1). 밀가루는 주성분인 gluten 함량에 따라 강력분, 중력분, 박력분으로 나뉘는데 제빵용은 주로 강력분을 사용한다.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로 밀은 제2의 주식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빵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제빵산업의 규모는 연간 8,000억 원에 달하고 있다(2).
식품 알레르기를 치료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식품 알레르기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원인이 되는 식품을 회피하거나,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등의 약물 치료법 등이 알려져 있다(3). 그러나 이러한 치료법은 지속적인 치료가 불가능하며,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을 제거하거나 변형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현재 원인 단백질 제거 또는 변형 방법으로 효소처리(5), 열처리(6), microwave(7), 감마선 조사(8)와 같은 물리적 처리법을 이용한 식품알레르기 억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idhu JS, Al-Saquer J, Al-Zenki S. 1997. Comparison of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the extent of staling in bread. Food Chem 58: 161-167. 

  2. Food balance sheet. 2008.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3. Shon DW. 2000. Food and allergy. Food Sci Indus 33: 2-9. 

  4. Falchuk ZM, Gebhard RL, Sessoms C, Strober W. 1974. An in vitro model of gluten-sensitive enteropathy. J Clin Invest 53: 487-500. 

  5. Watanabe M, Miyakawa J, Ikezawa Z, Suzuki Y, Hirao T, Yoshizawa T, Arai S. 1990. Production of hypoallergenic rice by enzymatic decomposition of constituent proteins. J Food Sci 55: 781-783. 

  6. Son DY, Lee BR, Shon DW, Lee KS, Ahn KM, Nam SY, Lee SI. 2000. Allergenicity change of soybean proteins by thermal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59-963. 

  7. Kim SM, Park JG, Kim KBWR, Lee JW, Byun MW, Park SM, Ahn DH. 2006. Study on the changes in allergen and allergenicity originated from shrimp by physical treat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90-996. 

  8. Lee JW, Yook HS, Cho KH, Lee SY, Byun MW. 2001. The changes of allergenic and antigenic properties of egg white albumin (Gal d 1) by gamma irradi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500-504. 

  9. Park JY, Ahn JY, Hong HO, Hahn YS. 2004. Reduction of allergenicity of wheat flour by enzyme hydro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52-157. 

  10. Leszczy?ska J, Diowksz A, Ł?cka A, Bryszewska M, Wolska K, Ambroziak W. 2009. Decrease of wheat flour allergenicity via lactic acid fermentation. Food Agric Immunol 20: 139-145. 

  11. Leszczynska J, Ł?cka A, Szemraj J, Lukamowicz J, Zegota H. 2003. The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the immunoreactivity of gliadin and wheat flour. Eur Food Res Technol 217: 387-391. 

  12. Choi JS. 2012. Changes in allergenicity of wheat gliadi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 products by physical treatments.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91. 

  13. Therdthai N, Zhou W, Adamczak T. 2002. Optimization of the temperature profile in bread baking. J Food Eng 55: 41-48. 

  14. Demir MK, Elgun A. 2011. Comparison of autoclave, microwave, IR and UV-C stabilization of whole wheat flour branny fractions upon the nutritional properties of whole wheat bread. J Food Sci Technol DOI 10.1007/s13197-011-0475-0. 

  15. Walde SG, Balaswamy K, Velu V, Rao DG. 2002. Microwave drying and grinding characteristics of wheat (Triticum aestivum). J Food Eng 55: 271-276. 

  16. Vadlamani KR, Seib PA. 1996. Reduced browning in raw oriental noodles by heat and moisture treatment of wheat. Cereal Chem 73: 88-95. 

  17. Kang JS, Kang SK, Kim SK. 2009.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read medicinal herb composites with cognitive fun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131-1138. 

  18. Bae JH, Woo HS, Choi HJ, Choi C. 2001. Qualities of bread added with korean persimmon (Diospyros kaki L. folium) leaf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82-887. 

  19. Song JY, Lee SK, Shin MS. 2000. Effects of RS-3 type resistant starches on breadmaking and quality of white pan bread. Korean J Soc Food Sci 16: 90-96. 

  20. Lee BY, Lee ME, O JH, Kim EC, Surh JH. 2010.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read enriched with two types of wild grape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636-648. 

  21. Barcenas ME, Altamirano-Fortoul R, Rosell CM. 2010. Effect of high pressure processing on wheat dough and bread characteristics. LWT-Food Sci Technol 43: 12-19. 

  22. Ikeda M, Matsumori S, Akuzawa S. 2008. Effect of heatmoisture treatment on the digestibility and viscous characteristics of hard wheat flour and separated wheat starch. Food Preserv Sci 34: 203-2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