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동지역 겨울철 강수와 연관된 산악효과와 해양효과
Orographic and Ocean Effects Associated with a Heavy Snowfall Event over Yeongdong Region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2 no.1, 2012년, pp.57 - 71  

조구희 (기상청 예보정책과) ,  권태영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luences of orographic and ocean effect, which depend on the detailed geographic characteristics, upon winter time (December-February) precipitation in the Yeongdong region are investigated. Most of precipitation events in the Yeongdong region during the wintertime are associated with moist nort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겨울철 기상재해는 무엇이 있는가? 인간 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겨울철 기상재해로 한파와 대설현상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베리아의 한랭한 대륙성고기압 확장에 의해 발생하는 한파와는 달리 대설현상은 우리나라의 영동 지역과 호남 지역에서 각기 다른 지역적인 특성을 갖고 빈번히 발생한다 (류찬수와 정병옥, 1995).
겨울철 영동지역의 강수량 예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정성훈 등 (2006)은 영동지역 겨울철 강수가 점차 국지적인 형태로 발생함에 따라 국민 생활과 산업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영동지역은 산악과 해양효과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해안과 산악과의 거리가 짧아 두 효과가 혼합 되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며 지역별로도 강수량 분포에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이유로 고해상도 모델의 사용과 운영에도 불구하고 겨울철 영동지역의 강수량 예보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영동 지역과 호남 지역의 대설 현상을 포함하는 겨울철 강수의 특징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시베리아의 한랭한 대륙성고기압 확장에 의해 발생하는 한파와는 달리 대설현상은 우리나라의 영동 지역과 호남 지역에서 각기 다른 지역적인 특성을 갖고 빈번히 발생한다 (류찬수와 정병옥, 1995). 두 지역의 대설 현상을 포함하는 겨울철 강수의 특징을 비교해 보면 영동지역이 호남지역보다 강수량과 적설이 많고 대설 현상의 빈도도 높다. 그리고 호남 지역의 적설은 공간적 분포가 균질한 반면 영동지역의 적설은 산악과 해안에 따라 변동이 큰 공간적인 분포를 보인다. 정성훈 등 (2006)은 영동지역 겨울철 강수가 점차 국지적인 형태로 발생함에 따라 국민 생활과 산업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지언, 권태영, 이방용, 2005: 영동대설 사례와 관련된 동해상의 현열속과 잠열속 분포 특성. Ocean and Polar Research, 27(3), 237-250. 

  2. 류찬수, 정병옥, 1995: 호남 서해안 지방과 영동지방의 강설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조선대학교 자연과학연구, 19('96.4), 131-158. 

  3. 백선균, 조천호, 김정훈, 송희영, 2005: 윈드프로파일러를 이용한 강수사례분석. J. Korean Meteor. Soc., 41(1), 1-16. 

  4. 안보영, 권태영, 조구희, 이정순, 이규태, 2007: MODIS 구름 산출물을 이용한 영동대설 관련 구름 특성의 분석.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3(2), 71-87. 

  5. 이우진, 2006: 일기도와 날씨해석. (주)광교이택스, 24pp, 94pp 

  6. 이재규, 이재성, 2003: 동풍계열의 기류와 관련된 영동대설 사례에 대한 수치모의 연구. J. Korean Meteor. Soc., 39(4), 475-490. 

  7. 이재규, 1999: 대관령과 강릉지역의 강설량 차이를 일으키는 종관 구조 : 사례 연구. J. Korean Meteor. Soc., 35(3), 319-334. 

  8. 이훈, 이태영, 1994: 영동지역의 폭설 요인. J. Korean Meteor. Soc., 30(2), 197-218. 

  9. 정광범, 권태영, 김지언, 2004: 영동지역 겨울철 강수와 관련된 하층 바람의 특성. J. Korean Meteor. Soc., 40(4), 369-380. 

  10. 정성훈, 변건영, 이태영, 2006: 발생기구에 근거한 한반도 강설의 유형 분류. Atmosphere, 16(1), 33-48. 

  11. 조구희, 조영준, 권태영, 2004: 겨울철 영동지역 강수사례와 관련된 기단의 특성. J. Korean Meteor. Soc., 40(4), 381-393. 

  12. 최만규, 1994: 동해상의 한기남하에 따른 영동지방의 대설. 강원기상청, 1-4pp. 

  13. 최만규, 1998: 영동산간과 해안지방 대설 생성의 구조적 특성. 강원기상특성집제VII권, 373-395. 

  14. Alpert, P., 1986: Mesoscale indexing of the distribution of orographic precipitation over high mountains. J. Climate Appl. Meteor., 25, 532-545. 

  15. Anderson T and S. Nilson, 1990: Topographically Induced Convective Snow bands over the Baltic Sea and Their Precipitation Distribution. Amer. Meteor. Soc., 5, 299-312. 

  16. Carpenter, D. M., 1993: The Lake Effect of the Great Salt Lake: Overview and Forecast Problems. Wea. Forecasting, 8, 181-193. 

  17. Hill, F. F., K. A., Browning, and M/ J. Bader, 1981: Radar and rain gauge observations of orographic rain over south Wales. Quart. J. Roy. Meteor. Soc., 107, 643-670. 

  18. Waldstreicher, J. S., 2002: A foot of snow from a 3000-foot cloud: The Ocean-Effect Snowstorm of 14 January 1999, Bull. Amer. Meteor. Soc., 83, 19-22. 

  19. Kunz, M., and C. Kottmeier, 2006: Orographic enhancement of precipitation over low mountain ranges. Part : Model formulation and idealized simulations. J. Appl. Meteor. Climatol., 45, 1025-1055. 

  20. Neiman P. J., F. M. Ralph, A. B. White, D. E. Kingsmill, and P. O. G. Persson, 2002: The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upslope flow and rainfall in California's coastal mountains: Observations during CALJET. Mon. Wea. Rev., 130, 1468-1494. 

  21. Pandey, G. R., D. R. Cayan, and K. P. Georgakakos, 1999: Precipitation structure in the Sierra Nevada of California during winter. J. Geophys. Res., 104, 12019-12030. 

  22. Rhea, J. O., 1978: Orographic precipitation model for hydrometeorological use. Ph. D. dissertation, Dept. of Atmospheric Science Paper 287,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 198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