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수염을 일반분쇄기와 저온초미분쇄기를 이용하여 얻은 5단계의 다른 입자 크기의 옥수수수염 분말을 각각의 입자 크기별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여 최적의 입자크기를 찾고 우수한 가공법을 확립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된 옥수수수염을 일반적 분쇄 방법과 저온초미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5단계의 입자크기는 각각 $199.17{\mu}m$, $178.27{\mu}m$, $85.48{\mu}m$, $27.04{\mu}m$$20.97{\mu}m$로 가장 큰 입자 크기와 가장 작은 입자 크기와는 약 10배 가량 입자크기의 차이가 있었다. 2. 입자크기별 옥수수수염 분말의 색차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명도와 황색도의 수치가 커졌다. 3. 또한 입자크기별 옥수수 수염 분말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300배 확대하여 관찰한 결과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확대한 입자의 크기가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입자의 모양은 다각형의 모양을 보였다. 4. 입자크기별 옥수수수염 분말의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조단백질 함량과 유리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 조섬유 함량과 조단백질 함량은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그 수치가 줄어들었고, 조지방 함량과 조단백질 함량, 유리당 함량은 입자크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입자크기별 옥수수수염 분말의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 모두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그 수치가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6. 옥수수수염 분말의 입자크기에 따른 ascorbic acid equivalents는 입자크기간의 수치적으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서로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EAC 실험과 FRAP 실험에서는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그 수치가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7. 옥수수수염 분말의 입자크기, 색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서로 유의적 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명도, 적색도, 황색도, 총 페놀 함량, ascorbic acid equivalents, TEAC에서 고도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level of functional components according to particle size of corn silk. Particle size was classified into 5 groups. By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color difference, the total phenol content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수염을 저온초미분쇄기를 이용하여 얻은 5단계의 다른 입자크기의 옥수수수염 분말을 얻어 각각의 입자크기별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최적의 입자크기를 찾고 우수한 가공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수염을 일반분쇄기와 저온초미분쇄기를 이용하여 얻은 5단계의 다른 입자 크기의 옥수수수염 분말을 각각의 입자 크기별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여 최적의 입자크기를 찾고 우수한 가공법을 확립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Mean with the same letter in a ra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0.05 probability.
  • 2) Mean with the same letter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0.05 probability.
  • 5) Mean with the same letter 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0.05 probabil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옥수수수염이란 무엇인가? 옥수수수염은 옥수수(Zea mays L.)의 부산물로 옥수수의 열매를 싸고 있는 부분으로 옥발, 옥미발, 옥촉서예라고도 불리 운다(Kwan et al., 1999).
옥수수수염 유래의 플라보노이드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옥수수수염 유래의 플라보노이드로는 maysin, apimaysin, methoxymaysin등이 있으며 이중 maysin은 옥수수수염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기능성물질로 corn earworm의 생육 억제활성, 종양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효과 및 라디컬 소거활성 등이 보고되어 있다(Lee et al., 1998; Kim et al.
분쇄를 하는 공정에서 열에 민감한 성분의 연화(softening) 또는 융해 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분쇄기를 선정할 때 어떤 요소를 함께 고려하여야 하는가? 실제로 분쇄를 하는 공정에서는 보통 동력의 98% 이상이 분쇄 장치의 운전과 분쇄 조업에서 생기는 마찰열과 소음으로 소모되고 불과 2%미만이 분쇄에 의한 분쇄물의 표면적 증가에 기여하므로 이때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하여 품온이 상승하게 되고 열에 불안전한 성분의 파괴가 일어날 수 있으며 열에 민감한 성분의 연화(softening) 또는 융해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Song and Park, 1997). 따라서 분쇄기를 선정하는 경우에는 원료의 크기와 특성, 분쇄 후의 입자크기, 입도분포, 분쇄온도 등과 같은 품질 요소와 소음, 분진, 제조원가 등과 같은 부가적인 요소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Halliwell, B and J. M. C. Gutteridge. 1998. In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2. Han M. R., A. J. Kim, M. J. Chang, S. J. Lee, H. S. Kim and M. H. Kim. 2009. Investigation of physical property change in modified corn starch by ultra fine pulverization. Food Engine. Prog. 13, 335-340. 

  3. Han M. R., M. J. Chang and M. H. Kim. 2007. Investigation of physical property change in modified rice starch by ultra fine pulveriz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160-166. 

  4. Hashimoto, N. M. A., M. I. Genovese and F. M. Lajolo.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dietary fruits, vegetables, and commercial frozen fruit pulps. J. Agric. Food Chem. 53 : 2928-2935. 

  5. Hwang J. Y., Ham J. Y. and S. H. Nam 2004.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3) : 461-464 

  6. Jang H. W. Lee H. J. and K. G. Lee. 2005.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olatile extracts from plants commonly used in Kor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5) : 729-729. 

  7. Kang S. H., 1995. Powder technology. Sci. Tech. Media, Seoul, Korea. 

  8. Kim D. W., K. S. Chang, U. H. Lee and S. S. Kim. 1996. Moisture sorption characteristics of model food powd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 1146-1150. 

  9. Kim E. Y., Baik I. H., Kim J. H., Kim S. R. and M. R. Rhyu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 : 333-338. 

  10. Kim H. B., S. H. Koh and Y. S. Seok. 2006. Anti-oxidative effect of 'Cheongilppong' with mulberry leaves according to different collection areas and some kinds of mulberry branches. Korean J. Seric. Sci. 48(2) : 41-45. 

  11. Kim, J. S., S. H. Lee, H. Y. Lee, K. H. Kim and Y. I. Kim. 1993. Effects of different mill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 546-551. 

  12. Kim S. L., M. E. Snook and J. O. Lee. 2003.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maysin (C-glycosylflavone) isolated from silks of Zea mays L. Korean J. Crop Sci. 48 : 392-396 

  13. Kim, T. Y., T. W. Jeon, S. H. Yeo, S. B. Kim, J. S. Kim and J. S. Kwak. 2010.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SOD-like activity effect of Jubak extracts. Korea J. Food Nutr. 23, 229-305. 

  14. Ko J. W., W. Y. Lee, J. H. Lee, Y. S. Ha and Y. H. Choi. 1999.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dried shiitake mushroom powder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 128-137. 

  15. Ku, K. M., S. K. Kim and Y. H. Kang.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corn silk (Zea mays L.). Korean J. Plant Res. 22, 323-329. 

  16. Kuo, J. M., D. B. Yeh and A. Hwang. 1998. A rapid photometric assay for determining antioxidative activity. IFT Annu. Meet. Abstract 72A-1. 

  17. Kuo, J. M., D. B. Yeh and B. S. Pan. 1999. Rapid photometric assay evaluating antioxidative activity in edible plant material. J. Agric. Food Chem. 47 : 3206-3209. 

  18. Kwan J. J., J. g. Lee and O. C. Kim. 1999. Volatile compounds of corn silk (Zea may L.). Korean J. Food Nutr. 12 : 375-379. 

  19. Lee, E. A., P, F. Byrne, M. D. McMullen, M. E. Snook, B. R. Wiseman, N. W. Widstrom and E. H. Coe. 1998. Genetic mechanisms underlying apimaysin and maysin synthesis and corn earworm antibiosis in maize (Zea may L.). Genetics. 149 : 1997-2006. 

  20. Lee, Y. C. and D. Yang. 2002. Determination of lysozyme activities in a micro-plate format. Anal. Biochem. 310, 223-224. 

  21. Lee, Y. T., H. M. Seog, M. K. Cho and S. S. Kim.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ull-less barley flours prepared with different grinding mills. Korea J. Food Nutr. 28 : 1078-1083. 

  22. Lemanska, K., H. Szymusiak., B, Tycowska., R. Zielinski., A. E. M. F. Soffer and I. M. C. M. Rietjens. 2001. The influence of pH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and the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on of hydroxy-flavones. Free Radical Biological Medicine. 31 : 869-881. 

  23. Middleton E., C. Kandaswami.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 115-119. 

  24. Park D. J., K. H. Ku and S. H. Kim. 1996.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defected soybean meal fractions obtained by microparticulation / air-classific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 497-505. 

  25. Park Y. K., H. M. Seong, Y. J. Nam and D. H. Shin. 198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milled rice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 504-510. 

  26. Rice-Evans C. A., N. J. Miller and G. Paganga.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in Plant Sci. 2, 152-159. 

  27. Senpuku, H., H. Kato, M. Todoroki, N. Hanada and T. Nisizawa. 1996. Interaction of lysozyme with a surface protein antigen of Streptococcus mutans. FEMS Microbiol. Lett. 139, 195-201. 

  28. Song J. C. and H. J. Park 1997. New food processing. Yulim Publishing, Seoul, Korea. pp. 105-120. 

  29. Touch, V., S. Hayakawa, S. Yamada and S. Kaneko. 2004. Effects of a lactoperoxidase-thiocyanate-hydrogen peroxide system on salmonella enteritidis in animal or vegetable foods. Int. J. Food Microbiol. 93, 175-183. 

  30. Tsai, P. J. and C. H. Sheu. 2006. The significance of phenolprotein interactions in modifying the antioxidant capacity of pea. J. Agric. Food Chem. 54, 8491-8494. 

  31. Tsai, P. J., S. C. Wn and Y. K. Cheng. 2008. Role of polyphenols in antioxidant capacity of napiergrass from different growing seasons. Food Chem. 106, 27-32. 

  32. Tsai, P. J., Y. S. Chen, C. H. Sheu and C. Y. Chen. 2011. Effect of nanogrinding on the pigment and bioactivity of Djulis (Chenopodium formosanum Koidz). J. Agric. Food Chem. 59, 1814-1820. 

  33. Weiss, J., P. Takhistov and D. J. McClements. 2006. Functional materials in food nanotechnology. J. Food Sci. 71, 107-116. 

  34. Wu, C. L. 2005. Assessment of curcumin nanoparticles on bioactivities using cultured cells model. Master's thesis, National Taiwan Ocean University. 

  35. Yoo, K. M., D. O. Kim and C. Y. Lee. 2007.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antioxidant measurement. Food. Sci. Biotechnol. 16 : 177-1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