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팀빵의 발효횟수에 따른 품질특성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amed Bread with Repeated Fermentation Process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4, 2011년, pp.593 - 598  

최기보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숙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성오 (세미식품) ,  류홍수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은순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에서는 스팀빵을 1차부터 5차까지 발효시켜 일반성분, 물리적 특성, 전분 가수 분해율, 단백질 소화율,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최대 적정 발효횟수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1차 발효 스팀빵이 가장 낮았고 5차 발효 스팀빵이 유의적(p<0.01)으로 가장 높았고 단백질 함량은 1차 발효 스팀빵이 유의적(p<0.01)으로 가장 높았다. 물리적 특성에서 비용적은 1차 발효 스팀빵이 유의적(p<0.05)으로 가장 낮았고 발효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물성 특성에서는 발효횟수에 따라 견고성, 검성이 유의적(p<0.01)으로 감소하였고 응집성(p<0.05)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전분 가수분해율은 5차 발효 스팀빵이 1, 2, 3차 발효 스팀빵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고, 단백질 소화율은 5차 발효 스팀빵이 1, 2, 4차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관능평가에서는 색상의 흰 정도는 4, 5차 발효 스팀빵에서 유의적(p<0.01)으로 높게 나타났고 기공의 균일성은 4, 5차 발효 스팀빵에서 유의적(p<0.01)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촉촉한 정도(p<0.01), 응집성(p<0.01), 씹힘성(p<0.05), 전반적인 기호도(p<0.01)는 4차 발효 스팀빵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체 평균 점수에서도 4차 발효 스팀빵이 유의적(p<0.01)으로 가장 높은 관능평가 점수를 보였다. 이상을 살펴볼 때, 스팀빵의 발효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관능적인 측면에서 5차 발효까지는 과발효에 의한 불쾌취가 없었고 색상, 촉촉한 정도, 씹힘성, 단맛 등이 증가하였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보였으므로 발효 스팀빵의 발효횟수를 늘린다면, 부드러운 질감이 향상되어 입안의 식감을 높일 수 있는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발효횟수를 증가시킨 경우, 단백질 함량이 감소하고, 전분 가수분해율과 단백질 소화율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기존 스팀빵의 발효횟수를 적절히 증가시키는 경우, 관능적, 물성적 측면뿐 아니라 소화율도 높일 수 있는 향상된 품질의 신제품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amed bread by the number of times through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number of fermentations varied from 1 to 5 while the steamed bread was prepared by measuring the duration of fermentation, and samples were analyzed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빵류 중 스팀빵의 최대 발효횟수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전분 가수분해율, 단백질 소화율, 물성 및 관능특성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앞으로 스팀빵의 발효횟수 증가와 제품 특성 변화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스팀빵을 1차부터 5차까지 발효시켜 일반 성분, 물리적 특성, 전분 가수 분해율, 단백질 소화율,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최대 적정 발효횟수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1차 발효 스팀빵이 가장 낮았고 5차 발효 스팀빵이 유의적(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팀빵의 발효횟수에 따른 전분 가수분해율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스팀빵의 발효횟수에 따른 전분 가수분해율 결과를 Table 5에 제시하였다. 전분 가수분해율은 발효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차 발효 스팀빵이 가장 낮았으며 5차 발효 스팀빵이 1, 2, 3차 발효 스팀빵보다 유의적(p<0.05)으로 전분 가수분해율이 높게 나타났다. Snow와 O'Dea(24)는 밀가루의 전분 가수분해율을 17.6%로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5차 발효 스팀빵은 21.47%로 나타났다. Shin 등(25)은 이스트빵의 경우, 발효가 진행될 때 이스트에 당을 공급하기 위해 전분이 계속 말토오스로 분해된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의 스팀빵의 경우, 발효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분 가수분해율이 높아진 것이라 사료할 수 있겠다.
국내에서 소비되는 스팀빵의 형태는 무엇인가? 스팀빵은 중원의 찜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발달하였고 중국 북방 사람들의 약 2/3가 소비하는 주식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으며 주로 손으로 제조되고 있다(2). 국내에서는 스팀빵의 형태로 찐빵이 소비되고 있는데 중국이나 일본의 스팀빵 제조법과 다른 것은 빵 반죽에 팥 앙금, 야채 등을 넣고 이스트와 화학팽창제를 동시에 사용한다(3).
글루텐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또한 밀가루 제품은 반죽 시 형성되는 글루텐의 구성 성분중 일부가 장점막 세포막에 결합하여 설사, 복통 등 알레르기 장질환인 만성소화장애(celiac sprue)를 일으키며 동양인보다 서양인에게서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2,13). 만성소화장애는 글루텐 단백질이 포함된 식품을 섭취할 때 일어나는 경우가 많은데(14,15) 우리나라의 경우, 생활습관의 서구화로 빵류를 비롯한 밀가루 제품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비추어 볼 때 앞으로 만성소화장애에 대한 관심이 커질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ang IL. 2010. Chinese food cultural history. Minum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24-227. 

  2. Fan YD, Sun HY, Zhao JL, Ma YM, Li RJ, Li SS. 2008. QTL mapping for quality traits of northern-style handmade Chinese steamed bread. J Cereal Science 34: 1-5. 

  3. Kim CS, Hwang CM, Song YS, Kim HI, Jeong DJ, Han JH. 2001. Commercial wheat flour quality and bread making conditions for Korean-style steamed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120-1128. 

  4. Rubenthaler GL, Huang mL, Pomeranz Y. 1990. Steamed bread. I. Chinese steamed bread formulation and interaction. Cereal Chem 67: 471-475. 

  5. Bae JH, Bae MJ, Jung IC, Shin YJ, Lee BH, Kwon HJ, Hwang KS. 1999. Baking & confectionary. Hyungseul Publishing Co., Seoul, Korea. p 77-96. 

  6. Kim YM. 2002. Bread, cake, cookies. Dong-A Ilbo, Seoul, Korea. p 20-21. 

  7. Yoon MS, Kang SY, Kin JS. 2004. New Practices of baking & confectionary.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 30-40. 

  8. Cho YH, Woo KJ, Hong SY. 1994. The studies of Jeung- Pyun preparation. Korean J Soc Food Sci 10: 322-328. 

  9. Park YS, Suh CS. 1996.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Jeungpyun produc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2: 300-304. 

  10. Park KS, Park E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added Paecilomyces japonica powder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703-1708. 

  11. Yoon SJ. 2003. Mechan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different fermentation time. Korean J Food Cookery Sci 19: 423-428. 

  12. Stern M, Ciclitira PJ, Van Eckert R, Feifhery C, Jassen W, Mendez E. 2001. Analysis and clinical aspects of gluten in coeliac disease. Eur J Gastroenterol Hepatol 13: 741-747. 

  13. Neuhausen SL, Feolo M, Camp NJ, Farnham J, Book L, Zone JJ. 2002. Genome-wide linkage analysis for celiac disease in North American families. Am J Medical Genetics 111: 1-9. 

  14. Silano M, De Vincenzi M. 1999. Bioactive antinutritional peptides derived from cereal prolamines: a review. Nahrung 43: 175-184. 

  15. Shan L, Molberg O, Parrot I, Hausch F, Filiz F, Gray GM, Solid LM, Khosla C. 2002. Structural basis for gluten intolerance in coeliac sprue. Science 297: 2275-2279. 

  16. Cummins AG, Roberts-Thomson IC. 2009. Prevalence of celiac disease in the Asia?Pacific region. J Gastroenterol Hepatol 24: 1347?1351. 

  1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c., Washington, DC, USA. 

  18. Singh U, Kherdekar MS, Sambunathan R. 1982. Studies on desi and kabuli chickpea (Cicer arietinum L.) cultivars. The level of amylase inhibitors, levels of oligosaccharides and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J Food Sci 47: 510-516. 

  19. Xue Q, Newman RK, Newman CW. 1996. Effects of heat treatment of barley starches on in vitro digestibility and glucose responses in rats. Cereal Chem 73: 588-593. 

  20. Satterlee LD, Marshall HF, Tennyson JM. 1979. Measuring protein quality. J Am Oil Chem Soc 56: 103-109. 

  21. Lee HY. 2001. Food preparation. Kyomunsa Publication Co., Seoul, Korea. p 107-108. 

  22. Shin KM. 2008. Cereal and baking science of technology. Gi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03-504. 

  23. Choi SE, Lee JM. 1993. Standardization for preparation of traditional Jeung-pyun.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655-660. 

  24. Sonw P, O'Dea K. 1991. Factors affecting the rate of hydrolysis of starch in food. Am J Clin Nutr 34: 2721-2727. 

  25. Shin MS, Kim WS, Lee KY, Kim MJ, Yoon HH, Kim SR. Foods-experimental perspective . Life Science Publication Co., Seoul, Korea. p 356-358. 

  26. Coulston AM, Hollenbeck CH, William RA, Starich GH, Mazzaferri EL, Reaven GM. 1984. Effect of source of dietary carbohydrate on plasma glucose, insulin, and gastric inhibitory polypeptide responses to test meals in subjec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m J Clin Nutr 40: 965-970. 

  27. Elizabeth C, Gerald FF. 1999. Food fermentations: role of microorganisms in food production and 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50: 131-1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