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호우의 산지효과 특성 분석: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Orographic Effect about the Rainfall Using Radar Data: A Case Study on Chungju Dam Bas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5, 2015년, pp.393 - 407  

구정모 (고려대학교 대학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노용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김경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DSI센터) ,  유철상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호우의 산지효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적절한 무강우 기간과 절단값을 결정하여 독립호우사상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독립호우사상으로부터 산지효과의 발현 여부를 판단할 주요호우사상을 선정하였다. 또 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전체 기간과 호우중심 기간의 평균반사도를 산정하고, 산지 부근의 반사도와 평균반사도를 비교하여 반사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호우의 특성인자를 선정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충주댐 유역 호우의 산지효과 발현 조건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산악 지역을 통과하는 호우의 이동선상에서의 반사도 변화를 검토한 결과 호우의 시작 지점에 비하여 산악 지역에서의 반사도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산지효과 발현 조건을 탐색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충주댐 유역에서는 임계값이 호우의 이동속도 4km/hr, 접근각도 $90^{\circ}{\pm}5^{\circ}$, 강우강도 4mm/hr인 경우에 산지효과의 발현 여부 적중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orographic effect using radar data for the Chungju dam basin. First, independent rainfall events were selected by applying the IETD (Interevent Time Definition) and rainfall threshold. Among those independent rainfall events, rather strong events were sele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수평직선 분리법을 선택한 이유는? 수문 곡선에서 직접유출량과 기저유출량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는 주 지하수 감수곡선법, 수평직선분리법, n-day법, 수정 n-day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유출량과 기저유 출량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수문곡선 분리의 간편성 때문 에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평직선 분리법을 선택하였다. 유출률을 산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장마 기간에 발생한 호우사상은 IETD를 12시간 이상으로 보완하여 하나의 호우사상으로 추가한 이유는? 총 강우량이 30 mm 이하인 호우사상은 유출수문곡선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아 분석에서 제외 하였다. 또 장마기간에 발생한 호우사상은 IETD에 따라서 2개 혹은 3개의 호우사상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 경우에는 유출수문곡선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직접유출량과 기저유출량을 분리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다. 따라서 장마기간에 발생한 호우사상은 IETD를 12시간 이상으로 보완하여 하나의 호우사상으로 추가하였다.
유출률이란?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독립호우사상으로부터 산지효과의 발현 여부를 판단할 호우사상을 선정하기 위해 유출률을 조사하였다. 유출률이란 강우량과 하천이 하구에 물을 유출하는 양의 비율을 의미한다. 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직접유출량과 기저유출량을 분리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ter, J.C. (1919). "Normal precipitation in UTAH." Monthly Weather Review, Vol. 47, pp. 633-636. 

  2. Barrows, H.K. (1933). "Precipitation and runoff and altitude relations for Connecticut River."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12, pp. 396-406. 

  3. Daly, C., Neison, R.P., and Phillips, D.L. (1994). "A statistical-topographic model for mapping climatological precipitation over mountainous terrain."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33, No. 2, pp. 140-158. 

  4. Donley, D.E., and Mitchell, R.L. (1939). "The Relation of Rainfall to Elevation in the Southern Appalachian Region."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20, No. 4, pp. 711-721. 

  5. Germann, U., Galli, G., Boscacci, M., and Bolliger, M. (2006). "Radar precipitation measurement in a mountainous region."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rological Society, Vol. 132, pp. 1669-1692. 

  6. Henry, A.J. (1919). "Increase of precipitation with altitude." Monthly Weather Review, Vol. 47, pp. 33-41. 

  7. Hutchinson, P. (1968).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opography on rainfall in the Taieri Catchment area, Otago." Earth Science Journal, Vol. 2, pp. 51-68. 

  8. Kim, B.-G. (2006). The synoptic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rain in chungchong Region, Master of Science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9. Kim, K.-W. (2003). Estimation of Orographic Effect on Precipitation in the Han River Basin. Master of Science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Gyeong Gi-Do. 

  10. Kim, N.W. (1998).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rainfall:parameter estimation of point rainfall model, Korea Intsitute of Civil Enginn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11. Kwon, J.H., Park, M.J., and Kim, J.H. (2004). "Rain analysis to estimate the amount of non-point sourse pollution."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2004, pp. 666-670. 

  12. Lee, Y.K. (2010). Recycling plan of lignocellulosic floating material in Chungju Dam, Chungbuk Green Environment Center. pp. 13-14. 

  13. Lim, E.-H., and Lee, T.-Y. (1994). "Two-dimensional numerical study of the terrain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loud and precipitation for the middle part of korea." Korean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30, No. 4, pp. 565-582. 

  14. Marios N.A., John, K., Emmanouil. N.A., and Anastasios, P. (2009). "Experimental results on rainfall estimation in complex terrain with a mobile X-band polarimetric weather radar." Atmospheric Research, Vol. 94, pp. 579-595. 

  15. Park, C., and Yoo, C. (2012). "Review of parameter estimation procedure of freund bivariate exponential distribu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2, pp. 191-201. 

  16. Park, J.-C., Jung, I.-W., Chang, H.-J., and Kim, M.-K. (2012). "Optimization of PRISM parameters and digital elevation model resolution for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5, No. 3, pp. 36-51. 

  17. Park, S.-H., Cho, S.-S., and Kim, S.S. (2009). SPSS 17.0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Hannarae publishing co., pp. 290-298. 

  18. Restrepo-Posada, P.J., and Eagleson, P.S. (1982). "Identification of Independent Rainstorm." Journal of Hydrology, Vol. 55, pp. 303-319. 

  19. Rodda, J.C. (1951). "An objectiv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Areal Rainfall Amounts."Weather., Vol. 17, pp. 54-59. 

  20. Rumley, G.B. (1965). An Investigation of the Distribution of Rainfall with Elevation for Selected Stations in Equador. M.S. Thesis, Texas A&M University. 

  21. Schermerhorn, V.P. (1967). "Relations between topography and annul precipitaion in western Oregon And Washingt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 No. 3, pp. 707-711. 

  22. Seo, K.-H. (1996). Analysis and simulation of orographic rain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Master of Scienc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3. Shin, S.-C., Kim, M.-K., Suh, M.-S., Rha, D.-K. Jang, D.-H., Kim, C.-S., Lee, W.-S., and Kim, Y.-H. (2008). "Estimation of High Resolution Gridded Precipitation Using GIS and PRISM." Korean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18, No. 1, pp. 71-81. 

  24. Spreen, W.C. (1947). "A determination of the effect of topography upon precipitation."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28, pp. 285-290. 

  25. Stidd, C.K., and Leopold, L.B. (1951).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Average Monthly Rainfall, Hawaii." Meteorol Monogr, Vol. 1, pp. 24-33. 

  26. Sung, O.-H. (2001). Applied logistic regression analsis-Theory, Methods, SAS Applications-, Tamjin. pp. 39-87. 

  27. Um, M.-J., Cho, W., and Rim, H.-W. (2007). "Rainfall adjustment on duration and topographic elev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0, No. 7, pp. 511-521. 

  28. Yoo, C., Jun, K.-S., and Kim, K.-W. (2004). "Estimation of orographic effect on precipitation in the han river basin-I. regreession anaysi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24, No. 1, pp. 33-39. 

  29. Yun, H., Um, M.-J., Cho, W., and Heo, J.-H. (2009). "Orographic Precipitation Analysis with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2, No. 6, pp. 465-4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