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과 도심에서의 조망 및 보행활동이 인체의 생리·심리에 미치는 효과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Viewing and Walking in Forest and Urban Area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1 no.5, 2012년, pp.605 - 611  

지경배 (강원발전연구원) ,  김경남 (강원발전연구원) ,  한갑수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accordance with viewing and walking in the forest and urban area. In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reactions in nervous system, viewing of the forest had a calming effect on the nervous system by reducing 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산림과 도심을 대상으로 시각적 대상으로서의 조망 행위와 공간에서의 활동 행위가 미치는 생리적, 심리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산림의 치유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를 의학적 실험을 통한 생리적 반응을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실험결과를 실험대조 지구 이외로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피험자의 수를 다양한 연령층으로 확대하며, 대상 공간의 다양화를 통해 산림치유 효과를 일반화시킬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 생리적 효과는 자율신경계 및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불안과 흥분상태에서 혈압과 맥박수가 증가하며 스트레스를 받으면 타액 중 아밀라아제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산림과 도심에서의 조망 및 보행활동이 미치는 심리적 및 생리적 효과를 실험하였다. 연구결과, 산림에서의 조망 및 보행 활동은 신체의 혈압 및 심박수의 현저한 감소를 유발, 자율신경계 진정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치유 기능과 관련된 국내의 기존 연구들은 무엇을 대상으로 하며 어떤 부분이 제대로 연구되고 있지 않은가? 선행연구를 통해 국외의 경우 국내에 비해 이른 시기부터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국내에서는 최근에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숲의 치유효과에 대해 과학적으로 검증해 가는 과정 중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여러 연구들이 심리적 효과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생리적 효과 등에 대한 검증은 폭넓게 연구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산림치유에 대해 법률은 어떻게 정의하는가? “산림치유”에 대해 법률은 “향기, 경관 등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으로 정의하여(법제처, 2011), 약물이나 수술 등을 통한 직접적인 의료행위인 “치료”와는 다르게 환자가 자기복원성에 기초하여 건강의 회복과 증진을 도모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산림치유 기능과 관련하여 국내외에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산림 또는 자연경관이 인공경관에 비해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적임이 주장되었고(Hartiga 등, 2003; Ulrich 등, 1991; 이, 2003), 스트레스와 인지수행 능력 또는 주의력 회복 능력에 있어서 자연경관이 타 경관에 배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Herzog, 1997; 이, 2006; 이와 이, 2006).
산림치유 기능에 관한 연구들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산림치유”에 대해 법률은 “향기, 경관 등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으로 정의하여(법제처, 2011), 약물이나 수술 등을 통한 직접적인 의료행위인 “치료”와는 다르게 환자가 자기복원성에 기초하여 건강의 회복과 증진을 도모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산림치유 기능과 관련하여 국내외에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산림 또는 자연경관이 인공경관에 비해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적임이 주장되었고(Hartiga 등, 2003; Ulrich 등, 1991; 이, 2003), 스트레스와 인지수행 능력 또는 주의력 회복 능력에 있어서 자연경관이 타 경관에 배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Herzog, 1997; 이, 2006; 이와 이, 2006). 숲이 치매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산림 치유 프로그램이 우울증 및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숲의 경관감상과 산책이 주는 심리적․생리적 효과 등에 관한 연구(박, 2010; 송 등, 2009)는 산림이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주장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선미, 김성균, 2006, 치유경관의 요인분석을 통한 감성 연구 -한국전통조경경관을 중심으로- ,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조경학회, 57-63. 

  2. 박범진, 2010, 산림휴양활동을 이용한 숲치유의 실험적 접근 -경관감상과 산책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3. 법제처, 2011, http://www. law.go.kr. 

  4. 산림청, 2008, 산림과 임업 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423-426. 

  5. 산림청, 2011, http://www.forest.go.kr. 

  6. 송정희, 신원섭, 연평식, 최명도, 2009, 산림 치유 프로그램이 미혼모의 우울감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8(1), 82-87. 

  7. 연합뉴스, 2011, http://app.yonhapnews.co.kr, 4월 25일 

  8. 이영경, 2003, 심리적.생리적 측정에 근거한 산림경관의 스트레스 완화효과, 한국조경학회지, 31(2), 70-82. 

  9. 이영경, 2006, 경관의 치유적 특질이 관광지 방문 선호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4(5), 1-13. 

  10. 이영경, 이병인, 2006, 경관유형이 도시사무직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인지수행에 미치는 영향 -자연경관과 도시경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4(1), 1-13. 

  11. 이주영, 박근태, 이민선, 박범진, 구자형, 이준우, 오경옥, 안기완, 宮崎良文, 2011,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도시녹지의 건강편익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5), 111-118. 

  12. 金侑映, 宮崎寬, 那須守, 高岡由紀子, 林豊, 石田都, 2011, 商業施設の屋上綠花空間における夜間利用が人の心理.生理に?える?果, 日本綠花工學會誌, 37(1), 67-72. 

  13. Hartiga, T., Evansb, G. W., Jamnerc, L. D., Davisd, D. S., Garlinge, T., 2003, Tracking restoration in natural and urban field settings, J.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3(2), 109-123. 

  14. Herzog, T. R., Black, A. M., Fountaine, K. A., Knotts, D. J., 1997, Reflection and attentional recovery as distinctive benefits of restorative environments, J.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7, 165-170. 

  15. Iwasaki, Y., 2010, Green Space for People's Health, Air conditioning and hygienic engineering, 84(3), 11-16. 

  16. Karmanova, D., Hamelb, R., 2008, Assessing the restorative potential of contemporary urban environment(s): Beyond the nature versus urban dichotom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6(2), 115-125. 

  17. McNair, D. M., Lorr, M., 1964, An analysis of mood in neurotics, J.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9, 620-627. 

  18. Ulrich, R. S., Simons, R. F., Losito, B. D., Fiorito, E., Miles, M. A. Zelson, M., 1991, Stress recovery during exposure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J.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3), 201-2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