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영지역 임산부의 생선섭취가 제대혈의 수은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ish Consumption on Umbilical Cord Blood Mercury Level in Pregnant Women in the City of Tongyeong,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7 no.1, 2012년, pp.74 - 80  

장철원 (통영미래산부인과) ,  김상현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최종덕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류는 두뇌발달에 중요한 영양소이기도 하지만 신경독인 메틸수은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틸수은은 임산부가 임신 중에 태아의 두뇌에 치명적인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생선소비와 임산부 제대혈 중의 메틸수은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통영지역 임산부 159명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부터 2011년 3월 사이에 임산부의 생선소비와 제대혈의 수은농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어류소비 관련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고 통계처리는 one way ANOVA 를 이용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임산부의 평균나이는 30.1세이었고 임산부 제대혈의 수은 함량은 0.01-14.80 ppb 범위에 평균 $2.69{\pm}2.50ppb$이었다. 제대혈의 평균 수은함량은 WHO 기준인 5.0 ppb를 초과하지는 않았지만 159명 중 17명(10.7%)이 WHO 기준을 초과하였다. 연령별로는 30세 이상이 0.01-14.8 ppb 범위, 평균 $3.18{\pm}2.74ppb$로 29세 이하에서 0-8.00 ppb 범위, 평균 $2.04{\pm}2.00ppb$ 보다 1.6배 높았으며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 생선섭취가 제대혈의 수은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주일에 3회 이상 섭취군이 평균 $4.15{\pm}4.02ppb$로 주 1-2회 섭취군의 $2.63{\pm}2.22ppb$, 먹지 않는 군의 $1.60{\pm}1.44ppb$ 보다 2.6배와 1.6배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적게 먹는 군과 먹지 않는 군과의 사이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많이 섭취하는 군과는 유의적 차이 (p < 0.05)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제대혈의 수은 농도는 생선섭취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가임기 여성이나 임산부에게 생선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제대혈의 수은 농도를 낮출 수 있고 향후 있을지도 모를 신생아의 신경발달 장애나 뇌 신경학적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sh contain both the neurotoxin methyl mercury (MeHg) and nutrients important for brain development. The developing brain appears to be most sensitive to MeHg toxicity and mothers who consume fish during pregnancy expose their fetus prenatally. Although brain development is most dramatic during f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북해의 덴마크령 파로제도는 제대혈의 수은 농도를 7년간 관찰한 연구결과에서 제대혈 중의 수은이 건강장해의 가장 좋은 예측 지표임을 확인하였다18).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모체 제대혈의 총 수은 농도를 조사하여 태아의 노출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들의 결과가 바닷가에 접하여 있는 도서지역 산모의 생선섭취에 따른 제대혈에서의 수은 농도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국내외 다수 연구에서 생선 섭취 빈도가 혈중 수은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적 생선섭취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통영지역 임산부 중에 설문조사에 동의한 159명을 대상으로 산모연령별, 생선의 기호유무, 생선섭취 빈도, 생선종류, 생선섭취량, 거주기간 및 아말감 치료여부 등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은 농도분석은 설문에 동의한 산모의 제대혈에서 수은농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틸수은으로 발생되는 병은? 메틸수은은 수은화합물 중 가장 위해성이 큰 화합물로서, 일본에서 발생한 미나마타병의 피해가 널리 알려지면서, 국제사회에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일반적인 메틸수은은 대기 중에서 원소상 형태의 수은이 수계로 유입되어 메틸수은으로 변화생성되고 이후 플랑크톤 등의 먹이사슬을 통하여 어패류에 축적되어 최종적으로 먹이사슬의 상위에 있는 조류 및 인간에게 위해를 가하게 된다3,4).
유기 수은의 중독 증상은? 메틸수은과 에틸수은 형태로 존재하는 유기 수은은 지용성 물질로 소화관으로의 흡수가 90% 이상이 되고 반감기가 70일 정도로 체외 배설이 늦어 축적되기 쉬우며 체내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고 혈뇌관문(blood-brain barrier)을 통과하여 중추 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 영향을 준다. 초기 중독에서는 원위 사지부에서 경미한 감각저하를 보이나 중독이 심해지면 어른에게서 감각이상, 운동실조, 구음장애, 청력저하, 시야 협착 등의 심각한 신경독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8). 또한 태반을 쉽게 통과하기 때문에 유전적인 독성을 야기할 수도 있다9,10).
금속수은은 제조업에서 무엇으로 사용되는가? 수은은 자연계에서 금속수은(Hg0), 무기수은(Hg+, Hg2+, HgNO3) 및 유기수은으로 존재한다. 금속수은은 온도계, 체온계, 혈압계, 치과용 아말감, 수은전지, 형광등 제조 등 제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중독 증상은 대부분 실온에서 증발하는 금속수은을 흡입하여 직업적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인간과 동물의 신경계통을 손상시킬 수 있는 심각한 독성물질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min-Zaki, L., Elhassani, S., Majeed, M. A., Clarkson, T. W., Doherty, R. A. and Greenwood, M.: Intra-uteriner methylmercury poisoning in Iraq, Pediatrics, 54, 587-595 (1974). 

  2. Houston, MC.: The role of mercury and cadmium heavy metals in vascular disease, hypertension, coronary heart disease, and myocaridal infarction. Alter ther Health Med, 13, 128-133 (2007). 

  3. US EPA.: Guidance for Assessing Chemical Contaminant Data for Use in Fish Vol. 2 Risk Assessment and Fish Consumption Limits Third Edition. EPA 823-B-00-008 (1994). 

  4. US EPA.: Mercury Study Report to Congress. US EPA Dec. Downloaded http://www.epa.gov/airprogm/oar/mercury.html (1997). 

  5. Hughes, W. L. A.: Physicochemical rationals for the biological activity of mercury and its compound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65, 454-460 (1957). 

  6. Lee, K. E., Hong, Y. S., Kim, D. S., Han, M. S., Yu, B. C., Kim, Y. W., Roh, M. S., Lee, H. J., Lee, J. W., Kwak, J. Y. and Kim, J. W.: Mercury concentration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in korean pregnant women: preliminary study.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 268-275 (2007). 

  7. Tsuchiya, H., Mitani, K., Kodama, K. and Nakata, T.: Placental transfer of heavy metals in normal pregnant Japanese women. Arch Environ Health, 39, 11-17 (1984). 

  8. World Health Organizntion(WHO)/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IPCS): Methylmercury in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101, WHO, Geneva, 1990. 

  9. Gray, D.G.: A physiologically based pharmacokinetic model for methyl mercury in the pregnant rat and fetus. Toxicol Appl Pharmacol, 132, 91-102 (1995). 

  10. Lauwery, R., Buchet, J. P., Recels, H. and Huber-moni, G.: Placental transfer of lead, mercury cadmium and carbon monoxide in women. I. Comparison of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bio-logical induces in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Environ. Res., 5, 278-289 (1978). 

  11. Fuyuta, M., Fujimoto T. and Hirata, S.: Embryotoxic effects of methylmercuric administered to mice and rats during organogenesis. Teratology, 18, 353-366 (1978). 

  12. Tsuchiya, H., Mitani, K., Kodama, K. and Nakata T.: Placental transfer of heavy metals in normal pregnant Japaneses woman. Arch Environ Health, 39, 11-17 (1984). 

  13. WHO/IPCS. : Methylmercury in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101. WHO. Geneva (1990).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Food additives series:52. Methylmercury. Acailable: http://www.inchem.org/documents /jecmono/v52je23.htm[cited15 September (2009). 

  15. Grandjean P., White, R. F., Weihe, P. and Jorgensen P. J.: Neurotoxic risk caused by stable and variable exposure to methylmercury from seafood. Ambul Pediatr, 3, 18-23 (2003). 

  16. Chung, W. J., Kim, Y. S., Lee, J. D., Kim, M. H. and Bae, J. H.: A case of mercury poisoning due to herb drug pills. Korean J Med, 23, 719-722 (1980). 

  17. Wee, K. S., Choi, T. S., Lee, S. J., Cho, W. Y. and Kim, H. K.: A clinical study of chronic mercury poisoning. Korea J Med, 38, 15-17 (1980). 

  18. Grandjean, P., Weihe, P., White, R. F., Debes, F., Araki, S., Yokoyama, K., Murata, K., Sorensen, N., Dahl, R. and Jorgensen, P. J.: Cognitive deficit in 7 year-old children with prenatal exposure to methylmecury. Neurotoxicol Teratol, 19, 417-428 (1997). 

  19. Soria, M. L, P. Sanz, D. Martinez, M. Lopez-Artiguez, R. Garrido, A Gillo and M. Repetto: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hair, maternal and umbilical blood and placenta from women in the Seville area. Bull. Environ contamin Tocxicol, 48, 194-501(1991) 

  20. Bjerregaard, P. and Hansen, J. C.: Organochlorines and heavy metals in pregnant women from the Disko Bay area in Greenland. Sci Total Environ, 245, 195-202 (2000). 

  21. Kim, B. M., Kim, D. S., Lee, J. H., Park, H. S., Kim, Y. J., Seo, J. H., Chang, M. H. and Ha, E. H.: Birth weight of mercury concentration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in prgnent women. J. Env. Hith. Sci., 34, 12-19 (2008). 

  22. Jedrychowsko, W., Perera, F., Rauh, V., Flak, E., Mroz, E., Pac, A., Skolicki, Z. and Kaim, I. : Fish intake during pregnancy and mercury level in cord and maternal blood at delivery : an encironmental study in Poland. International J Occup Med Environ Health, 20, 31-37 (2007). 

  23. Hsu, C., Liu, P. L., Chien, L. C., Chou, S. Y. and Han, B. C.: Mercury concentration and fish con-sumption in Taiwanese pregnant women. British J Obstet Gynaecol, 114, 81-85 (2007). 

  24. Kim, C. W., Kim, Y.W., Chae, C. H., Son, J. S., Paek, S. H., Koh, J. C. and Kim, D. D.: The effect of the frequency of fish consumption on the blood mercury levels in korean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2, 114-121 (2010). 

  25. Sato, R. L., Li, G. G. and Shaha, S.: Antepartum seafood consumption and mercury levels in newborn cord blood. Am J Obstet Gynecol, 194(6), 1683-1688 (2006). 

  26. Ministry of Health, Laboratory and Welfare: Advice for pregnant women on fish consumption concerning mercury contamination. Avalable: http://www.mhlw.go.jp/english/wp/other/councils/[ cite 20 march 2010]. 

  27. KFDA. Heavy metals standard list on food 2007(translated by Kim C.W.) Avilable from; URL: http://www.kfda.go.kr/ index.kfda/mid69&cd56& page No1&seq3028&cmd v[cite 15 September 2009]. 

  28. 2004 EPA and FDA Advice For: Women who might become pregnant, women who are pregnant, nurcing mothers, young children. What you need to know about mercury in fish and shellfish;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arch 2004. Avilable from; URL:http://www.cfsan.fda.gov/-dms/admehg3. html (2004). 

  29. KFDA. Food Code: Standard and Specifications of Food Types. A vailable from: URL: http://www.kfda.go.kr (Korean). 

  30.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Mother and children's health and environment(MOCHE). A Multi-center longitudinal study in Korea (2006). 

  31. Razagui, I. B. and S. J. Haswell: Mercury and selenium concentration in maternal and neonatal scalp hair : relation to amalgam-based dental treatment received during pregnancy. Biological Trace Element Research, 81, 1-19 (2001). 

  32. Vahter, M., Akesson, A., Lind, B., Bjor, U., Schutz, A. and Berglund, M.: Longitudinal study of methylmercury and inorganic mercury in blood and urine of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as well as in umbilical cord. Environ. Res., 84, 186-194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