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하나의 과실임에도 불구하고 그 재료 자체로써 소비되기 보다는 다른 식품에 부재료로 소량 사용되고 있는 건대추의 식품학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발효 흑대추를 제조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성분의 함량을 비교 측정하였다. 건대추의 수분함량은 22.66%이었으며, 발효 흑대추의 수분함량은 10.36% 이었고, 당도는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가 각각 6.07, 7.23 brix로 측정되었다. 색도 측정 결과 명도(L)값은 건대추가 34.78, 발효 흑대추가 31.82 이었으며, 적색도(a) 값과 황색도(b) 값도 건대추에 비해 발효 흑대추가 낮았다. 수분활성도는 건대추가 0.75, 발효 흑대추는 건대추보다 낮은 0.45의 수분활성도를 보였으며, 발효 흑대추의 환원당과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이 건대추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에서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무기질의 함량은 발효 흑대추가 건대추에 비해 높았으며,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 모두 무기질 성분 중 칼륨의 함량이 90%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건대추가 51.00%, 발효 흑대추가 59.83%의 조성을 보였고, 건대추와 발효 흑대추 모두 myristoleic acid, palmitic acid, palmitoleic aid 3개의 지방산이 전체 지방산 50% 정도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건대추에 비해 발효 흑대추가 우수한 이화학적 특성과 많은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건대추에 비해 우수한 식품학적 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black jujube (FBJ) were compared with those of dried jujube (DJ) to improve their utilization as food materials. The moisture contents and brix of the DJ and FBJ were 22.6% and 6.07 brix, and 10.36% and 7.23 brix, respectivel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하나의 과실임에도 불구하고 그 재료 자체로써 소비되기 보다는 다른 식품에 부재료로써 소량 사용되고 있는 건대추를 이용하여 새로운 가공품을 개발하고 식품소재로써의 활용범위를 높이기 위하여 발효 흑대추를 제조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 및 영양성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추는 무엇인가? 대추(Ziziphus jujube Miller)는 갈매나무과(Rhamnac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의 열매로서 중국계는 Zizyphus jujuba Miller라 하고 인도계는 Zizyphus mauritiana LAM이라 하며, 유럽 남부, 아시아 남부 및 동부가 원산지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재배되고 있다(2). 대추의 과육은 향기가 별로 없으며 단맛이 강하고 산미가 있어 상쾌한 느낌을 준다.
대추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대추(Ziziphus jujube Miller)는 갈매나무과(Rhamnac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의 열매로서 중국계는 Zizyphus jujuba Miller라 하고 인도계는 Zizyphus mauritiana LAM이라 하며, 유럽 남부, 아시아 남부 및 동부가 원산지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재배되고 있다(2). 대추의 과육은 향기가 별로 없으며 단맛이 강하고 산미가 있어 상쾌한 느낌을 준다.
대추의 수분함량과 조회분의 함량을 무엇을 사용해 측정하였는가? 대추의 일반성분은 AOAC 법(21)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수분함량은 상압가열건조법을 약간 변형하여 적외선수분측정기(Presisa HA-300, Switzer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조회분의 함량은 직접회화법으로 측정하였다. 건 대추 및 발효 흑대추의 조지방 정량은 Soxhlet 법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Kjeldahl 법으로 측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ok HJ (2007) The literary investigation on types and cooking method Bap (boild rice) during Joseon dynasty (1400's-100's). Korean J Food Culture, 22, 721-741 

  2. Choi KS (1990)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jujube fruits var. bokjo during maturity and postharvest ripening(in Korean). J Resour Develop, 9, 47-53 

  3. Shin SR, Han JP, Lee SH, Kang MJ, Kim KS, Lee KH (1999)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dried jujube fruit by drying method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61-65 

  4. Kwon SH, Cho KY, Kim SY, Kim MJ (1993) Application of Ziziphus jujube fruit for dietary life. J Food Sci Technol, 5, 1-14 

  5. Choi KS (1990)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jujube fruits(Zizyphus jujube Miller) var. bokjo during maturity and postharvest ripening. J Resour Develop, 9, 47-53 

  6. Bal JS, Jawanoda JS, Singh SN (1979) Development physiology of ber(Zizyphus mauritina) var. urman. IV. Change in amino acids and sugar(sucrose, glucose and fructose) at different stages of fruit ripening. India FDPckr 33, 3335-3337 

  7. Zryaev R, Irgasheve T, Israilov IA, Abdullaev ND, Yunusov MS, Yunusov S (1977) Alkaloids of Ziziphus jujuba structure of yuziphine and yuzirine. Khim Prir Soedin, 2, 239-243 

  8. Okamura N, Nohara T, Yagi A, Nishioka I (1981) Studies of dammarane-type saponin of Zizyphus fructus. Chem Pharm Bull Japan, 29, 675-683 

  9. Yagi A, Okamura N, Haraguchi Y, Noda K, Nishioka I (1978)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Zizyphi frutus. I. Structure of three new pcoumaroylates of alphitolic acid. Chem Pharm Bull, 26, 1798-1802 

  10. Cyong JC, Takahashi M (1982) Identification of guanosine 3':5'-mono phosphate in the fruit of Zizyphus jujuba. Phytochemistry, 21, 1871-1874 

  11. Na HS, Kim KS, Lee MY (1996) Effect of jujube methanol extract on the hepatotoxicity in CCl4-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839-845 

  12. Lee YG, Cho SY (1995) Effect of jujube methanol extract on benzo(a)pyrene induced hepatotoxicity. J Korean Soc Food Nutr 24, 127-132 

  13. Choi KS, Kwon KI, Lee JG, Lee RK (2003)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tumor activities of jujube tea products. J Resour Develop, 22, 23-29 

  14. Choi KS, Im MH, Choi JD (1996) Utilization of jujube fruits Part IV. Studies on the acceptability of jujube tea. J Resour Develop, 15, 47-53 

  15. Choi KS, Im MH, Choi JD (1997) Effects of formulation variables and drinking temperature on acceptability of jujube tea products. J Kroean Soc Food Sci Nutr, 26, 827-830 

  16. An DS, Woo KL, Lee DS (1997) Processing of powder jujube juice by spray dry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81-86 

  17. Kwon YI, Jung IC, Kim SH, Kim SY, Lee JS (1997) Changes in properties of pitted jujube during drying and extraction. Agr Chem Biotechnol, 40, 43-47 

  18. Cha GH, Lee HG (2001) Sensor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time of daechu-injeulmi added with various levels of chopping jujube. Korean J Soc Food Sci, 17, 29-41 

  19. Min YK, Lee MK, Jeong HS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ujube alcoholic beverage form different addition level of jujube fruit. Agr Chem Biotechnol, 40, 433-437 

  20. Kim SS, Ha JH, Jeong MH, Ahn JH, Yoon WB, Park SJ, Seong DH, Lee HY (2009)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and fresh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280-285 

  21. AOAC (1984) Off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analytical chemists INC, Wahington, USA 

  22. Nelson N (1994) A photometric adoption of the somogyi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lucose. J Biol Chem, 153, 375-381 

  23. Lowry OH, Rosebrough NJ, Fair LA, Randa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24. Wilson AM, Work TM, Bushway AA, Bushway RJ (1981) HPLC determination of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potatoes. J Food Sci, 46, 300-306. 

  25. Morrison WR, Smith LM (1964)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s and dimethylacetals from lipids with boron fluoridemethanol. J Lipid Res, 5, 600-608. 

  26. Yun SI, Choi WJ, Choi YD, Lee SH, Yoo SH, Lee EH, Ro HM (2003)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of Shihwa tidal freshwater marshes. Korean J Ecol, 26, 65-70. 

  27. Kwon YI, Jung IC, Kim SH, Kim SY, Lee JS, Lee JS (1997) Chaneges in properties of pitted jujube during drying and extraction. Agr Chem Biotechnol, 40, 43-47 

  28. Choi KS, Im MH, Choi JD (1996) Utilization of jujube fruits. part III. -soluble sugar, pectins and mineral content of several types of jujube tea. J Resour Develop, 15, 7-13 

  29. Kwon YI, Jung IC, Kim SH, Kim SY, Lee JS, Lee JS (1997) Changes in properties of pitted jujube during drying and extraction. Agri Chem Biotechnol, 40, 43-47 

  30. Aida TM, Tajima K, Smith Jr RL, Arai K (2007) Reaction of d-fructose in water at temperature up to 400 ${^{\circ}C}$ and pressures up to 100 MPa. J Supercrit Fluid, 42, 110-119 

  31. Cho SH, Cho KR, Kang MS, Song MR, Choo NY (2011) Food Chemistry. Kyomunsa, Kyunggido, Korea, p 12-14 

  32. Cho Y, Lee HS (1991)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7, 15-21 

  33. Yi JH, Cho Y, Hwang IK (1998)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by addition of different kinds of minor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Sci, 14, 1-8 

  34. Lee JH, Kwon KI, Bae JH (2005) Phyg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added with jujub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90-5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