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랫드에서 백두옹과 청호의 경구투여에 의한 반복 투여독성 시험과 면역 활성 평가
Evaluate a Repeated Oral Dose Toxicity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Pulsatilla$ $koreana$ and $Artemisiae$ $annuae$ in Sprague-Dawley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7 no.1, 2012년, pp.96 - 102  

안인정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권중기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이진석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이성호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박영석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박병권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김상기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김병수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조성대 (전북대학교 구강병리학교실) ,  최창순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이병희 (국립생물자원관) ,  강병곤 ((주)신일바이오젠) ,  정지윤 (공주대학교 두과녹비자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prague-Dawley 계통의 암컷 랫드에서 백두옹과 청호를 반복경구투여 독성평가와 면역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하였다. 랫드에 처치한 물질은 백두옹과 청호를 0.5 ml/kg, 1 ml/kg, 2 ml/kg를 D.W에 용해시켜 4주 동안 경구투여를 하였다. 백두옹과 청호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관찰 및 검사를 하였다. 검사항목으로는 체중과 사료 섭취량, 임상증상, 안과학적 검사, 혈액학적 검사, 혈청생화학적 검사를 관찰하였다. 또한 랫드에 간과 신장에서의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백두옹 고용량군의 혈액학적 검사에서 호중구, 림프구, 단핵구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증가는 면역세포의 증가로 백두옹 고용량군은 면역 활성이 일어났다고 사료된다. 체중, 사료섭취량, 혈청생화학적 검사, 병리조직학적 변화는 대조군과 비교시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백두옹과 청호는 생리대사에 무해하며 면역 활성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a repeated oral dose toxicity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Pulsatilla$ $koreana$ and $Artemisiae$ $annuae$ in Sprague-Dawley rats. The female rats were treated with $Pulsatilla$ $koreana$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prague-Dawley 계통의 암컷 랫드에서 백두옹과 청호를 반복경구투여 독성평가와 면역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하였다. 랫드에 처치한 물질은 백두옹과 청호를 0.
  • 이에 본 실험에서는 백두옹과 청호를 사료첨가제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백두옹과 청호를 사용하여 랫드의 여러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백두옹과 청호를 각각 투여한 랫드의 몸무게, 사료섭취량, 혈액학적 검사, 혈청생화학적 검사 및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백두옹과 청호의 독성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헌에 쓰인 백두옹의 독성에 관련된 백두옹의 특징은? 또한 일부 서적에서는 부작용이 있으므로 쓰는 양에 주의해야 한다고 기재하고 있다19). 문헌에 의하면 신선한 백두옹을 추출한 물은 protoanemonin을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 점막에 강렬한 자극작용이 있고 내복하여도 또한 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주의해야 된다18). 청호는 국화과 Artemisia속으로 allelopathy효과를 나타내거나 다수의 terpenoid allelochemicals를 생산해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0), 쑥속(Artemisia L.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할미꽃 종류는? 국화과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식물 중의 하나이고 본 연구에 사용한 시험 물질인 백두옹(白頭翁)은 미나리아제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할미꽃(Pulsatilla koreana)속 식물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10,11), 할미꽃은 동아시아와 유럽지역에 약 30여 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가는잎할미꽃(Pulsatilla cernula), 분홍할미꽃(P. davuraca), 산할미꽃(P. nivalis) 등이 분포하고 있다. 할미꽃의 잎은 뿌리에서 뭉쳐서 나며, 새의 털처럼 깊게 갈라지는데 꽃은 적자색으로 4~5월에 피고, 흰색의 긴 털이 붙어 있다12).
백두옹이란? 국화과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식물 중의 하나이고 본 연구에 사용한 시험 물질인 백두옹(白頭翁)은 미나리아제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할미꽃(Pulsatilla koreana)속 식물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10,11), 할미꽃은 동아시아와 유럽지역에 약 30여 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가는잎할미꽃(Pulsatilla cernula), 분홍할미꽃(P. davuraca), 산할미꽃(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유덕기 : 유기축산을 위한 농장동물복지의 과제와 평가,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5, 237-256 (2007). 

  2. Kemp G and J Kiser : Microbial resistance and public health aspects of use of medicated feeds. J. Anim. Sci, 31, 1107-1109 (1970). 

  3. 이철호. 조익환. 손중천. 이성훈 : 사료내 유기산제 및 항생제의 혼합첨가가 육성돈의 성장과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7, 237-251 (2009). 

  4. Ahn J, Grun IU and Mustapha A :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microbial growth, color change, and lipid oxidation in cooked beef. Food Microbiol, 24, 7-14 (2007). 

  5. Torras MA, Faura CA, Schonlau F and Rohdewald P : Antimicrobial activity of pycnogenol. Phytother Res, 19, 647-648 (2005). 

  6. Flood MT, Kondo M : Toxicity evaluation of a beta-galactosidase preparation produced by Penicillium multicolor. Regul. Toxicol. Pharmacol. 40, 281-292 (2004). 

  7. Flood MT, Kondo M : Safety evaluation of lipase produced from Rhizopus oryzae: summary of toxicological data. Regul. Toxicol. Pharmacol. 37, 293-304 (2003). 

  8. Wolf BW, Weisbrode SE : Safety evaluation of an extract from Salacia oblonga. Food Chem. Toxicol. 41, 897-974 (2003). 

  9. Mei N, Arlt VM, Phillips DH, Heflich RH, Chen T : DNA adduxt formation and mutation induction by aristolochic acid in rat kidney and liver. Mutat. Res. 602, 83-91 (2006). 

  10. 김재길:원색 천연약물대사전. 남산당, 서울, 70 (1984). 

  11. 김재길:동양 전통약물 원색도감. 영림사, 서울, 61 (1995). 

  12. Park GH, Moon JH, MA SJ, Lee YH : Natural Products Organic Chemistry: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4- Hydroxy-3-methoxycinnamic Acid and 3,4-Dihydroxycinnam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Root of Pulsatilla koreana,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1, 191-196 (1996). 

  13. Ye WC, BX Ou, NN Ji, SX Zaho, T Ye, MA Mckervey, P Stevenson : Patensin, a saponin from Pulsatilla patens var. multifida. Phytochemistry, 39, 937-939 (1995). 

  14. Kim JG, So EH, Lim SB, Jeong JH : The Effects of Pulsatilla koreana for Anti -Inflammatory and Cellular Activity of Periodontal Tissue. Korean Journal Phamarcogn, 31, 149-167 (2000). 

  15. Yook CS : Colou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Academic Publishing Co. Seoul, Korea, (1989). 

  16. Sofos JN, Beuchat LR, Davison PM, Johnson EA : Naturally occuring antimicrobials in foods. Toxicol. Pharmacol, 28, 71-76 (1998). 

  17. 서부일, 정국영 : 알기 쉬운 본초학. 대구한의대학교 출판부, 대구, 103 (2007). 

  18. 楊倉良: 毒藥本草. 北京: 中國中醫出版社, 343-346 (1993). 

  19. 최옥자: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서울. 238-239 (1991). 

  20. Marco JA and O Babera : Natural products from the genus artemisia. stud. Nat. Prod. Chem. 7, 201-264 (1990). 

  21. Lodari C, Hattori K and Futsuhara Y : Morphological difference on leaf surface and pollen grains in genus Artemisia. Japanese Journal of Breeding, 39, 9-14 (1989). 

  22.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Ryu J, Kim DH and Eun JS :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 112-117 (2008). 

  23. 이기철, 권영한, 김명수, 박수현, 이지숙 : 개똥쑥 종자의 저장 특성. 한국자원 식물학회 학술심포지엄, 10, 28-28 (2010). 

  24. Sung JS, Lee JH, Lee JW, Bang KH, Yeo JH, Park CG, Park HK, Seong NS and Moon SH : Phylogenetic analysis of Artemisia spp.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ve organs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 218-224 (2008). 

  25. Dhingra V, Rao V and Narasu L : Current state of artemisin and its derivatives as antimalarial drugs. Life Science, 66, 279-300 (2000). 

  26. Singh N and Lai H : Selective toxicity of dihydroartemisinin and holotransferin toward human breast cancer cells. Life Science, 70, 49-56 (2001). 

  27. Schmid G and Hofheinz W : Total synthesis of qinghaosu.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05, 624-625 (1983). 

  28. Paniego NB and Giuletti AM : Artemisia annua L.: Dedifferentiated and differentiated cultures.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36, 163-168 (1994). 

  29. 홍병주, 오진석, 김병완, 박병성 : 유기축산 사료첨가제로서 소나무껍질 추출물 피타민의 산란계에 대한 급여효과. 한국유기농업학회지, 2, 205-218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