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대추와 일반 건조대추의 추출 및 유산발효과정 중 특성 변화
Comparison of Property Changes of Black Jujube and Zizyphus jujube Extracts during Lactic Acid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0, 2012년, pp.1346 - 1355  

어미선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이슬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승준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준배 (서원대학교 외식산업학과) ,  김광엽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포제법(炮製法) 중 가장 대표적인 구증구포(九蒸九炮)법을 응용하여 steam, 건조, 저온 숙성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흑대추를 활용하여 추출 및 발효과정에 일어나는 주요 특성 변화를 건대추와 비교 분석하였다. 대추의 구증구포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흑대추를 활용하여 추출 및 유산발효를 진행하고, 이러한 과정 중에 나타나는 약리활성 성분의 변화를 건대추와 비교함으로써 흑대추 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하여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AOAC법을 이용하여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질의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수분과 조지방, 조회분의 함량은 흑대추가 건대추보다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TLC와 HPLC를 이용하여 당 분석을 하였고, 건대추와 흑대추 모두 fructose, glucose, sucrose로 조성되어 있었고, 각 함량은 건대추는 5.60, 6.30, 9.04 g/100 g이었고, 흑대추는 9.76, 12.76, 2.95 g/100 g으로 건대추는 sucrose의 함량이 fructose와 glucose에 비해 높은 반면, 흑대추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sucrose 함량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흑대추 제조를 위한 구증구포 과정 중 sucrose의 분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용성분이 추출될 수 있는 최적조건을 선정하기 위해 16개의 조건에서 추출수율을 측정하여 반응표면분석법(RSM)으로 최적 조건을 선정하였다. 건대추와 흑대추의 추출수율에 대한 회귀식의 결정계수값 $R^2$은 각각 0.3518, 0.3870으로 모델식이 적합하지 않았고, 이러한 결과는 추출조건에 따라 수율의 차이가 크지 않고, 추출 용매의 에탄올 비율이 증가할수록 수율이 증가하다가 80% 이상이 되면 수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Jeong 등(15)의 추출조건을 응용하여 건대추와 흑대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을 YL-3로 유산발효를 진행한 결과, 두 추출물 모두 배양 8시간 후부터 대수증식기가 시작되었고 24시간 배양 후 대수증식기가 종료되었다. 두 추출물의 초기 pH는 차이가 있었으나 8시간 배양까지 일정하게 유지되고 12시간 후부터 72시간까지 감소하는 유사한 변화 패턴을 보였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건대추와 흑대추의 일반성분 함량 차이와 단당류이당류 조성비의 차이가 유산균의 생육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추 추출물의 유산발효에 의한 기능성 성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free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발효 전 건대추와 흑대추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흑대추가 건대추에 비해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발효 후 건대추의 폴리페놀 함량은 감소하였지만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흑대추는 발효 후 두 물질 모두 증가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발효에 의한 페놀성 물질의 증가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과 동시에 항산화 활성 및 생리기능의 향상을 예측할 수 있었고, 발효가 폴리페놀이나 플라보노이드 이외에도 많은 유효성분의 함량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DPPH에 의한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흑대추의 발효 전 전자공여능은 74.72%로 건대추보다 더 높았고, 발효에 의한 DPPH free 라디칼 소거능의 유의적인 증가 효과는 없었다. 흑대추의 AEAC값이 1.06 mgAAeq/g으로 건대추에 비해 ABTS free 라디칼 소거능이 더 높았으나, 두 추출물 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lack jujube and Zizyphus jujube extracts during lactic acid fermentation. Both extracts were fermented using Lactobacillus fermentum YL-3. As a result, viable cell number rapidly increased until 24 hours, after which it gradually de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역 특산물인 보은 대추를 이용하여 구증구포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흑대추를 활용하여 추출 및 유산 발효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 중에 나타나는 약리활성 성분의 변화를 일반 건조대추와 비교함으로써 흑대추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흑대추 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하여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Means with different letters in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s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증구포는 무엇인가? 구증구포(九蒸九泡)란 약재를 찜통이나 시루 속에 넣어 격수하고 가열함으로써 수열과 증기를 이용하여 약재를 증제하는 방법인 증제법을 9번 반복 시행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약성을 변화시켜 치료효과를 높이고 가공이나 절편, 저장하기에 편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현재까지 구증구포를 통한 약효 증강에 대한 연구를 보면 생지황을 구증구포 하여 숙지황으로 제조 시 당이 증가되고 악성빈혈을 유도한 rat의 치료효능이 증수가 높아질수록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증구포의 목적은 무엇인가? 구증구포(九蒸九泡)란 약재를 찜통이나 시루 속에 넣어 격수하고 가열함으로써 수열과 증기를 이용하여 약재를 증제하는 방법인 증제법을 9번 반복 시행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약성을 변화시켜 치료효과를 높이고 가공이나 절편, 저장하기에 편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현재까지 구증구포를 통한 약효 증강에 대한 연구를 보면 생지황을 구증구포 하여 숙지황으로 제조 시 당이 증가되고 악성빈혈을 유도한 rat의 치료효능이 증수가 높아질수록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산균 중 Lactobacillus fermentum은 무엇인가? 유산균은 유산발효를 하여 식품의 부패를 방지하고, bacteri℃in과 같은 항균물질을 분비하여 식중독균을 억제하며 사람의 장내 pH를 낮추어 장내 부패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등의 효과를 가지는 미생물로 알려져 있다. 특히, Lactobacillus fermentum은 혈당강하, 항산화, 과산화지질 생성 억제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능을 가지는 균주이다. 국내 건강한 산란계의 맹장으로부터 생균제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유산균으로서 선발된 Lactobacillus fermentum YL-3는 내산성, 내담즙성, 내열성, 병원성균 성장 억제 능력 등의 시험을 거쳐 선별된 가장 성상이 우수한 균주로 식품 내 풍미를 제공하고 장내 정상 세균총의 유지, 장내 이상발효의 개선과 부패세균에서 발생된 독성물질의 무독화, 면역기능 부활작용 및 항체 생성, 세균의 감염방지 등 생균제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유산균이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won SR, Kim HG, Ham IH, Lee JJ, Lee JH, Hong SP, Kim DH, Choi HY. 2007. Studies on the changes of oligosaccharide contents in Rehmanniae Radix Preparata according to various processing methods. Kor J Herbol 22: 261-270. 

  2. Ma JY, Ha CS, Sung HJ, Zee OP. 2000. Hemopoietic effects of Rhizoma Rehmanniae Preparata on cyclophosphamideinduced pernicious anemia in rats. Kor J Pharmacogn 31: 325-334. 

  3. Kim SN, Kang SJ. 2009. Effects of black ginseng (9 timessteaming ginseng) on hypoglycemic action an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ginsenosides on the steaming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77-81. 

  4. Kim DW, Lee YJ, Min JW, Kim YJ, No YD, Yang DC. 2009. Conversion of acidic polysaccharide and phenolic compound of changed ginseng by 9 repetitive steaming and drying process, and its effects of antioxidation.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23: 121-126. 

  5.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6. Ann YG, Kim SK, Shin CS. 1997. Sugars in Korean jujube fruit and jujube fruit drink. Korean J Food & Nutr 10: 314-319. 

  7. Park BH, Chae KY, Hong JS.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jujube concentrates prepared by boil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190-197. 

  8. Yook CS. 1972. Screening test on the components of the genus Zizyphus in Korea. Korean J Pharmacog 3: 27-29. 

  9. Lee SK. 1989.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leaves of Zizyphus jujuba Mill.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10. Park MK, Park JH, Shin YG, Cho KH, Han BH, Park MH. 1991. Analysis of alkaloids in the seeds Zizyphus jujuba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rch Pharmacal Res 14: 99-102. 

  11. Cho MK, Kim K, Kim CH, Lee TG, Kim KY. 200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fermentum YL-3 as a poultry probiotic.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8: 279-284. 

  1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2-1-13. 

  13. Kwon YJ, Jang GC, Rah HH, Kim YH, Rhee MS. 2005. The study of sugar analysis in licorice extract by HPLC. J Korean Soc Tobacco Sci 27: 114-119. 

  14. Woo KS, Lee SH, Noh JW, Hwang IG, Lee YR, Park HJ, Lee JS, Kang TS, Jeong HS. 2009.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dried jujub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Nutr 38: 244-251. 

  15. Jeong HM, Kim YS, Ahn SJ, Auh MS, Ahn JB, Kim KY. 2011. Effects of Zizyphus jujuba var. boeunesis extracts on the growth of intestinal microflora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00-508. 

  16. Hagerman A, Harvey-Mueller I, Makkar HPS. 2000. Quantification of tannins in tree foliage a laboratory manual. FAO/IAEA, Vienna, Austria. 

  17.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8.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9. Choi SY, Cho HS, Sung NJ. 2006.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61-966. 

  2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d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1. Sim DW. 2011. Studies on the process method and quality of black jujube.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Korea. 

  22. Park NY, Lee GD, Jeong YJ, Kwon JH. 1998.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boreale .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585-590. 

  23. Lim TS, Do JR, Kwon OJ, Kim HK. 2007. Monitoring on extraction yield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onion (Allium cepa) extracts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05-110. 

  24. Park JW, Kim HS, Park IB, Shin GW, Lee YJ, Jo YC. 2009.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conditions from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6: 376-384. 

  25. Kang KC, Park JH, Back SB, Jhin HS, Rhee KS. 1992. Optimization of beverage preperation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74-81. 

  26. Woo KS, Lee SH, Noh JW, Hwang IG, Lee YR, Park HJ, Lee JS, Kang TS, Jeong HS. 2009.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dried jujub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44-251. 

  27. Bae YK, Choe TB. 2011. Antioxidant and cell activity using extracts of Mume fructu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 388-394. 

  28. Mo JH, Kim KR. 2011. The proximate and antioxidative effect of dried and fermented Salicornia herbacea. Korean J Soc Cosmetol 7: 425-431. 

  29. Kwon GH, Choi DS, Wang MH. 2007.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uonymus alatus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69-574. 

  3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