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와 관련요인
Difference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cial Class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5, 2012년, pp.2189 - 2198  

임경태 (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권인선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  김순영 (중부대학교 간호학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  남해성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측정하고, 이러한 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의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년-2009년) 자료를 이용하여 20-69세 성인 7,992명을 대상으로 성별로 층화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인 EQ-5D index의 사회계층별 분포를 보면, 남자에서는 신중간층(II계층)이 0.96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상위 및 중상위계층(I계층)이 0.965점, 노동계층(IV계층) 0.958점, 구중간층(III계층) 0.955점, 하위계층(VI계층) 0.941점, 농촌자영자층(V계층) 0.918점 순이었다. 여자에서는 신중간층이 0.95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상위 및 중상위계층이 0.955점, 노동계층 0.936점, 구중간층 0.932점, 하위계층 0.908점, 농촌자영자층 0.866점 순으로 계층 간 차이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사회계층별 차이에 기여하는 요인은 남성의 경우 만성질환, 업무스트레스, 교육, 소득수준 등이었고, 여성의 경우 이들 변수와 함께 건강행태가 기여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낮은 사회계층일수록 낮은 건강관련 삶의 질을 보이며, 교육과 소득수준을 제외하면 만성질환 유병이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difference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social classes and explore the factors that may explain it. Study subjects were 7,992 Korean adults aged 20-69 from the 4th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data. W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EQ-5D index를 종속변수로 하고 사회계층을 독립변수로 한 회귀분석에서 연령을 보정한 모형Ⅰ, 건강행태(음주상태, 수면시간)를 추가로 보정한 모형Ⅱ, 업무 스트레스를 추가로 보정한 모형Ⅲ, 만성질환(9개 만성질환 변수들)을 추가로 보정한 모형Ⅳ, 교육수준을 추가로 보정한 모형 Ⅴ, 소득수준을 추가로 보정한 모형Ⅵ을 제시하였다. 또한, 변수 추가에 따른 R2 변화량을 파악하여 추가된 변수가 EQ-5D index의 변이를 설명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20-69세 성인 7,992명에서 사회계층 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의 차이, 즉 EQ-5D index의 차이를 측정하고, 이러한 계층 간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인구 사회학적요인, 건강행태, 스트레스, 만성질환 요인 등이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4기(2007년-2009년)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계층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측정하고, 그 차이에 기여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경제적 건강 불평등이란? 사회경제적 건강 불평등은 교육수준, 직업계층, 소득 수준, 재산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위치(socioeconomic position)에 따른 건강상의 차이를 의미한다. 사회경제적 건강 불평등과 같은 의미로 ‘건강 형평성(health equity)’이라는 용어도 사용되어 왔는데, 국제건강형평성학회 (International Society for Equity in Health)는 건강 형평성을 “사회적, 경제적, 인구학적 또는 지리적으로 정의된 인구집단 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에서 건강상의 잠재적으로 치유 가능한 체계적 차이의 부재”로 정의하였다[1, 2].
우리나라 성인의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측정하고, 이러한 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의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을 파악한 조사의 결론은 무엇인가?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사회계층별 차이에 기여하는 요인은 남성의 경우 만성질환, 업무스트레스, 교육, 소득수준 등이었고, 여성의 경우 이들 변수와 함께 건강행태가 기여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낮은 사회계층일수록 낮은 건강관련 삶의 질을 보이며, 교육과 소득수준을 제외하면 만성질환 유병이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관련 삶의 질의 사회계층별 차이에 기여하는 요인을 성별에 따라 파악하면? 866점 순으로 계층 간 차이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사회계층별 차이에 기여하는 요인은 남성의 경우 만성질환, 업무스트레스, 교육, 소득수준 등이었고, 여성의 경우 이들 변수와 함께 건강행태가 기여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낮은 사회계층일수록 낮은 건강관련 삶의 질을 보이며, 교육과 소득수준을 제외하면 만성질환 유병이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acinko JA, Starfield B. Annotated bibliography on equity in health, 1980-2001. Int J Equity Health, 1, pp. 1-20, 2002. 

  2. Khang YH. Life course approaches to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Korean J Prev Med Public Health, 38(3), pp. 267-275, 2005. 

  3. Cockerham, William C. Health Behavior, Medical Sociology, Printice Hall, 1995. 

  4. Grabb, E. Theories of social inequalities : Class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1990. 

  5. Kim HR.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s with morbidity in Seoul,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5(2), pp. 3-35, 2005. 

  6. Kim MK, Chung WJ, Lim SJ, Yoon SJ, Lee JK, Kim EK, Ko LJ. Socioeconomic inequity in self-rated health status and contribution of health behavioral factors in Korea. Korean J Prev Med Public Health, 43(1), pp. 50-61, 2010. 

  7. Yoon TH.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distribution and mortality. Korean J Helath Policy & Administration, 13(4), pp. 99-114, 2003. 

  8. Kim CY. Socio-economic status, health, and health risk behavior, health welfare forum, 2004. 

  9. Kim HR.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its trends in cigarette smoking in South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7(2), pp. 25-43, 2007. 

  10. Kil SR, Lee SI, Yoon SC, An HM, Jo MW. The declin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ociated with some diseases in Korean adults. Korean J Prev Med Public Health, 41(6), pp. 434-441, 2008. 

  11. Yoon TH, Moon OR, Lee SY, Jeong BG, Lee SJ, Kim NS, et al. Difference in health behaviors among the social strata in Korea. Korean J Prev Med, 33(4), pp. 469-476, 2003. 

  12. Kim HR, Khang YH, Yoon KJ, Kim CS. Scioecomomic health inqualities and counter policies in Korea. Seoul : Korea Institud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p. 44-56, 2004. 

  13. Lee YK, Nam HS, et al.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states. Value in Health, 12(8), pp. 187-1193, 2009. 

  14. Chandola J, Bartley M, Wiggins R, Schofield P. Social inequalities in health by individual and household measures of social position in a cohort of healthy people.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57(1), pp. 56-62, 2003. 

  15. Dowd JB, Zajacova. Does the predictive power of Self-rated health for subsequent mortality risk vary by socioeconomic status in the US. Int J Epidemiol, 36(6), pp. 12(4-122), 2007. 

  16. Kim YM, Kim MH.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 Current conditions and implications. Korean J prev Med Public Health, 40(6), pp. 431-438, 2007. 

  17. Son MA. The relationship of social class and health behaviors with morbidity in Korea. Korean J prev Med Public Health, 35(1), pp. 57-64, 2002. 

  18. Yoon TH.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among the social strata in Korea.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0. 

  19. Pekkanen J, Tuomilehto J, Uutela A, Vartiainen E, Nissinen A. Social class, health behaviour, and mortality among men and women in eastern Finland. BMJ, 311, pp. 589-593, 1995. 

  20. Lantz PM, House JS, Lepkowski JM, Williams DR, Mero RP, Chen J. Socioeconomic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mortality: result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prospective study of US adults. JAMA, 279, pp. 1703-1708, 1998. 

  21. Schrijvers CTM, Stronks K, van de Mheen HD, Mackenbach JP. Explaining educational differences in mortality: the role of behavioral and material factors. Am J Public Health, 89, pp. 535-540, 1999. 

  22. Woodward M, Oliphant J, Lowe G, Tunstall-Pedoe H. Contribution of contemporaneous risk factors to social inequality in coronary heart disease and all causes mortality. Prev Med, 36, pp. 561-568, 2003. 

  23. Adler NE, Boyce T, Chesney MA, Cohen S, Folkman S, Kahn RL, Syme SL.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The challenge of the gradient. Am Psycholo, 49(1), pp. 15-24, 1994. 

  24. Adler NE, Ostrobe JM.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Ann New York Acad Sci, 896, pp. 3-15, 1999. 

  25. Marmot M, Wilkinson RG. Psychosocial and material pathways in the relation between income and health: a response to Lynch, Olsen J, Melbye M, Olsen SF, Sorensen TIA, Baby P, Andersen AMN, Taxbol D, Hansen KD, Juhl M, Schow TB, Sorensen HT, Andresen J, Mortensen EL, Olesen AW, Sondergaard C. BMJ, 322, pp. 1233-1236,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