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환자의 Digital Mammograph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Mammography for Breast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6 no.1, 2012년, pp.63 - 71  

임청환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상호 (서남대학교 방사선학과) ,  정홍량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모은희 (원광대학병원 영상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방영상검사의 최고의 관심영역인 DR 방식의 유방영상에서 유방암 진단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유방암 환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DR 방식으로 유방영상검사를 실시한 유방암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조사되었다. 유방암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0.8세이었고, 유방암의 발생 부위는 상외측(UOQ)이 전체의 33.3%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에 따른 유방암 발생은 40-49세에서 42.1%로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방암 환자들의 유방조직 밀도는 지방형 유방이 31.6%(18/57), 치밀유방이 68.4%(39/57)로 나타나, 70%에 가까운 유방암 환자들이 치밀유방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유방영상에서 방사선학적 병변 중 종괴와 미세석회화가 함께 동반된 경우 (45.3%)가 유방암 발견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치밀유방에서 미세석회화를 동반하지 않는 종괴의 경우 지방형 유방에서보다 유방암의 발견율이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종괴는 치밀유방에서 위음성율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Digital mammography의 위음성률은 7.0%이었고, 민감도는 93.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밀유방의 위음성율은 12.8%, 민감도는 87.2%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이전에 보고된 screen film mammography의 치밀유방에서 보다 유방암에 대한 민감도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breast cancer diagnosis of digital mammography which is in the highest interest of breast imaging test,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reast cancer patients. For this purpose, 57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breast imaging test were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igital mammography를 실시한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유방영상을 검토하고 분석한 결과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진단율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전망되고 있는 digital mammography를[22] 실시한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유방암 환자들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들의 유방영상을 검토하여 digital mammography의 유방암 진단의 정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유방영상검사의 최고관심 영역이 되고 있는 digital mammography를 시행한 유방암 환자들의 유방영상을 검토하여 유방암 환자들의 특징을 알아보고 유방암 진단의 정확도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30년 동안 유방영상검사에 이용된 방식은? 지난 20-30년 동안 유방영상검사 중 Screen-Film 방식은 유방암을 조기 발견하고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었다. 그러나 필름의 잡음으로 인하여 미세석회화의 발견과 종괴의 변연(margin)을 선명하게 보는 것이 어려웠고, 낮은 관용도, 저대조도 분해능, 필름처리 과정중의 인공물(artifact)에 의한 한계점 때문에 10-30% 정도의 위음성율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5],[6],[7],[8].
유방영상검사의 의의는?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러한 유방암의 발병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고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암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 것이다[2]. 유방영상검사는 유방암에 의한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만져지지 않는 유방암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3],[4].
Screen-Film 방식으로 유방 영삼 검사 시 문제점은? 지난 20-30년 동안 유방영상검사 중 Screen-Film 방식은 유방암을 조기 발견하고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었다. 그러나 필름의 잡음으로 인하여 미세석회화의 발견과 종괴의 변연(margin)을 선명하게 보는 것이 어려웠고, 낮은 관용도, 저대조도 분해능, 필름처리 과정중의 인공물(artifact)에 의한 한계점 때문에 10-30% 정도의 위음성율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5],[6],[7],[8]. 특히 치밀 유방을 지닌 여성에서는 병변과 주변 섬유유선조직이 겹쳐있을 경우 유방암 발견의 민감도가 낮아져 종양의 발견이 더 어려웠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유방암 백서, 한국유방암학회, 2006-2008. 

  2. Stephen J. Glick, Breast CT. Annual Review of Biomedical Engineering,. Vol 9, pp.501-526, 2007. 

  3. Tabar L, Yen MF, Vitak B, Chen HH, Smith RA, Duffy SW. Mammography service screening and mortality in breast cancer patients: 20-year followup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screening. Lancet, Vol. 361, pp.1405-1410, 2003. 

  4. Duffy SW, Tabar L, Chen HH, et al. The impact of organized mammography service screening on breast carcinoma mortality in seven Swedish counties.Cancer, Vol. 95, pp.458-469, 2002. 

  5. Baker LH. Breast Cancer Detection Demonstration Project: five-year summary report. CA Cancer J Clin, Vol. 32, pp.194-225, 1982. 

  6. Feig SA, Shaber GS, Patchefsky A, et al. Analysisof clinically occult and mammographically occult breast tumors. AJR Vol. 128, pp.403-408, 1977. 

  7. Harvey JA, Bovbjerbg VE, Quantitative assessment of mammographic breast density: relationship with breast cancer risk. Radiology, Vol. 230, pp.25-27, 2004. 

  8. Elmore JG, Wells CK, Lee CH, Howard DH, Feinstein AR, Variability in radiologists interpretations of mammograms. N Engl J Med, Vol. 331, pp.1493-1499, 1994. 

  9. 조나리야, 차주희, 문우경, 디지털 유방촬영술, 대한영상의학회지 Vol. 52, pp.225-231, 2005. 

  10. Moon WK, The Use of computer-aided detection system and digital mammograph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second Seoul Internationl Symposium for Computer-Aided Diagnosis Proceeding, pp.24-25, 2004. 

  11. Schulz-Wendtland R, Hermann KP, Lell M, Bohner C, Wenkel E, Imhoff K, et al, Phantom study for the detection of simulated lesions in five different digital and one conventional mammography system. Rofo, Vol. 176, pp.1127-1132, 2004. 

  12. Fischer U, Baum F, Obenauer S, Luftner-Nagel S, von Heyden D, Vosshenrich R, et al, Comparative study in patients with microcalcification: full-field digital mammography vs screen/film mammography. Eur Radiol, Vol. 12, pp.2679-2683, 2002. 

  13.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4th ed. Reston, VA: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2003. 

  14. 최광호, 배정원, 이재복, 구범환, 유방촉진, 유방조영술, 및 유방초음파를 이용한 유방암 크기에 대한 측정치의 비교분석, 대한외과학회지, Vol. 58, No. 3, pp.331-336, 2000. 

  15. 이상민, 최혜영, 백승연, 서정수, 이정식, 문병인, 조기유방암에서 유방촬영술과 유방초음파검사의 진단적 가치. 대한방사선의학회지, Vol. 47, pp.321-328, 2002. 

  16. 한국유방암연구회, 1996년 한국인 유방암의 전국적인 조사자료 분석. 대한외과학회지, Vol. 55, pp.621-635, 1998. 

  17. Smith RA, Saslow DB, Sawyer K, Burke W, Costanza ME, Evans WP 3rd, et al, American Cancer Society guidelines for breast cancer screening: update 2003. CA cancer J Clin, Vol. 53, pp.141-169, 2003. 

  18. Fisher B, Anderson S, Redmond CK, Wolmark N, Wickerham DL, Cronin WM, Reanalysis and results after 12 years of follow-up in a randomized clinial trial comparing total mastectomy with lumpectomy with or without irradiation in treatment of breast cancer. N Engl J Med, Vol. 333, pp.1456-1461, 1995. 

  19. Veronesi U, Saccozzi R, Del Vecchio M, Banfi A, Clemente C, De Lena et al, Comparing radical mastectomy with quadrantectomy, axillary dissection, and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small cancers of the breast. N Engl J Med, Vol. 305, pp.6-11, 1981. 

  20. Morrow M, Strom E, Bassett LW, Fowble B, Giuliano A, Harris JR et al, Standards for breast conserving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invasive breast carcinoma. CA Cancer J Clin, Vol. 52, pp.277-300, 2002. 

  21. 신귀순, 김정민, 김유현, 최종학, 김창균, 유방조직등가 팬텀을 이용한 screen-film과 digital mammography에서의 평균 유선 선량. 방사선기술과학, Vol. 30, No. 1, pp.13-23, 2007. 

  22. Shtern F, Digital mammography and related technologies : aperspective from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Radiology, Vol.1 No. 83, pp.629-630, 1992. 

  23. 우삼욱, 김지수, 윤여규, 강한성, 31예의 증상 없는 유방암 환자의 임상적 고찰. 대한외과학회지, Vol. 57, No. 6, pp.814-819, 1999. 

  24. 이인자, 박계연, 유방의 X선 검사와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연구. 방사선기술과학, Vol. 30, No. 4, pp.349-356, 2007. 

  25. 오기근, 이경식, 정우희, 병합방사선진단방법을 이용한 한국인 여성유방암의 연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Vol. 22, pp.743-760, 1986. 

  26. Kosany CL, Ries LAG, Miller BA, Harras A, Edward BK(eds), SEER Cancer Statistics Review, 1973-1992:Tables and Graphs, National Cancer Institute, NIH pub. NO. 95-2789. Bethesda, MD. 1995. 

  27. 이은혜, 차주희, 한대희, 최영호, 류대식, 황기태, 곽진호, 유방암 환자들의 이전 선별검사 분석. 대한영상의학회지, Vol. 56, No. 2, pp.191-202, 2007. 

  28. 민경삼, 위회수, 박찬흔, 배수동, 유방암의 임상분석. 대한외과학회지, Vol. 50, pp.202, 1996. 

  29. Edeiken S, Mammography and palpable cancer of the breast. Cancer, Vol. 61, pp.263-265, 1998. 

  30. Nehmat Houssami, Les Irwig, Judy M. Simpson, Merran McKessar, Steven Blome, and Jennie Noakes. Sydney Breast Imaging Accuracy Study: Comparativ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Mammography and Sonography in Young Women with Symptoms Am. J. Roentgenol., Vol. 180, pp.935-940. 2003. 

  31. Houssami N, Ciatto S, Irwig L, Simpson JM, Macaskill P, The comparative sensitivity of mammography and ultrasound in women with breast symptoms: an age-specific analysis, the breast Vol, 11. pp.125-130, 2002. 

  32. Mandelson MT, Oestreicher N, Porter PL, White D, Finder CA, Taplin SH, et al, Breast density as a predictor of mammographic detection: comparison of interval and screen-detected cancers. J Natl Cancer Inst, Vol. 92, pp.1081-1087, 2000. 

  33. 김승형, 김미혜, 오기근. 유방촬영술상 연령에 따른 한국여성의 유방밀도 분석과 서양여성과의 비교. 대한방사선의학회지, Vol. 42, pp.1009-1014, 2000. 

  34. Patricia A. Diana L, Bonnie C. Karla K, Robert R, Carolyn M, Berta M, et al. individual and combined effects of age, breast density,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use on the accuracy of screening mammography. Ann Intem Med. Vol. 138, pp.168-175,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