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세시음식(歲時飮食)에 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Traditional Foods in Korean Festivals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1, 2012년, pp.32 - 49  

오순덕 (서정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reviews 14 studies of the Joseon Dynasty(1392~1909) to examine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in Korean festivals. A total of 12 studies mentioned Seollal, Daeboreum, Dongji, Nappyeng as festivals involving. Traditional foods 10, Yudu, 9, Sambok and Junggujeol, 8, Chuseok and Seotdalgeumme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세시풍속에 대한 문헌은 주로 조선 후기에 나타나는데, 유득공(柳得恭, 1748~1807)의 「경도잡지」 (1796), 김매순(金邁淳, 1776~1840)의 「열양세시기」 (1819), 홍석모(洪錫謨, 1781~ 1850)의 「동국세시기」 (1849) 등 일부에 지나지 않아 다양한 민중의 풍속을 제대로 알기에는 부족한 감이 없지 않다(Yang JJ 2002). 따라서 각종 문집에 나와 있는 문헌들을 검토할 필요가 있어 본 세시음식 연구는 조선시대에 발간된 고문헌 및 문집 14책을 대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사시찬요초(四時 纂要抄)」 (1475~1483), 「농가월령」(農家月令)」 (1619), 「경도잡지」(京都雜志) (1777~1800), 「세시기(추재집){歲時記(秋齋集)}」 (1795), 「규합총서(閨閤叢書)」(1815), 「세시기속(면암집){歲時 記俗(勉菴集)}」(1818), 「열양세시기(烈陽歲時記)」(1819), 「임원 십육지(정조지){林園十六志(鼎祖志)}」 (1827), 「농가십이월속 시(農家十二月俗詩)」(1800년대 초엽), 「세시풍요(歲時風謠)」 (1843년경),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1849), 「한양세시기(漢 陽歲時記)」(1800년대 중엽), 「시의전서(是議全書)」(1800년대 말엽)이며, 「해동죽지(海東竹枝)」(1925년)는 조선시대 후기 생활상의 기록으로 본 연구 대상에 포함시켜 고찰하였다.
  • 시대적 분류는 조선시대 전기(태조 1392년~명종 1567년), 중기(선조 1568년~경종 1724년), 후기(영조 1725년~순종 1909 년)로 나누었다. 문헌에 기록된 세시음식(歲時飮食)을 분석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세시음식을 이해하고 계승하는데 도 움이 되고, 한식 세계화 문화 보급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 DH. 1997. A study on the food of four seasons and festive day in old theme of Korea. Kongju Uni. Industry Development Research 5, pp. 35-44 

  2. Kim HG. 2009. The Study on rite of affliction of royal family in Joseon dynasty. Ph.D. Thesis, Korea Uni. Seoul 

  3. Yang JJ. 2002. The Study on Seasonal Customs of Hae-Dong-Jug-Ji. p. 30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4. 강인희, 조후종, 신현희, 김진원, 윤숙자, 이말순, 이지호, 박혜원, 허채옥, 이춘자, 김귀영, 김명순. 1999. 한국의 상차림. p. 67. 효일문화사, 서울 

  5. 강희맹(姜希孟). 1475-1483. 농가집성(農家集成). 농촌진흥청. pp. 270-298, 2004 

  6. 고상안(高尙顔). 1619. 농가월령(農家月令). 농촌진흥청. pp. 135-187, 2004 

  7. 국립민속박물관. 2006.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현대 신문편 (1946-1970) 

  8. 권용정(權用正). 2003. 1800년대 중엽. 한양세시기. 조선대세시기I. 국립민속박물관 

  9. 김매순(金邁淳). 1819. 열양세시기. 조선세시기. 동문선, 서울. 1991 

  10. 김형수(金逈洙). 2003. 1800년대 초엽. 농가십이월속시. 조선대세시기I. 국립민속박물관 

  11. 박순호(朴順浩). 1976. 한양세시기(漢陽歲時記)에 대(對)하여. 한국민속학회지 9:73-74 

  12. 빙허각 이씨. 1815년경. 규합총서. pp. 297-304. 보진재. 서울, 1975 

  13. 서유구. 1827. 임원십육지 정조지. 교문사. 서울, 2007 

  14. 유득공(柳得恭). 1777-1800. 경도잡지. 조선세시기. 동문선. 서울, 1991 

  15. 유만공(柳晩恭). 1843년경. 세시풍요. 조선대세시기II. p. 37. 국립민속박물관, 2005 

  16. 이성우. 1983. 명절음식과 계절음식. 전통문화 134('83. 9). pp. 40-44. 전통문화사, 서울 

  17. 이성우. 1991. 한국고식문헌집성I. pp. 188-197. 수학사, 서울 

  18. 이창희, 최순권 역주. 2003. 조선대세시기I. 국립민속박물관 

  19. 이춘자. 2002. 세시음식. 월간 국민영양 25:21-25 

  20. 이효지. 1988. 절식(節食)의 영양적 가치. 식품과 영양 35. 농촌진흥청 농촌영양개선연수원 

  21. 저자미상. 1800년대 말엽. 시의전서. 신광출판사. 서울, 2004 

  22. 정약용(丁若鏞). 1819. 아언각비(雅言覺非). pp. 225-226. 일지사. 서울, 1976. 

  23. 조수삼(趙秀三). 1795. 세시기(추재집). 조선대세시기I. 국립민속박물관. 2003 

  24. 조운종(趙雲從). 1818. 세시기속(면암집). 조선대세시기I. 국립민속박물관. 2003 

  25. 조후종. 1997. 우리나라의 명절음식 문화. 명지대학교 여성.가족생활연구논총 제2집:169-196 

  26. 주영하, 김소현, 김호, 정창권. 2005. 19세기 조선생활과 사유의 변화를 엿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27. 최남선. 1948. 조선상식 풍속편. p. 139. 동명사. 서울 

  28. 최영년(崔永年). 1925. 해동죽지. 조선대세시기I. 국립민속박물관. 2003 

  29. 홍석모(洪錫謨). 1849. 동국세시기. 조선세시기. 동문선. 서울,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