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뉴스는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온실가스 특히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한 녹색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탄소 저감 및 에너지 효율화를 실현하고, 미래지향적인 녹색도로를 구현하기 위하여, 녹색도로기술을 정의하고, 기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도로와 교통 전문가 29인에게 AHP기법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한 후에, Expert Choice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택의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생애주기 변화와 도로 건설 특성을 고려한 1계층 분야와 녹색도로기술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2계층 분야를 구분하여 전문가들의 선택을 분석한 결과, 탄소저감과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1계층에서는 교통운영 인프라개선, 도로교통정책, 녹색교통 순으로 우선순위 가중치가 높으며, 2계층에서는 녹색도로 관련 기술 R&D투자 및 정책 지원, 녹색교통시설 설계 및 운영, 친환경 도로계획 순으로 우선순위 가중치가 높았다. 추가적으로 전문가들의 기술 우선순위와 국가 재정투자를 비교하기 위하여 2011년까지 5년간의 국토해양부 도로투자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최근 도로건설에 대한 투자보다는 도로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도로 관리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응답한 기술 목표를 달성하고 최종적으로 녹색도로 구현을 위한 핵심 및 요소기술 개발과 중소기업 기반 도로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는 아직 미진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녹색도로 건설 구현을 위하여 녹색도로기술 개발 R&D투자를 도모하고 상업화를 지원하는 풍토가 조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기후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뉴스는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온실가스 특히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한 녹색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탄소 저감 및 에너지 효율화를 실현하고, 미래지향적인 녹색도로를 구현하기 위하여, 녹색도로기술을 정의하고, 기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도로와 교통 전문가 29인에게 AHP기법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한 후에, Expert Choice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택의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생애주기 변화와 도로 건설 특성을 고려한 1계층 분야와 녹색도로기술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2계층 분야를 구분하여 전문가들의 선택을 분석한 결과, 탄소저감과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1계층에서는 교통운영 인프라개선, 도로교통정책, 녹색교통 순으로 우선순위 가중치가 높으며, 2계층에서는 녹색도로 관련 기술 R&D투자 및 정책 지원, 녹색교통시설 설계 및 운영, 친환경 도로계획 순으로 우선순위 가중치가 높았다. 추가적으로 전문가들의 기술 우선순위와 국가 재정투자를 비교하기 위하여 2011년까지 5년간의 국토해양부 도로투자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최근 도로건설에 대한 투자보다는 도로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도로 관리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응답한 기술 목표를 달성하고 최종적으로 녹색도로 구현을 위한 핵심 및 요소기술 개발과 중소기업 기반 도로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는 아직 미진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녹색도로 건설 구현을 위하여 녹색도로기술 개발 R&D투자를 도모하고 상업화를 지원하는 풍토가 조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t is not surprising to hear news about irresistible natural disasters all over the world due to climate change.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on developing a variety of green technologies to reduce green house gasses, in particular, carbon dioxide. This study suggested 18 technology divisions for a...
It is not surprising to hear news about irresistible natural disasters all over the world due to climate change.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on developing a variety of green technologies to reduce green house gasses, in particular, carbon dioxide. This study suggested 18 technology divisions for achieving green highway technology development in six different sub-sectors considering life-cycle of roadway and surveyed 29 highway and/or transportation professionals of three institutes using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alysis to construct "Green Highway"and realize carbon emission reductions and energy use efficiency in a road sector in Korea. Expert Choice Software was used to rank 18 technology divisions weighted by two-level choices. Transport Operat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Roadway Policy Implementation, Green Transportation(such as Pedestrian and Bicycle) were highly ranked by respondent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AHP modeling. Among the 18 divisions, technology policy for supporting R&D investments from development to commercialization was ranked as the most significant one to be focused. Green Transportation Facility Design/Construction/Operation and Eco-Friendly Roadway Plan were followed as expected since professionals have thought that the planning/design step of the life-cycle is a starting point to reduce carbon dioxide from roads more and more. Additionall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Government investment trend 2006-2011 for the roa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invest to the R&D area more widely than before to promote element and core technology development for Green Highway Construction. Above all, small and mid-sized businesses have to be invested as well as encouraged to undertake green highwayrelated objects to accomplish the divisions which ranked high.
It is not surprising to hear news about irresistible natural disasters all over the world due to climate change.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on developing a variety of green technologies to reduce green house gasses, in particular, carbon dioxide. This study suggested 18 technology divisions for achieving green highway technology development in six different sub-sectors considering life-cycle of roadway and surveyed 29 highway and/or transportation professionals of three institutes using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alysis to construct "Green Highway"and realize carbon emission reductions and energy use efficiency in a road sector in Korea. Expert Choice Software was used to rank 18 technology divisions weighted by two-level choices. Transport Operat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 Roadway Policy Implementation, Green Transportation(such as Pedestrian and Bicycle) were highly ranked by respondent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AHP modeling. Among the 18 divisions, technology policy for supporting R&D investments from development to commercialization was ranked as the most significant one to be focused. Green Transportation Facility Design/Construction/Operation and Eco-Friendly Roadway Plan were followed as expected since professionals have thought that the planning/design step of the life-cycle is a starting point to reduce carbon dioxide from roads more and more. Additionall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Government investment trend 2006-2011 for the roa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invest to the R&D area more widely than before to promote element and core technology development for Green Highway Construction. Above all, small and mid-sized businesses have to be invested as well as encouraged to undertake green highwayrelated objects to accomplish the divisions which ranked high.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논문의 목적은 녹색도로 건설 구현이라는 미래 도로 비전을 핵심기술 개발, 실용화, 현장 적용을 통해 조속히 이룰 수 있도록 녹색도로 산업분야 구분 및 각각의 달성목표기술을 설정하고,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정부투자 의사결정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함이다. 이는 도로 및 교통 전문가들이 탄소 배출 및 에너지 소모 저감을 위하여 정책적으로 시기적절하게 투자가 필요한 분야들의 기술 우선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저탄소 녹색성장” 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선정하고, 그 결과를 저탄소 도로정책의 의사결정자들에게 전달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녹색도로기술의 체계를 정립하고, 달성목표 기술을 도출함으로써, 목표 지향적으로 산, 학, 연들의 R&D 연구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부가적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녹색도로기술을 정의하고, 녹색도로 달성 목표 기술을 녹색도로 적용 산업분야별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정부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녹색도로기술의 체계를 정립하고, 달성목표 기술을 도출함으로써, 목표 지향적으로 산, 학, 연들의 R&D 연구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부가적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녹색도로 구현을 위한 산업분야별 달성목표기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책적인 우선순위 결정에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통한 국내 도로, 교통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 사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녹색도로 구현을 위한 산업분야별 달성목표기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책적인 우선순위 결정에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통한 국내 도로, 교통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 사례를 검토하였다. 국외는 AHP기법을 통해 도로, 철도 분야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사례가 거의 없으나, 최근 아시아지역의 지방부 도로에 대한 투자우선순위 평가 연구에 활용된 논문을 검토하였다.
도로에서의 녹색기술 개발을 고려하고 있는 개발 수요자 및 투자의사 결정자에게 효율적인 투자 방향성 및 투자 정당성을 제시하고 해당 기술의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촉진하여“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정목표에 부응하기 위한 전략수립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반면, 의사결정 기법의 단점 중 하나는 일부 평가자의 동기적 편향(motivational bias)에 의해 전체적인 의사결정이 왜곡될 수도 있다는 것인데, AHP기법의 경우 최종 가중치 분포에 대한 사전적 인지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응답의 일관성 정도를 비일관성 비율의 검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비일관성 비율이 0의 값이라는 것은 응답자가 완전한 일관성을 유지하며 쌍대비교를 수행하였음을 의미한다.
본 절에서는 앞서 분석한 녹색도로기술에 대하여 도로·교통 전문가들의 우선순위 제안과 최근 5년간 정부의 도로투자추이 현황과 비교하여, 국가의 재정투자에 대한 적절성을 판단해 보았다.
본 연구는“저탄소 녹색성장”기조에 맞추어 미래 도로 비전을 녹색도로 구현으로 설정하였으며, 탄소 및 에너지 관련 핵심기술 개발, 실용화, 현장 적용을 통해 이룰 수 있도록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녹색도로의 산업분야를 구분하고, 분야별로 달성해야하는 목표기술을 최종 설정하였다. 각 산업분야 및 분야별 달성목표기술의 우선순위와 가중치는 AHP모형 추정기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향후 녹색도로기술에 대한 정부의 투자의사결정 시 최종결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안 방법
이를 위해 우선 녹색도로 및 녹색도로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정립 및 연구의 방향성에 대하여 구술하고, 관련 연구사례를 검토한다. 이후, AHP기법을 통해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1차 집계결과를 기술한 후, 본격적으로 Expert Choice 프로그램을 활용한 AHP모형 추정을 통해 목표기술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녹색도로 및 녹색도로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정립 및 연구의 방향성에 대하여 구술하고, 관련 연구사례를 검토한다. 이후, AHP기법을 통해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1차 집계결과를 기술한 후, 본격적으로 Expert Choice 프로그램을 활용한 AHP모형 추정을 통해 목표기술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통해 전문가가 제안하는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도로기술의 우선순위와 현재 정부의 도로투자추이 현황과 비교하며 시사점을 제시한 후, 종합적인 결론 기술, 향후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이후, AHP기법을 통해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1차 집계결과를 기술한 후, 본격적으로 Expert Choice 프로그램을 활용한 AHP모형 추정을 통해 목표기술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통해 전문가가 제안하는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도로기술의 우선순위와 현재 정부의 도로투자추이 현황과 비교하며 시사점을 제시한 후, 종합적인 결론 기술, 향후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최상위 수준은“교통 시설 공급 및 확충”, “교통수요관리”, “교통운영관리”로 구분하였으며, 차상위 수준으로는 총 21개로 분류하여 설계하였다.
AHP기법을 활용하여 178개의 지방부 도로에 사회·경제적인 기준을 고려하여 최종 점수를 기반으로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도로축별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계층구조 중 최상위 수준에는 본 의사결정의 목표인‘도로건설 및 개량사업의 우선순위 결정’을 두었다. 제 2수준에서는 평가항목으로 경제적 측면 및 정책적 측면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은 다시 2개 및 3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제 3수준은 대안이 되는 도로축으로 두었다.
이재영 등(2006)은 환경, 도시, 교통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AHP분석을 통하여 도시 내 도로건설사업 평가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평가모형 및 평가참여자의 중요도 인식특성을 분석하였다. 문제의 정의 및 평가요소, 계층 구조화는 선행연구 및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1계층은 공통항목 및 특수항목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재영 등(2006)은 그룹의사결정 방법을 통한 평가 참여자의 중요도 인식특성에 대한 결과로서 각 그룹(환경, 도시, 교통전문가)별로 평가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므로 이를 충분히 고려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이르도록 유의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최재원 등(2011)은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따른 교통사고 저감대책의 의사결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통전문가를 대상으로 AHP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정량적/정성적 대책은 상위 1계층으로 제시하고, 하위 평가항목으로는 각각의 대책별로 4개의 하위 대책을 제시하여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송혜승, 성현곤(2010)은 AHP분석을 통하여 대도시권의 광역교통 정책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달성목표기술 설계 및 작성단계는 먼저 건교평 국가 R&D 연구단 연구진 그룹과 함께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최종 검토, 검증되어 확정되었다.
비일관성 비율이 0의 값이라는 것은 응답자가 완전한 일관성을 유지하며 쌍대비교를 수행하였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일관성 비율을 산출하여 0.2 이상이면 일관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재조사를 실시하여 보완한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미래지향적인 녹색도로를 구현하기 위하여 녹색도로기술을 정의하고 기술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세부 달성목표기술 간 가중치(중요도)를 모형을 통해 추정하였다. 도로에서의 녹색기술 개발을 고려하고 있는 개발 수요자 및 투자의사 결정자에게 효율적인 투자 방향성 및 투자 정당성을 제시하고 해당 기술의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촉진하여“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정목표에 부응하기 위한 전략수립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도로교통 분야를 6개 산업분야로 구분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한 각 산업분야별 달성 목표기술을 표 1과 같이 구분하였다. 달성목표기술 설계 및 작성단계는 먼저 건교평 국가 R&D 연구단 연구진 그룹과 함께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최종 검토, 검증되어 확정되었다.
설문내용은 도로상 “탄소 및 에너지 저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투자지원이 필요한 기술 산업분야(1계층)의 우선순위 결정 및 각 산업분야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2계층)의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조사는 2012년 2월 중에 수행되었으며 각 조사 요원이 기관을 방문하여 피설문자를 대상으로 조사의 개요, 목표, 각 세부목표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설명하고 1~2일 후 재방문하여 설문지를 수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의 비일관성이 높은 경우는 2차, 3차 재조사(feedback)를 수행하였다. 우선 전체 36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재조사 후에도 비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 7명을 제외한 29명을 최종적인 설문분석 대상으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는 녹색도로 구현을 위한 달성목표기술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설문지 작성단계부터 성격에 맞게 계층을 구분하여 설계하였다(표 1 참조).
녹색도로기술에 대한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를 산정하기 위해 세부 기술들을 동질적 집합으로 군집화하여 2계층의 수준으로 구분하였으며, 산업분야와 세부목표를 각각 제1계층과 제2계층으로 분리한 계층구조로 AHP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이후 달성목표기술의 가중치 측정(weighting)을 중심으로 모형추정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저탄소 녹색성장”기조에 맞추어 미래 도로 비전을 녹색도로 구현으로 설정하였으며, 탄소 및 에너지 관련 핵심기술 개발, 실용화, 현장 적용을 통해 이룰 수 있도록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녹색도로의 산업분야를 구분하고, 분야별로 달성해야하는 목표기술을 최종 설정하였다.
녹색도로기술에 대한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를 산정하기 위해 세부 기술들을 동질적 집합으로 군집화하여 2계층의 수준으로 구분하였으며, 산업분야와 세부목표를 각각 제1계층과 제2계층으로 분리한 계층구조로 AHP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이후 달성목표기술의 가중치 측정(weighting)을 중심으로 모형추정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고려하는 녹색도로는 탄소중립도로, 친환경도로(생태도로 포함), 녹색에너지 도로(도로 에너지 효율성 향상 및 에너지 생산 포함), 녹색교통(보행, 자전거, 버스 등 노면 대중교통) 기반 도로, 녹색도로 제도/정책 등의 분야 및 산업을 포함한 도로이며, 이러한 개념은“탄소중립형 도로 기술 개발”연구단에서도 활용한다.
설문조사는 2012년 2월 중에 수행되었으며 각 조사 요원이 기관을 방문하여 피설문자를 대상으로 조사의 개요, 목표, 각 세부목표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설명하고 1~2일 후 재방문하여 설문지를 수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의 비일관성이 높은 경우는 2차, 3차 재조사(feedback)를 수행하였다. 우선 전체 36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재조사 후에도 비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 7명을 제외한 29명을 최종적인 설문분석 대상으로 결정하였다.
집단의사결정은 그 구성원의 선정이 의사결정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평가자의 선정에 신중함을 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총 29명의 전문가 집단을 평가자로 선정하였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AHP분석기법을 통한 설문 샘플은 30개 이상의 표본수를 선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도로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3개의 도로 및 교통 관련 연구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도로교통연구원)의 대표 전문가 29인이 최종적으로 항목간 쌍대비교를 통해 평가한 녹색도로기술 최종 우선순위는 제 1계층(녹색도로 산업분야)과 제 2계층(달성목표기술)별로 구별하여 각각 선정되었다. 제 1계층에서는 도로 교통운영분야, 도로정책분야, 도로 에너지/환경관리 분야순으로 중요도가 결정되었으며, 제 2계층 수준에서는 녹색도로 기술 및 산업 지원 등의 정책 대응, 녹색교통수단의 시설 설계 및 운영, 친환경 도로계획, 에너지 효율적 도로 운영관리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선정기준에 따라 전문가를 엄선한 결과, 최종적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의 연구업무 종사자가 설문조사 대상 전문가로 선정되었다.
데이터처리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16%를 차지하고 있다는 널리 알려진 정보로 인하여 도로, 교통전문가들은 자재 및 시공과 연관이 있는 도로 건설 분야보다는 도로 교통운영 분야에 녹색 도로 실현을 위해 선행되어 투자되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론은 최우선 분야를 단순 종합한 결과이며, 대안 간 우선순위를 정확한 가중치 산정을 통하여 선택의 강건성(Robustness)을 판단할 필요가 있으므로 Expert Choice 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성능/효과
설문조사결과를 토대로 피설문자 29명의 산업분야(1계층)별 분포를 단순히 1차 집계한 결과 도로계획 및 설계 분야는 8명(27.6%), 도로건설 분야는 1명(3.4%), 도로 교통운영 분야는 6명(20.7%), 도로 에너지/환경관리 분야는 2명(6.9%), 녹색교통은 5명(17.2%), 도로정책은 7명(24.1%)이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해 최우선으로 지원이 필요한 산업분야로 선택하였다(그림 4 참조).
녹색도로 구현 달성목표기술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AHP 모형 추정결과를 살펴보면, 제1계층의 산업분야 가중치에서 도로 교통운영이 22.5%로 가장 높은 중요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도로정책이 21.4%, 도로 에너지/환경관리 18.2%, 녹색교통 14.9%, 도로 계획 및 설계 14.5%, 도로건설 8.4% 순으로 중요도를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2계층의 중요도 산정 결과를 살펴보면 기술, 산업 지원 정책대응 기술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녹색교통수단의 시설 설계 및 운영, 친환경 도로 계획, 에너지 효율적 도로 유지 관리, 교통운영 인프라 개선의 순으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반면 신소재 적용 도로포장의 가중치가 가장 낮게 분석되었으며, 기능성 도로포장, 재활용 도로포장, 에너지 생산도로포장 등 제1계층의 항목 중 도로건설에 해당하는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가 대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2계층의 중요도 산정 결과를 살펴보면 기술, 산업 지원 정책대응 기술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녹색교통수단의 시설 설계 및 운영, 친환경 도로 계획, 에너지 효율적 도로 유지 관리, 교통운영 인프라 개선의 순으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반면 신소재 적용 도로포장의 가중치가 가장 낮게 분석되었으며, 기능성 도로포장, 재활용 도로포장, 에너지 생산도로포장 등 제1계층의 항목 중 도로건설에 해당하는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가 대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도로·교통전문가들은 도로에서의 탄소저감을 대상을 도로건설부문 보다는 녹색 도로 신기술 개발, 녹색교통수단 이용자들의 도로시설 설계 및 운영, 친환경 도로 계획, 도로에서 소모되는 에너지 관리 등 자동차로부터의 배출량 관리가 우선 선행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도로 산업분야별 전문가를 그룹으로 나누어 세부 달성목표기술에 대한 AHP모형 가중치 추정결과를 살펴보면 전체분야에서는 공통적으로 기술, 산업지원 정책 대응 기술의 우선순위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그 다음으로 도로계획 및 설계분야의 전문가들은 지체 최소 교통정보 운영과 자동주행 도로시설의 설계 및 운영의 순으로 우선순위를 높게 두었으며, 신소재 적용 도로포장, 기능성 도로포장 등 도로건설 분야의 달성목표기술에 우선순위를 낮게 평가하였다.
그 다음으로 도로계획 및 설계분야의 전문가들은 지체 최소 교통정보 운영과 자동주행 도로시설의 설계 및 운영의 순으로 우선순위를 높게 두었으며, 신소재 적용 도로포장, 기능성 도로포장 등 도로건설 분야의 달성목표기술에 우선순위를 낮게 평가하였다. 도로건설 분야의 전문가들은 재활용 도로포장과 교통운영인프라 개선을, 도로교통운영 분야의 전문가들은 사고방지 및 사고지체개선과 녹색교통수단의 시설 설계 및 운영을, 에너지/환경 관리 전문가들은 녹색교통수단의 시설 설계 및 운영과 에너지 효율적 도로 유지관리를, 녹색교통 분야 전문가들은 녹색교통수단의 시설 설계 및 운영과 친환경 도로 계획을, 도로정책 분야의 전문가들은 저탄소 도로 및 시설물 설계와 교통운영 인프라 개선의 순으로 우선순위를 높게 평가하였다. 이와 반대로 도로건설 분야의 전문가들은 사고방지 및 사고지체 개선과 자동주행 도로시설의 설계 및 운영을, 도로교통운영 분야의 전문가들은 신소재 적용 도로포장과 에너지 생산 도로포장을, 에너지/환경관리 전문가들은 신소재 적용 도로포장과 자동 주행 도로시설의 설계 및 운영을, 녹색교통 분야 전문가들은 재활용 도로포장과 기능성 도로포장을, 도로정책 분야의 전문가들은 재활용 도로포장과 신소재 적용 도로포장의 우선순위를 낮게 평가 하였다.
도로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3개의 도로 및 교통 관련 연구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도로교통연구원)의 대표 전문가 29인이 최종적으로 항목간 쌍대비교를 통해 평가한 녹색도로기술 최종 우선순위는 제 1계층(녹색도로 산업분야)과 제 2계층(달성목표기술)별로 구별하여 각각 선정되었다. 제 1계층에서는 도로 교통운영분야, 도로정책분야, 도로 에너지/환경관리 분야순으로 중요도가 결정되었으며, 제 2계층 수준에서는 녹색도로 기술 및 산업 지원 등의 정책 대응, 녹색교통수단의 시설 설계 및 운영, 친환경 도로계획, 에너지 효율적 도로 운영관리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자면, 1) 녹색도로가 미래지향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도로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법 개정 등)이 선행되어 기술개발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는 기반이 갖추어져야 하고, 2) 자동차 탄소배출량 저감을 위한 수단전이를 유도하기 위하여 녹색교통시설의 설계 및 운영을 지원해야하며, 3) 친환경 도로계획을 통해 저탄소 배출 도로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고찰해본 결과, “녹색도로”라는 용어는 종래 친환경도로, 생태도로 등과 같이 자연과 친화적 이고, 생태계 보전 및 환경보호를 고려하는 도로의 개념으로부터 파생되었는데, “녹색”이라는 단어는 자연(Nature)을 고려한 환경친화성(Eco-Friendly)이라는 일편적인 의미로 활용되는 사례가 많았다.
후속연구
2006년부터 2011년까지의 국토해양부 도로투자 추이와 비교했을 때, 전문가들이 평가한 녹색도로 달성목표기술이 크게 상반되지는 않지만, 향후 한국의 도로가 녹색도로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과거보다 녹색도로 건설을 위한 기반 연구와 핵심요소기술 연구에 투자하고 지원하는 풍토가 조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색기술에 대한 법적 필요성은 어디에서 제시하고 있나요?
본격적으로「녹색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공감하게 된 것은 2008년“녹색성장(Green Growth)”이라는 국정 목표가 설정된 이후이다. 특히 녹색기술에 대한 법적 필요성은 2011년 4월 고시된「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에서 제시하고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의 주요 핵심은 무엇인가요?
제 1조에 의하면 이 법의 목적은“…녹색기술과 녹색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활용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을 도모하고, 저탄소 사회를 구현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이라고 지정되어 있으며, 녹색기술을 통하여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을 마련하자는 것이 주요 핵심이다. 법적 용어로“녹색기술”을 정의해보면 아래와 같이 정해져 있다.
기후변화 관련 국제협약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요?
2010년 1월초 한국 중부지방 폭설, 2011년 7월말 서울 서초구 일대 폭우 등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및 재난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세계는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및 UNFCC(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등과 같은 기후변화 관련 국제협약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의 방출을 제한하여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자고 하는 공통된 목적을 가지고 지구적인 환경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Jyotirmoy Dalal, Pratap J. J. Mohapatra, Gopal C. Mitra, Priritization of Rural roads: AHP in Group decision,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Management, Vol. 17 Iss: 2, 2010
Navid Khademi and Abdolreza Sheikholeslami, Multicriteria Group Decision-Making Technique for a Low-Class Road Maintenance Program, Journal of Infrastructure Systems, Vol 16, Issue 3, American Society of Civil Enine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