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색미의 영양학적 특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Pigmented R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2, 2012년, pp.235 - 242  

이미경 (광주보건대학교 식품영양과) ,  김영모 (광주보건대학교 식품영양과) ,  박정숙 (광주여자대학교 대체의학과) ,  나환식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색미의 영양학적 특성을 알리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전라남도 내에서 생산되는 유색미 5종을 대상으로 영양학적,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의 경우 보성 흑미가 10.15%로 가장 높았고 진도 정미(7.85%)와 녹미(7.57%)가 가장 낮아 도정된 쌀보다 유색미가 전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조지방은 모든 시료가 도정된 흑미(1.55%)보다 높게(2.73~3.08%) 나타났다. 유리당의 경우 glucose, fructose, maltose와 mannose가 검출되었으며, maltose는 찰흑미에서, mannose는 흑향미와 적미에서, fructose는 찰흑미, 흑향미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무기질의 경우 P, K, Mg, Na, Ca과 Mn 등은 분석 시료에서 고루 함유하고 있었으며, 흑미와 적미가 녹미와 도정된 진도산 흑미에 비해 무기성분 함량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특히 P (361.32~570.11 mg%), K (196.63~210.04 mg%)과 Mg (104.11~128.02 mg%)는 도정된 정미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지방산 조성은 적미를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linoleic acid가 oleic acid 보다는 더 높게 분석되었으며, 적미에서는 oleic acid가 높게 검출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은 보성 흑미, 진도 흑미, 녹미, 적미, 진도 정미 순으로서 보성 흑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녹미는 필수아미노산인 lysine이 996.8 mg%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쌀의 색도는 낱알에서 L값이 녹미, 진도 정미, 적미, 진도 흑미, 보성 흑미의 순이었고, a값은 적미, 진도 정미, 진도 흑미, 보성 흑미, 녹미 순이며 b값은 녹미, 적미, 진도 정미, 진도 흑미, 보성 흑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B_1$$B_2$는 적미가 각각 0.48 mg/100 g, 0.14 mg/100 g으로 타 시료에 비해 높게 분석되었으며, 시료별 경도는 10.75~14.64 kg/$cm^2$으로 시료간 차이를 보였으며 정미보다는 현미 상태가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cellence of pigmented rice with respect to its nutritional composition was proven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ive kinds of rice (Jindo black rice, Jindo jeongmi, Boseong black rice, red rice, and green rice) were compared.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black rice harvested in Bose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유색미는 영양학적 · 기능적인 측면에서 백미보다 훨씬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백미와 혼용하는 일종의 잡곡 형태로 이용되고 있을 뿐 활용도가 낮아 소비자의 기호도 및 선호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색미의 소비를 촉진하고,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기능성 쌀로 이용하기 위한 일환으로 전라남도 내에서 생산되는 유색미 5종을 선별하여 영양학적,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 유색미의 영양학적 특성을 알리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전라남도 내에서 생산되는 유색미 5종을 대상으로 영양학적,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의 경우 보성 흑미가 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색미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무엇이 개발되고 있는가? 유색미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흑미 뿐만 아니라 적 미와 녹미 등 새로운 품종도 개발되고 있다. 현재 보성 등지에서 생산한 적미와 녹미는 야생 상태로 자생하는 벼를 채집하여 증식한 장립형 계통의 쌀로서 현미상태로 가공 생산하고 있으나, 이들 유색미에 관한 영양성분이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유색미는 어떤 영양가가 풍부하며 어떤 건강 기능성이 높은가? 유색미는 본초강목에 의하면 개위익중, 자음보신, 건비완간, 명목활혈 한다고 하며 매일 상식하면 인체의 종합조절 기능과 면역기능을 개선하고 강화시켜 질병 예방과 어린이나 임산부의 빈혈, 피부의 노화방지 및 여성의 미용에 효과가 있고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독특한 향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 불포화지방산, 단백질 등의 영양가가 풍부하여 항종양, 항산화 등의 활성 등 건강 기능성이 높아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6,7).
일본에서 개발된 다양한 특수미의 종류는? 최근 기능성 식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쌀에 있어서도 현미를 비롯하여 유색미와 같은 특수미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이미 거대배아미, 저 알러지미, lipoxygenase 결손미, 향미, 흑미, 적미 등 다양한 특수미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이용가능성에 대해서도 연구가 병행되고 있다(2). 유색미(검정쌀)가 국내에 처음 도입된 것은 1990년경으로 중국에서 들어와 전남지방(진도)을 중심으로 재배되면서 지금은 그 재배 면적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육종선발, 제품개발, 재배 기술 등을 활발히 연구하기 시작하여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HC (2002)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Korean J Crop Sci, 47, 15-32 

  2. Ha TY, Park SH, Lee SH, Kim DC (1999)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pigmented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64-567 

  3. Kim JS (1997) Development of cooked food using speciality rice. Rural Home Economics, 18, 5-8 

  4. Choi HC, OH SK (1996) Diversity and function of pigments in colored rice. Korean J Crop Sci, 41, 1-9 

  5. Choi SW, Nam SH, Choi HC (1994)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rice bran. Foods and Biotech, 5, 305-309 

  6. Wang H, Cao G, Prior RL (1997)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of anthocyanins. J Agric Food Chem, 45, 304-309 

  7. Nam SH, Kang MY (1998) Comparison of inhibitory effect of rice bran-extracts of the colored rice cultivars on carcinogenesis. J Korean Soc Argic Chem Biotechnol, 41, 78-83 

  8.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9. KFDA (2005) Food Code. A separate volume, Munyoung sa. Seoul, Korea, p 3-29 

  10. Gancedo M,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s and sugars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571-573 

  11. Osborne DR, Voogt P (1981) The analysis of nutrients in foods. Academic Press, Messachusetts, USA, p 166-270 

  12. Folch J, Less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3. Waters Associates (1990) Analysis of amino acid by PICO.TAG System. Young-in Scientific Co Ltd, Seoul, Korea, p 41-46 

  14. Lynch PLM, Young IS (2000) Determinaton of thiamin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aphy, A 881, 267-284 

  15. Kim DW, Eun JB, Rhee CO (1998) Cooking conditions and textural changes of cooked rice added with black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62-568 

  16. Ha TY, Park SH, Lee CH, Lee SH (1999) Chemical composition of pigmented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36-341 

  1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 7th revision, Seoul, Korea, p 5-10 

  18. Kim SR, Song YC, Shin MS, Lee SY, Cho JH, Lee JY, Ha WG, Kim YD, Ku YC, Kim HY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gary rice. Korean J Crop Sic, 51, 77-83 

  19. Lee HH, Kim HY, Koh HJ, Ryu SN (2006) Varietal difference of chemical composition in pigmented rice varieties. Korean J Crop Sci, 51, 113-118 

  20. Choe JS, Ahn HH, Nam HJ (2002) Compositi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Korean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85-892 

  21. Fujino Y (1978) Rice lipid. Cereal Chem, 55, 559-571 

  22. Shin HS, Rhee JY (1986) Comparative studies on the lipid content and neutral lipid composition in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137-142 

  23. Son JR, Keum JW, Lee MH, Jeong JH, Oh MJ (1996) Chem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ayers of rice grain. J Korean Soc Food Nutr, 25, 497-503 

  24.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2001) Sixth Revision II, food composition table, Suwon, Korea, p 248-249 

  25. Taira H, Fujii K (1980) Influence of cropping season on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ice bran and milled rice. Nippon Sakumotsu Gakkai Kiji, 49, 559-568 

  26. FAO (1970) Amino acid content of food and biological data on protein. Rome, Italy 

  27. Satue-Gracia MT, Heinonen M, Frankel EN (1997) Anthocyanins as antioxidants on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and lecithin-liposome systems. J Agric Food Chem, 45, 3362-3367 

  28. Sarma AD, Sreelakshmi Y, Sharma R (1997) Anti-oxidant ability of anthocyanins against ascorbic acid oxidation. Phytochemistry, 45, 671-674 

  29. Choi SW, Kang WW, Osawa T, Kawakishi S (1994) Antioxidative activity of crysanthemin in black rice hulls. Foods and Biotech, 3, 233-237 

  30. Lee SJ, Kim SK (1999) Hardness and effect of particles size on pasting properties of Korean rice differing in maturity. J Korean Soc Agric Biotechnol, 42, 45-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