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요대응형 교통수단 시뮬레이션 방안: Real-Time Shared-Taxi 적용예시
A Simulation Model for Evaluating Demand Responsive Transit: Real-Time Shared-Taxi Application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4 no.3 = no.53, 2012년, pp.163 - 171  

정재영 (University of California)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요대응형 교통수단(Demand Responsive Transit)은 변화하는 이동수요에 대응하는 탄력적인 교통수단으로 단순히 노약자와 장애인을 위한 복지교통 서비스의 영역이 아니라, 무선통신과 위치정보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의 발달로 인하여 도심형 수단으로 보다 효율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문전서비스(Door-to-Door)를 제공하는 수요대응형 교통수단 시뮬레이션에 적합한 상용툴의 부재로 인하여 알고리즘이나 차량 운행 요소를 면밀하게 분석하기 힘든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는 수요대응형 교통수단에 연관된 다양한 차량 운영계획과 알고리즘을 구현, 평가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안한다. 문전서비스(Door-to-Door) 기반의 차량 운행 모형을 적용하기 위하여 확보되어야 하는 시뮬레이션 입력 데이터를 정의하고 있으며, 수요대응형 교통수단의 대표적인 범주에 속하는 실시간 합승 택시(Shared-Taxi) 서비스를 서울시 교통망과 택시 수요를 이용하여 적용하였다. 합승 택시 운행 계획을 위하여 Nearest Vehicle Dispatch(NVD)와 Insertion Heuristic(IH), 두 종류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합승(Ride-sharing)을 허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택시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스템 효율 향상과 서비스 품질 변화를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mand Responsive Transit (DRT) services are becoming necessary as part of not only alternative transportation means for elderly and mobility impaired passengers, but also sustainable and flexible transportation options in urban area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Loc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합승으로 인해 지나치게 증가하는 택시 대기시간과 우회경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제약조건을 고려한다. 첫째는 최대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것으로, 요청을 받은 택시는 15분 이내로 승객의 출발지에 도착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요대응형 교통수단에 연관된 알고리즘과 운영기법을 검증 및 평가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방안을 소개하고, 적합한 적용 예시로 Shared-Taxi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뮬레이션 모델은 추가적인 네트웍 입력작업 없이 기존의 교통망을 시뮬레이션에 이용하는 수요대응형 교통수단의 시뮬레이션 기법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적용 예시를 위해 Shared-taxi(합승택시) 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차량 운행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마지막으로 제안된 방식에 근거한 최적화되고 범용적인 시뮬레이션 구성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 알려진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요구되는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본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 알려진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요구되는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본 조건들은 다음과 같다.1) 차량은 실시간으로 돌발이나 수요에 대응하여 동적으로 경로를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2) 시뮬레이션을 구성하는 교통망은 단순히 대중교통수단을 위한 노드와 링크 체계가 아닌 일반 차량의 경로와 대응되는 넓은 영역과 세부적인 도로망이며, 추가적인 입력작업 없이 시뮬레이션으로 입력 가능하여야 한다.
  • 2011년 기준 서울시 법인택시의 하루 운행대수의 3.5%에 해당하는 총 600대의 택시가 시뮬레이션에 적용되었으며, 합승 차량 최대 탑승 인원은 4명으로 가정되었다. 시뮬레이션 중 택시의 운행 속도는 도로 종별에 따라 법정 최고 속도의 60~90% 수준으로 가정되었으며 승객의 승하차시간은 표준 정규분포(평균 1분)에 근거하여 랜덤 설정되었다.
  • 4) 차량과 승객들이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거나 결과를 표출하는 적절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5) 운행 차량의 대수와 동적 수요 규모의 확장성(Scalability)이 보장되어야 한다.
  • 시뮬레이션은 처음 30분의 Warm-up 시간을 포함하여 4시간으로 이루어지고 다음과 같이 총 4가지 택시서비스 수요 수준을 고려하였다, (1) 9,000 (2) 12,000 (3) 15,000 (4) 18,000 (승객 서비스 요청 건수/4시간). Shared-ride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모든 승객 그룹의 구성인원들은 1명이고 알고리즘에 적용된 제약조건 내에서 합승 허용 의사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시스템의 성능 비교를 위하여 기존의 합승이 허용되지 않는 택시의 시뮬레이션 또한 병행되었다.
  • 승객의 실시간 서비스 요청을 위해 택시 수요 데이터에 근거한 음지수분포가 가정되었다. 그림 5는 시뮬레이션을 위해 발생된 택시 수요의 통행거리 분포를 보여 주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요대응형 교통서비스는 운영형태에 따라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수요대응형 교통서비스는 운영형태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고정 노선에 기반한 탄력적 기법으로, 운행 차량은 기본적인 노선과 정류장이 있으나 수요에 따라 운행 노선과 정류장이 탄력적으로 변경되는 수단이며, 둘째로 문전 서비스(Door-to-Door)의 운영형태로 정해진 노선과 정류장이 없이 오직 이용자 수요에 따라 차량의 동적으로 운영일정을 변경하는 방법이다. 전자의 경우, 승차 용량이 큰 버스가 사용되며, 후자의 경우에는 미니밴이나 택시와 같은 중,소형 차량이 이용된다.
수요대응형 교통수단이란? 게다가 낮은 수요가 발생하는 시간대에 매연 발생량이 큰 차량을 운행하는 것 또한 잠재적인 환경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이와는 달리 수요대응형 교통수단은 노선과 배차시간에 제약받지 않고 동적으로 발생하는 수요에 따라 고정된 노선 없이 운영되는 대중교통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준대중교통(paratransit)의 형태로도 알려져 있다(한국교통연구원, 2008).
고정된 노선과 배차간격에 의해 운행되는 전통적인 대중교통체계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탄력적인 노선과 배차 간격 혹은 동적수요에 따라 운영되는 수요대응형 교통수단(Demand Responsive Transit)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인 고정된 노선과 배차간격에 의해 운행되는 전통적인 대중교통체계의 특징으로는 수요가 높은 노선에서는 높은 배차간격으로 인하여 서비스의 품질과 수익성이 높은 반면, 수요가 낮은 노선에서는 비효율적인 노선 형태와 낮은 배차간격으로 인하여 수익성은 물론 승객 서비스의 품질까지도 떨어지는 특징이 있다. 게다가 낮은 수요가 발생하는 시간대에 매연 발생량이 큰 차량을 운행하는 것 또한 잠재적인 환경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박상우, 장수은, 김혜자 (2008). 수요대응형 교통체계 평가 모형 구축: 복지교통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교통연구원. 

  2. Quadrifoglio, L., Dessouky, M., and Ordonez, F. (2008). A Simulation Study of Demand Responsive Transit System Design. Trans 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42, pp. 718-737. 

  3. Venglar, S. P., Fambro, D. B., and Bauer, T. (1995). Validation of Simulation Software for Modeling Light Rail Transit. I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94,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 161-166. 

  4. Abdulhai, B., Shalaby, A., and Georgi, A. (2002). Microsimulation Modeling and Impact Assessment of Streetcar Transit Priority Options: Toronto Experience. Presented at 81st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5. Cortes, C. E., Pages, L., and Jayakrishnan, R. (2005). Microsimulation of Flexible Transit System Designs in Realistic Urban Networks. I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923,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Washington D.C., pp.153-163. 

  6. Psaraftis, H. (1988). Dynamic Vehicle Routing Problems. Vehicle Routing: Methods and Studies. B. L. Golden and A. A. Assad (Editor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 V. 

  7. Black, A. (1995). Urban Mass Transportation Planning. McGraw-Hill Series in Transportation. McGraw-Hill, New York.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