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Operating Model and Standard Courses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6 no.2, 2012년, pp.55 - 82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안인자 (동원대학교 아동문헌정보과) ,  최상기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운영모형을 조사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운영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며, 운영모형에 기반하여 한국문헌정보학 표준교과목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외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그리고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관종별 직무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필수교과목, 핵심교과목, 그리고 선택교과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필수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사서실습이다. 핵심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이다. 선택과목은 총 20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 영역 4개 과목(도서및도서관사, 지식정보사회와 도서관, 도서관과저작권, 문헌정보학연구방법론), 정보조직학 영역 2개 과목(메타데이터의 이해, 한국문헌자동화목록실습), 정보조사제공학 영역 3개 과목(정보활용교육론, 독서지도론, 정보이용자연구), 도서관 정보센터경영학 영역 4개 과목(도서관협력론, 관종별도서관운영론, 도서관마케팅, 비도서자료관리론), 정보학 영역 6개 과목(데이터베이스운영론, 색인초록론, 정보학개론, 정보시스템론, 도서관시스템자동화, 도서관정보네트워크), 기록관리학 영역 1개 과목(기록보존론)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eeks to develop a curriculum operating model for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ased on investigations into LIS curricula at home and abroad. Standard courses that can be applied to this model were also proposed.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contents of domestic an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필수과목 6개는? 첫째,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필수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사서실습 등이다.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핵심과목 6개는? 둘째,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핵심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 등이다.
문헌정보학 교과목 내용 연구는 어떠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연구로서 교과내용에 관한 연구를 제안하고자하며, 교과목 내용 연구는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첫째, 문헌정보학 교육내용표준화, 둘째, 교재개발을 위한 목차 구성 및 내용, 셋째, 문헌정보학 교육계획안 작성 기초자료, 넷째, 사서 훈련 교과목 내용 기준, 다섯째, 능력 평가 세부내용, 여섯째, 사서공무원 채용시험 내용 표준화 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곽동철, 심경, 윤정옥. 2008. 사서직원 자격요건 개정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Kwak, Dong Chul, Shim, Kyung, & Yoon, Cheong-Ok. Saseo Jig-won Jagyeok Yogeon Gaejeong-eul Wihan Gicho Yeongu.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 노동조. 2009.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451-468.(Noh, Dong-Jo.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curriculum for educ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4): 451-468.) 

  3.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1.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5-29.(Noh, Younghee, Ahn, In-Ja, & Choi, Sang-Ki. 2011. "A study on evaluating the practicalnes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ours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5-29.) 

  4.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2a.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서울: 조은글터.(Noh, Younghee, Ahn, In-Ja, & Choi, Sang-Ki. 2012a. Hanguk Munheon Jeongbohak Gyogwa Gwajeong. Seoul: Joeungeulteo.) 

  5.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2b.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신규교과목 개설추이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1): 29-53.(Noh, Younghee, Ahn, In-Ja, & Choi, Sang-Ki. 2012b. "A study on new courses offered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1): 29-53.) 

  6. 안인자, 최상기, 노영희, 김혜주. 2012. 학부 이수교과목 분석을 통한 현장 사서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1): 27-52.(Ahn, In-Ja, Choi, Sang-Ki, Noh, Younghee, & Kim, Hyejoo. 2012. "A study on a continuing educational program for librarians: Based on analysis of university credit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1): 27-52.) 

  7. 엄영애. 2003. 문헌정보학과의 코어 교과목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3): 33-49.(Um, Young-Ai. 2003. "A study on the core courses of the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3): 33-49.) 

  8. 최상기, 안인자, 노영희, 김주섭. 2011. 북미대학의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 사례 분석 I.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4): 145-167.(Choi, Sang-Ki, Ahn, In-Ja, Noh, Younghee, & Kim, Ju-Sup. 2011. "An analysi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in North Americ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4): 145-1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