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9년 강원 연안의 계절별 수괴 분포 및 영양염의 시공간적 특성
Seasonal Distribution of Water Masses and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in the Coastal Areas of Gangwon Province of the Korean East Sea in 2009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15 no.2, 2012년, pp.76 - 88  

최미연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심층수연구센터) ,  문덕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심층수연구센터) ,  정동호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심층수연구센터) ,  김현주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심층수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동해 강원 연안에서의 계절 변화에 따른 수괴의 분포와 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2009년 2월, 5월, 8월 그리고 11월에 고성, 속초, 양양, 강릉, 동해 연안의 5개 지점에서 CTD 관측과 동시에 영양염의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온과 염분 분포를 통하여 연구해역에서의 수괴는 대마난류표층수, 대마난류중층수, 북한한류수, 동해고유수와 각 수괴들이 혼합된 혼합수로 구분되었다. 계절 변화에 따른 수괴의 분포를 보면 2월은 수직혼합이 활발하였으며 표층수의 대부분이 대마난류중층수에 기인하였고, 5월에 대마난류표층수는 강원 해역까지 진출하지 못하여 관측되지 않았다. 8월은 표층에 대마난류표층수가 유입되었으며, 11월에는 대마난류의 영향이 서서히 줄어들고 북한한류가 다시 강화되어 나타났다. 영양염 농도의 수직적 분포는 계절변화에 관계없이 표층에서 가장 낮은 농도를 보이다가 수온약층 부근에서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후 수심 200 m 이하에서 질산염인산염은 수심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로 일정한 값을 보였으나 규산염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규산염의 재생산 속도가 다른 영양염의 재 생산 속도에 비해 느리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연구해역에서의 수괴별 영양염의 농도 분포는 4계절 모두 동해고유수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북한한류수, 대마난류중층수, 대마난류표층수의 순이었다. 연구해역에서의 수괴별 N/P ratio는 2월, 5월 그리고 11월은 대부분의 수괴에서 Redfield ratio보다 높거나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대체로 이 기간 동안의 표층에서 질산염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인자로 작용하고 있지 않음을 지시한다. 반면에 8월은 대마난류표층수에서의 N/P ratio가 Redfield ratio보다 크게 낮게 나타났으며 표층에서 질산염 평균 농도가 0.86 ${\mu}m$을 나타내어, 본 연구해역에서는 8월의 표층에서 질산염이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인자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water masses and spatio-temporal variation of nutrients in the coastal areas of Gangwon province of the Korean East Sea, a survey of the physico-chemical parameters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nutrients ($NO_2$-N, $NO_3$-N,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89]는 동해에서 추계의 기초생산력과 질소계 영양염의 동적 관계에 대해 보고한 바 있으며, Yang et al.[1991]이 동해 중부해역의 극전선역에서 동계와 하계에 출현하는 수괴의 수직적 분포양상과 이들 수괴의 화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Moon et al.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동해의 강원 연안에서 2009년의 4계절 동안 측정된 수온과 염분으로부터 계절 변화에 따른 수괴의 분포를 분석하고, 무기 영양염류의 수괴별, 계절별 농도분포와 영양염 원소의 상호관계로부터 강원 연안에서의 계절 변화에 따른 영양염류의 시공간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강원 연안의 계절별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성, 속초, 양양, 강릉, 동해의 5개 지점들이 남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놓여있다고 가정한 후 수온과 염분의 수직 단면도를 Fig. 2와 Fig. 3에 도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해란? 동해는 북서태평양의 연해로서 한반도, 일본열도, 시베리아 대륙으로 둘러싸인 반폐쇄성 해양이다. 평균 수심이 약 1,500 m(최대 수심 약 3700 m)에 달하면서도 외해와 연결하는 4개 해협, 즉 소야해협, 타타르해협, 쓰가루해협, 대한해협의 수심이 얕아 심층수가 인접 바다와 교환되는 양이 작다.
동해의 주된 해류는? [1995]; Wakatsuchi[1996]). 동해의 주된 해류는 대한해협을 통하여 유입하는 대마난류수이고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면서 중·저층의 동해 고유냉수나 북한한류수와 접촉하여 수직적으로 약층을 이루고 수평적으로는 극전선을 이룬다(Yang et al.[1991]).
동해의 특징은? 동해는 북서태평양의 연해로서 한반도, 일본열도, 시베리아 대륙으로 둘러싸인 반폐쇄성 해양이다. 평균 수심이 약 1,500 m(최대 수심 약 3700 m)에 달하면서도 외해와 연결하는 4개 해협, 즉 소야해협, 타타르해협, 쓰가루해협, 대한해협의 수심이 얕아 심층수가 인접 바다와 교환되는 양이 작다. 동해는 공간적인 크기가 대양에 비해 작으나 대양과 유사한 이중 대순환(double gyre) 형태의 상층순환이 존재하며, 해양 현상들이 일어나 축소판 해양(Miniature Ocean)으로 불리어지고 있다(Ichiye[19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상우, 기전풍, 동옥지범, 2003, "표준혼합층 생태계모델을 이용한 동해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변화. 한국수산학회지", Vol. 36, No. 2, 178-186. 

  2. 윤이용, 정소정, 윤상철, 2006, "동해연안 해수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해양공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49-256. 

  3. 해양수산부, 2005,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43-268. 

  4. An, H.S. and Chung, J.Y., 1982, "The fluctuation of the thermal front in the southeastern area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Vol. 18, No. 1, 33-40. 

  5. Cho, H.J., Moon C.H., Yang, H.S., Kang W.B. and Lee K.W., 1997,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III. Distribution patterns of water masses and nutrients in the middle-northern East Sea of Korea in October, 1995", J. Korean Fish. Soc., Vol. 30, No. 3, 393-407. 

  6. Choi, Y.K., Cho, K.D. and Yang S.K., 1995, "Chimney occurrence in the Japan Sea", 8th PAMS & JECSS Workshop Abstracts, 102-103. 

  7. Chung, C.S., Shim, J.H., Park, Y.C. and Park, S.G., 1989, "Primary productivity and nitrogenous nutrient dynamics in the East Sea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Vol. 24, 52-61. 

  8. Ichiye, T., 1984, Some problem of circulation and hydrography of the Japan Sea and Tsushima Current. In: Ocean Hydrography of the Japan Sea and China Seas, edited by Ichiye, T., Elsevier Science Publishers, Amsterdam, 15-54. 

  9. Kido, K. and Nishimura, M., 1973, "Regeneration of silicacate in the ocean. I. The Japan Sea as a model of a closed system", J. Oceanogr. Soc. Japan, Vol. 29, 185-192. 

  10. Kim, C.H. and Kim, K., 1983,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cold water mas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J. Oceanorg. Soc. Korea, Vol. 18, No. 1, 73-83. 

  11. Kim, K. ans Chung, J.Y., 1984, On the salinity minimum and dissolved oxygen maximum layer in the East Sea(Sea of Japan), In: Ocean Hydrography of the Japan Sea and China Seas, edited by Ichiye, T., Elsevier Science Publishers, Amsterdam, 55-65. 

  12. Kim, Y.S., Hwang, J.D., Youn, S.H., Yoon, S.C., Hwang, U.G., Shim, J.M., Lee Y.H. and Jin, H.G., 2007, "Distribution of water masses and chemical properties in the East sea of Korea in spring 2005", J. Korean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Soc., Vol. 10, No. 4, 235-243. 

  13. Moon, C.H., Yang, H.S. and Lee K.W., 1996,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I. Relationship between water mass and nutrient distribution pattern in Autumn", J. Korean Fish. Soc., Vol. 29, No. 4, 503-526. 

  14. Park, C.K., 1978, "Chemical oceanographic aspect of the cold water mass in offshore of the east coast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Vol. 11, No. 2, 49-54. 

  15. Redfield, A.C., Ketchum, B.H. and Richards, F.A., 1963, The influence of organisms on the composition of sea water. In: The Sea. Vol. 2. Ed. by M.N. Hill, 26-77. 

  16. Seung, Y.H. and Yoon, J.H., 1995, "Some features of winter convection in the Japan Sea", J. Oceanogr., Vol. 15, 61-73. 

  17. Shim, J.H. and Park, Y.C., 1986, "Primary productivity measurements using carbon-14 and nitrogenous nutrient dynamics in the southeastern sea of Korea", J. Oceanogr., Vol. 21, 13-24. 

  18. Shim, J.H., Yang, S.R. and Lee, W.H., 1989, "Phytoplankton and the vertical pattern of nitracline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Korean East Sea in early spring", J. Oceanogr. Soc. Korea, Vol. 24, No. 1, 15-28. 

  19. Stowe, K.S., 1979, Ocean science. John Wiley & Sons, New York, 610. 

  20. Tsunogai, S., 1972, An estimation of the rate of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in deep water of the Pacific Ocean, In biological Oceanography of the Northern North Pacific Ocean, Pro. S. Motoda Commemoration Volume. 

  21. Uda, M., 1938, Research on "Simor" or current-rip in the seas and oceans, Geophy. Mag., Vol. 11, 307-372. 

  22. Wakatsuchi, M., 1996, "A possible location of sinking of the Japan Sea bottom water formation", Proceedings of 4th CREAMS Workshop, 57-61. 

  23. Yamada K., Ishizaka J., Yoo S., Kim H. and Chiba S., 2004.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sea surfac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Japan/East Sea (JES)", Progress in oceanography, Vol. 61, No. 2/4, 193-211. 

  24. Yang, H.S., Kim, S.S., Kang C.C. and Cho K.D., 1991, "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Korea Peninsula", Bull. Korean Fish. Soc., Vol. 24, No. 3, 185-192. 

  25. Yang, H.S., Kim, P.J., Lee, J.C. and Moon, C.H., 1994, "Origin of cold water below 10 occurring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East Sea in summer by Ra isotope distribution", Bull. Korean Fish. Soc., Vol. 27, No. 4, 404-412. 

  26. Yang, H.S., Moon, C.H., Oh, S.J. and Lee, H.P., 1997,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II. Distribution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and nitrogen in winter, 1995", J. Korean Fish. Soc., Vol. 30, No. 3, 442-4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