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구급대의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 및 교육 현황 분석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rehospital Emergency Care and Education i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5, 2012년, pp.2117 - 2124  

노상균 (선문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이재국 (선문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김지희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119구급대의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와 교육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구급대원 29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119구급대원들의 전공분야는 응급구조학이 124명(41.5%)으로 가장 많았고, 소방관련학이 46명(15.4%), 간호학이 30명(10.0%), 보건관련학이 3명(1.0%), 기타가 96명(32.1%)이었다. 119구급대원들이 소지한 자격증으로는 1급 응급구조사가 114명(38.1%), 2급 응급구조사가 101명(33.8%), 소방 교육이수자가 42명(14.0%), 간호사가 28명(9.4%), 기타 14명(4.7%)순으로 나타났다. 시행한 응급처치 빈도로는 산소흡입(274건), 사지 고정(229건), 척추고정(229건), 외부출혈의 지혈(223건), 약물투여(7건), 정맥로 확보(4건)순으로 나타났다. 병원 전 응급처치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잘 훈련된 전문 인력의 구급차 탑승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응급구조사의 지속적인 충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실무중심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the study of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on emergency medical treatment by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personne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9 emergency medical service personnel.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to August 31 of 2010, and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The maj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구급대원들의 교육 이수와 관련된 문항으로 최근 1년 동안 교육받은 횟수, 교육을 진행한 기관, 1년 동안 희망 하는 교육 횟수, 희망하는 교육기관 등을 알아보았다. 그결과 최근 1년 동안 1회 교육을 이수한 구급대원이 132명(44.
  • 구급대원들이 응급처치 중 느끼는 애로사항 중 3가지 이내의 선택사항으로 다중응답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인력 부족이 212명(70.
  • 이 연구에서는 2010년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대구ㆍ경북에 있는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응급처치 실태와 응급처치 관련 교육현황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설문을 통하여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와 응급처치 관련 교육 현황과 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 자료 수집은 2010년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항목의 구성으로 구급대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 전공분야(전공, 종전 근무지, 관련자격증), 근무환경(근무기간, 근무형태, 출동인원, 기자재 적절성, 상황실 근무자), 응급 처치 빈도, 응급처치 시 애로사항, 교육훈련, 희망하는 교육 내용과 기관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 12.
  • 이 연구의 대상은 대구ㆍ경북 지역에서 근무하는 119 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우편설문으로 하였다. 설문방법은 연구자가 각 지역 관할 소방서에 전화를 하여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한 후 협조를 구하였으며, 406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결과 322부가 회수되어 79%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이 중 응답 내용이 미비하거나 불완전하여 분석에 사용할 수 없는 23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99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데이터

  • 자료수집 방법은 우편설문으로 하였다. 설문방법은 연구자가 각 지역 관할 소방서에 전화를 하여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한 후 협조를 구하였으며, 406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결과 322부가 회수되어 79%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이 중 응답 내용이 미비하거나 불완전하여 분석에 사용할 수 없는 23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99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2010년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대구ㆍ경북에 있는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응급처치 실태와 응급처치 관련 교육현황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설문을 통하여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와 응급처치 관련 교육 현황과 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 이 연구의 대상은 대구ㆍ경북 지역에서 근무하는 119 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우편설문으로 하였다.

데이터처리

  • 자료 수집은 2010년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항목의 구성으로 구급대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 전공분야(전공, 종전 근무지, 관련자격증), 근무환경(근무기간, 근무형태, 출동인원, 기자재 적절성, 상황실 근무자), 응급 처치 빈도, 응급처치 시 애로사항, 교육훈련, 희망하는 교육 내용과 기관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평균, 백분율 등을 기술통계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 전 단계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병원 전 단계에서는 일반인 단계, 일차 반응자 단계, 기초응급의료 제공 단계 그리고 전문응급의료 제공 단계로 구분되는데 각 단계에서의 적절한 병원 전 응급의료서비스의 제공은 환자의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그러나 국내의 일반인 단계 및 일차 반응자 단계의 응급의료 제공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기초 및 전문 응급의료 제공 단계에서는 전문 응급의료서비스가 뒤따르지 않는 기본적인 응급의료서비스만을 제공할 뿐인데도 그 적절성에 대하여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오고 있다[2-4].
응급의료서비스란 무엇인가? 응급의료서비스는 응급환자를 위하여 행하여지는 상담, 구조, 이송, 응급처치 및 진료 등의 조치를 의미하며, 응급의료체계는 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인력, 중환자 치료 단위, 교육, 훈련, 공공 안전망 등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사회적인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병원 전 단계에서 구급대원에 의해 시행되는 의료서비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따라서 소방인력 기준에 관한 규칙 및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규정을 준수한 응급구조사 탑승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응급구조사의 지속적인 충원이 필요하다. 또한 이들의 응급처치의 술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발생빈도는 낮지만 발생 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항목을 기준으로 실무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 H. Brice, "Optimal prehospital cardiovascular care", Prehosp Emerg Care, Vol 5, No 1, pp. 65-72, 2001. 

  2. P. E. Pepe, V. N. Mosesso, J. L. Falk, "Prehospital fluid resuscitation of the patient with major trauma", Prehosp Emerg Care, Vol 6, No 1, pp. 81-91, 2002. 

  3. I. G. Stiell,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in out-of hospital cardiac arrest", N Engl J Med, Vol 12, No 7, pp. 647-56, 2004. 

  4. H. E. Wang, D. M. Yealy, "Out-of-hospital endotracheal intubation: where are we?", Ann Emerg Med, Vol 47, No 6, pp. 532-41, 2006. 

  5. Y. Kim, "The basic planning and assessment of emergency medicine", Final repor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Report No, Policy health-2005-21, 2005. 

  6. J. S. Jeong, K. J. Hong, S. D. Shin, G. J. Suh, K. J. Song, "Evalu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Prehospital Emergency Care by 119 Rescue Servic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Emerg Med, Vol 9, No 3, pp. 233-241, 2008. 

  7. H. A. Bae, et al, "Study of the appropriateness of 119 rescue usage", J Korean Soc Emerg Med, Vol 15, No 1, pp. 36-44, 2004. 

  8. S. H. O, et al, "An analysis of prehospital care by 119 rescue services", J Korean Soc Emerg Med, Vol 17, No 2, pp. 99-106, 2006. 

  9. S. J. Eun, et al, "Prospective multicenter evaluation of prehospital care by 119 rescue services", J Korean Soc Emerg Med, Vol 18, No 3, pp. 177-89, 2007. 

  10. S. G. Roh, "A Survey on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the Improvement of Acute Coronary Syndrome Assessments", J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22, No 3, pp. 293-299, 2008. 

  11.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The law about emergency medical car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partial revision 2002. 

  12. K. H. Lee, et al, "The Retrospective Research of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EMS) System using the new Standardized Record of the 119 EMS system", J Korean Soc Emerg Med, Vol 9, No 2, pp. 220-230, 1998. 

  13. R. E. Cross, L. M. Riggs,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 hospital's role in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New Mexico: FACEP, pp. 15-16, 1984. 

  14.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To set up a system for the evaluation and monitoring of emergency medical organization (facility)",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pp. 204-10, 1999. 

  15. M. J. Kim, "Assessment of appropriateness for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Inje University, 2010. 

  16. E. Bryan, S. Robert, R. Bruce, "Paramedic Emergency Care", 3rd ed, pp. 20-29, 1997. 

  17. S. Y. Ryu, et al, "Needs for Appraisal of the Quality of Prehospital Patient' Care and for Reeducation", J Korean Soc Emerg Med, Vol 11, No 2, pp. 140-51, 2000. 

  18. K. H. Kang, "The First Responder's retention of knowledge and skill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 Gachongil College, pp. 381-389, 2001. 

  19. Y. C. Choi, et al, "Analysis of adul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kill performed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fire department", J Korea Institute Fire Sci & Eng, Vol 18, No 1, pp. 13-17, 2004. 

  20. M. S. Kim, J. Y. Jun, J. G. Yoon, "A Comparative study on Cognition of the task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 Knowledge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9, No 2, pp. 629-645, 2009. 

  21. P. Safar, S. W. Winchell, "Teaching and testing lay and paramedical in CPR", Anesth Anag, Vol 45, No 1, pp. 441-449, 1966. 

  22. H. J. Berden, et al, "How frequently should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be repeated to maintain adequate skills?", BMJ, Vol 12, No 306, pp. 1576-1577, 1993. 

  23. J. M. Thompson, D. G. Curry, "Medical direction and contro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Canada", CMAJ, Vol 1, No 11, pp. 1945-53, 1993. 

  24. S. Y. Shin, "From Patients and Caregivers 119 Rescue party's Experiences for Violence in the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Field",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0, No 12, pp. 3870-3878,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