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VC재질 프로파일의 생산, 발생 및 재활용, 처리에 기반한 물질흐름도 검토
Investigation on Material Flow Diagram for PVC(poly vinyl Chloride) Profile Based Production, Generation, Recycling and Treatment 원문보기

Elastomers and composites =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47 no.2, 2012년, pp.129 - 140  

배재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바이오대학 환경공학과) ,  정오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바이오대학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플라스틱 제품의 재활용률을 산정하기 위하여 PVC프로파일에 대한 물질흐름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합성수지 및 제품별 생산 현황 조사, 폐기물 발생 및 재활용 현황 조사, 재활용 실태 현황 조사, 제품별 물질흐름 검토를 거쳐 내구성 플라스틱의 발생부터 폐기까지의 조사를 실시하여 물질흐름도를 작성하였다. 제품별 재활용이 가능한 비율을 산정한 결과, PVC바닥재와 PVC프로파일의 경우 국내에서 사용된 제품의 내수량의 합이 525,448톤이고, 폐기물 배출량은 105,853톤으로 나타났다. 재생제품과 재활용원료의 생산량 합계는 76,004톤으로 제품의 내수량에 대비하면 2009년 의무량 8.5%에 비교하여 연구를 통한 재활용량은 추정량 14.46%로 산출되었다. 향후 각 품목의 연도별 사용량은 해당제품의 생산량이 현재와 크게 차이가 없을 것으로 가정하고 연도별 생산량에 대입한 후 5~20년 뒤의 물질수지도를 작성한 결과, 재활용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바닥재 및 프로파일은 2013년에 20% 수준의 재활용률에 도달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actical recycling rate of plastic products, so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to build material flow diagram for PVC profile. For this objective, product generation, waste generation and recycling status were investigated. Using collected and analyz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합성수지의 특성에 따라 사용되는 용도를 전기, 전자, 토목 등의 산업계와, 용기류, 포장재, 생활용품 등의 생활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부분류 내에서 성형용, 피복용, 건축자재용, 문구 및 완구용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각각의 합성수지가 생산되는 용도 및 특성에 따라 최종제품의 생산까지의 전과정에 대해 조사하였다.
  • 조사대상의 내구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진 제품은 다양한 합성수지와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PE, EPS, PVC와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합성수지에 대하여 생산현황을 조사하였다. 합성수지의 특성에 따라 사용되는 용도를 전기, 전자, 토목 등의 산업계와, 용기류, 포장재, 생활용품 등의 생활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부분류 내에서 성형용, 피복용, 건축자재용, 문구 및 완구용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 수지에 각종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게 되며, EPS를 이용하여 단열재스티로폼, 샌드위치 판넬 등을, PVC를 이용하여 전선, 관, 창문틀, PE를 이용하여 관 등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지 및 제품의 용도별 수요현황을 분석하여 제품 사용량을 조사하였으며, 해당제품의 플라스틱 생산업체 표본조사를 실시하여 해당제품의 플라스틱 제조업체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발적 협약을 실시하고 있는 품목 중에서 내구성 재료로서 분류되는 ‘단열재용 스티로폼, 전선피복, PE관, PVC관, PVC바닥재, PVC프로파일’에 대하여 플라스틱의 생산, 이용, 폐기, 재활용 등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물질흐름도를 작성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PVC재질 프로파일에 대하여 소개하기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해당제품의 처리현황에 대한 기존 통계자료들을 조사 · 검토하고, 이후 해당제품의 처리현황에 대한 표본조사를 실시하여 내구성 플라스틱의 자발적 협약제도의 발전 방안에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플라스틱 제품의 재활용률을 산정하기 위하여 PVC프로파일에 대한 물질흐름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① 합성수지 생산 현황 조사, ② 제품별 생산 및 사용현황 조사, ③ 제품별 폐기물 발생 현황 조사, ④ 제품별 재활용 실태 현황 조사, ⑤ 제품별 물질흐름 검토의 전체 5단계를 거쳐 내구성 플라스틱의 발생부터 폐기까지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 해당제품이 폐기된 후 처리되는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폐기물 발생 현황 분석에서와 같이 해당제품이 폐기물로 발생되는 시점에서부터 조사를 실시하였다. 건축물의 철거 시 유가물에 한해서 수집하는 고물상을 방문하여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발적협약 내에서 목표재활용률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자발적협약 내에서 목표재활용률은 해당제품의 연도별 생산량, 국내 출고량, 시장 점유율, 합성수지 투입량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고 있으나, 관련제품인 단열재용 스티로폼, 전선피복, PE관, PVC관, PVC바닥재, PVC프로파일 등은 내구재인 건축용 자재로서 한번 사용 후에는 수십년이 지난 후에 배출되어 생산량에 대비하여 재활용률을 산출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자발적협약 내에서 목표재활용률은 어떠한 인자를 통해 산정되는가? 자발적협약 내에서 목표재활용률은 해당제품의 연도별 생산량, 국내 출고량, 시장 점유율, 합성수지 투입량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고 있으나, 관련제품인 단열재용 스티로폼, 전선피복, PE관, PVC관, PVC바닥재, PVC프로파일 등은 내구재인 건축용 자재로서 한번 사용 후에는 수십년이 지난 후에 배출되어 생산량에 대비하여 재활용률을 산출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폐기물부담금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는 무엇인가? 이러한 부담금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경부에서는 2008년부터 폐기물부담금 대상제품 중에서 사업자가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제품에 대해 사업자 스스로 협약을 체결하여 재활용의무량을 부여하는 자발적 협약 제도를 만들어 플라스틱 제품 등의 재활용을 유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orea Petrochemical Industry Association, Statistics for petrochemical Industry, 1992-2009. 

  2. Statistics Korea, Statistics for various synthetic resins production and shipment, 2008. 

  3. Ministry of Environment, Statistics for generation and treatment of waste, 1998-2008. 

  4. Ministry of Environment, Manual for voluntary agreement of plastic waste recovery and recycling, 2009. 

  5. Korea Plastic Recycling Association, Statistical research on the plastic of the production, use, disposal, treatment, 2006. 

  6. Korea Plastic Technical Research Business Cooperative, A study on waste generation and disposal of architectural PE pipe, 2009. 

  7. Korea Federation Plastic Industry Cooperative, Korea electric Wire Industry Cooperative, Korea Institute of procurement, A study on plastic waste treatment charge system, 2007. 

  8.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 study on standard for Mixing Ratio of voluntary agreement item and process loss probability in plastic waste treatment charge system, 2008. 

  9.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 study on appropriate rate for plastic waste treatment charge, 2009. 

  10. Kores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Environment, Application of life Cycle Assessment Techniques to Recycling of waste Plastics,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