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포도(Red Glove)의 Pectinase 처리가 레드와인의 생산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ctinase in Grape (Red Glove) Production and Quality of Red Wine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2 no.2, 2012년, pp.264 - 270  

이정창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생물공학과 와인전공) ,  최용근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미생물공학과) ,  박정수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미생물공학과) ,  정희훈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미생물공학과) ,  이동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생물공학과 와인전공) ,  최태부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미생물공학과) ,  강상모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미생물공학과) ,  김형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생물공학과 와인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pectinase 처리가 레드와인 발효와 와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으며, pectinase 처리가 와인제조 과정에서 과즙 추출 향상, 과즙 청징 작용으로 색의 투명성과 안정성에 좋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과즙 산출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에서는 pectinase가 펙틴을 분해하여 약 13%(v/v)의 포도과즙 수율 증가를 나타냈다. 와인 색의 강도와 투명성의 결과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색의 적색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색도에서는 높은 선명도를 나타냈다. 또한, 펙틴이 pectinesterase(PE)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발효 중에 메탄올 함량이 증가되었다. 관능검사를 통한 와인 품질과 관련된 기호 평가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외관, 향, 맛, 촉감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pectinase의 처리에 의한 레드와인 발효 시, 다당류와 펙틴의 분해에 의해 레드와인의 품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와인제조 과정에서 pectinase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메탄올 생성량의 감소 방안, 그리고 pectinase 처리 와인의 성분 분석과 기능이 세부적으로 연구된다면 와인품질 개선에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pectinase on wine production and quality during wine fermentation was investigated in an experiment a laboratory scale (2 kg grape/5 L tank).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enzyme-treated sample displayed a 13% higher rate of grape juice production compared to control (enzyme-un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ectinase가 레드 와인의 발효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레드 와인 발효 시 pectinase를 첨가한 후, 과즙 추출 수율 향상과 청징 효과 기능을 수치화하기 위하여 색도 및 색조를 조사하였다.
  • 이를 위하여, 레드 와인 발효 시 pectinase를 첨가한 후, 과즙 추출 수율 향상과 청징 효과 기능을 수치화하기 위하여 색도 및 색조를 조사하였다. 또한, 에탄올 및 메탄올의 함량을 측정하고, 와인의 외관, 향, 맛, 촉감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pectinase의 첨가가 와인의 품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와인 생산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국내 와인 생산의 문제점은 과즙의 낮은 당도 및 과즙 생산 수율, 여과 및 압착 기술 부재, 포도주의 색조불량 등으로 알려져 있다(Hwang & Park 2010). 이와 같은 문제점의 발생 원인은 포도과즙 생산 시 포도 과육의 분해 정도가 낮은 것이 중요한 이유가 될 수 있으며, 이는 포도과즙의 총 구성성분 중 0.
국내 와인 생산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국내 와인 생산의 문제점은 과즙의 낮은 당도 및 과즙 생산 수율, 여과 및 압착 기술 부재, 포도주의 색조불량 등으로 알려져 있다(Hwang & Park 2010). 이와 같은 문제점의 발생 원인은 포도과즙 생산 시 포도 과육의 분해 정도가 낮은 것이 중요한 이유가 될 수 있으며, 이는 포도과즙의 총 구성성분 중 0.3~1%를 차지하는 식이섬유로서의 펙틴(pectins)과 펙틴 관련물질(pectic substances)의 존재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펙틴과 펙틴 관련물질들은 과실이나 야채류의 세포막, 또는 세포막 사이에 존재하는 중엽(middle lamella)과 1차 세포벽에 주로 존재하며, 세포막 내부, 세포와 세포 사이를 결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김동훈 2010, 김성수 2009, Ian 2007).
와인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와인은 포도를 주원료로 사용하며, 특히 포도의 당이 미생물 작용에 의하여 알코올로 변환되는 것을 바탕으로, 포도가 갖는 각종 풍미성분이 와인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전달되어 고유한 향과 맛을 갖는 발효주이다. 또한, 와인은그 특유의 향과 색감으로 인하여, 식사 시 함께 음용할 경우, 음식의 맛을 더욱 강화하고, 소화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구미 지역에서는 오래 전부터 식사와 함께 와인을 마시는 것이 당연시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동훈 (2010) 식품화학. 탐구당, 서울. pp 251-266. 

  2. 김성수 (2009) 와인의 건강기능성과 프렌치 파라독스. 식품 산업과 영양 14. pp 54-56. 

  3. 김일성 (2004) 식품과 건강. 신광문화사, 서울. p 162. 

  4. 김준철 (2006) 와인 인사이클로피디아. 세종서적, 서울. p 563. 

  5. 김준철, 이선희, 민혜련, 이동승, 김준국 (2009) 와인 양조학. 백산출판사, 서울. pp 24-30. 

  6. 송태희, 최 웅, 최희숙, 금종화, 신두호, 박헌국 (2003) 식품화 학, 효일출판사, 서울. pp 329-331. 

  7. 식품세계(2009) 2009년 3월호. 

  8. 식품의약품안전청 (2009) 식품의 기준 및 규격. pp 5-27. 

  9. 채수규 (2007) 표준식품분석학. 지구문화사, 서울. pp 568-569. 호텔엔레스토랑 (2012) 2012년 3월호. p 197. 

  10. Alonso AM, Dominguez C, Guillen DA, Barroso CG (2002)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power of red and white wines by a new electrochemical method and its correlation with polyphenolic content. J Agr Food Chem 50: 3112-3115. 

  11. Baek HH, Lee CH, Woo DH, Park KH (1989) Prevention of pectinolytic softening of kimchi tissue.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149-153. 

  12. Choi SH, Hong YA, Choi YJ, Park HD (2011)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ld yeasts isolated from Korean domestic grape varieties. Korean J Food Presery 18: 604-611. 

  13. Darias-Martin J, Diz-Gonzaez D, Diz-Romero C (2004) Influence of two pressing processes on the quality of must in white wine production. J Food Eng 63: 335-340. 

  14. Frankel EN, Kanner J, German JB, Parks E, Kinsella JE (1993) Inhibition of oxidation of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by phenolic substances in red wine. Lancet 34:454-457. 

  15. Gultek MM, Dodd TH, Guydosh RM (2006) Attitudes towards wine-service training and its influence on restaurant wine sales. Hospitality Management 25: 432-446. 

  16. Hwang SW, Park HD (2010) Properties of red wine fermented using freeze-concentrated muscat bailey a grape juice. Korean J Food Preserv 17: 807-813. 

  17. Ian Hornsey (2007) The chemistry and biology of winemaking. Cambridge. Royal Society of Chemistry Press 193-201. 

  18. Jeong EJ, Kim MH, Kim YS (2010) Effect of pectinase treatment on extraction yield of the juice of Fragaria ananassa Duch.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wine during ethanolic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7:72-78. 

  19. Jeong YJ, Kim HI, Whang K, Lee OS, Park NY (2002) Effect of pectinase treatment on alcohol fermentation of persimm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578-582. 

  20. Jeong YJ, Lee GD, Lee MH, Yea MJ, Lee GH, Choi SY (1999) Monitoring on pectinase treatment conditions for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810-815. 

  21. Jeong YJ, Lee GD, Lee MH, Yea MJ, Lee GH, Choi SY (1999) Monitoring on pectinase treatment conditions for clarification of persimmon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810-815. 

  22. Katalinic V, Milos M, Modun D, Music I, Boban M (2004) Antioxidant effectiveness of selected wines in comparison with (+)-catechin. Food Chem 86: 593-600. 

  23. Kim EK, Kim I, Ko JY, Yim SB, Jeong Y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cceptability of commercial low-priced French w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66-1671. 

  24. Kim HA, Cho MH, Lee KH (2009) Studie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wine and imported win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593-602. 

  25. Lee SR, Chang KJ (197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juice-clarifying enzyme preparation. J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14: 1-7. 

  26. Papadopoulou C, Soulti K, Roussis IG (2005) Potential antimicrobial activity of red and white wine phenolic extracts against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and Candida albicans. Food Technol Biotech 43: 41-46. 

  27. Park HS, Hwang CS (2008) Research on how to promote Korean wine industry thorugh a study on world wine market analysis.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Commerce 4: 17-35. 

  28. Park MK, Kim CH (2009) Extraction of polyphenols from apple peel using cellulase and pectinase and estim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35-540. 

  29. Peynaud, Emile (1984) Knowing and making wine. WileyInterscience 145: 48, 208-211. 

  30. Prathyusha K, Suneetha V (2011) Bacterial pectinases and their potent biotechnological application fruit processing/juice production industry: A review. Journal of Phytology 3: 16-19. 

  31. Ribereau-Gayon P, Glories Y, Maujean A, Dubourdieu D (2006) Handbook of enology. 2, The chemistry of wine stabilization and treatments. John Wiley Press, Chichester. pp 141-164. 

  32. Ryu C, Choi SM (2007) Differences in restaurant employees' perception of importance of wine quality evaluation facto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432-444. 

  33. Sirieix L, Remaud H, Lockshin L, Thatch L, Lease T (2011) Determinants of restaurant's owners/managers selection of wines to be offered on the wine list. J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8: 500-508. 

  34. Taylor DC, Barber N, Broz C (2010) Sensory evaluation of a wine's quality in the preparation of a reduction: A subjective and objective study. J Culinary Sci and Techno 8: 219-228. 

  35. Venkatesh M, Pushpalatha PB, Sheela KB, Girija D (2009) Microbial pectinase from tropical fruit wastes. J Trop Agric 47: 67-69. 

  36. Zhang H, Woodams ED, Hang YD (2011) Influence of pectinase treatment on fruit spirits from apple mash, juice and pomace. Process Biochem 46: 1909-1913. 

  37. Zhang X, Lee FZ, Eun JB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lucose transport retarding effect of pectin from flesh of Asian pear at different growth stag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91-4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