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요응답형교통(DRT)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Improving Demand Response Transport(DRT) System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7 no.3, 2018년, pp.46 - 58  

장태연 (전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준성 (전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농어촌지역에서 수요응답형교통(demand response transport, DRT)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수요부족의 문제가 있는 농어촌버스보다 긍정적 측면이 많아야 된다. 연구는 기존 농어촌버스와 DRT가 혼용 운행되고 있는 지역에서 DRT의 중요도와 실행도(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를 분석하고, 농어촌버스 만족도와의 관계성 분석하기 위해 IPA의 불일치 이론을 적용한다. IPA 결과로 가장 시급한 개선항목은 DRT 운행범위이며 환승위치, 환승시간, 환승거리, 정시도착, 안전운전, 운행시간, 차량수가 개선항목이다. 불일치이론 결과 농어촌버스와 비교하여 DRT 활성화를 위해서는 실행도보다 중요도가 큰 경우, 환승 편리성, 운행 시간 및 범위, 운행차량에 대해 실행도를 높인다. 실행도보다 중요도가 작은 경우 차량청결도, 안전운전, 운영자 친절, 환승요소, 운행요소, 요금은 지속적인 실행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T should have higher positive benefits to become the public transit than the current backcountry buses having demand deficiency and operation problems. The study examines the factors for activating DRT throu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IPA) and applies the IPA gap theory to find rel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 DRT가 보조금이 증가되고 있는 농어촌버스의 벽지노선을 대체하고 비용절감과 지속적인 서비스 증진의 도입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인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DRT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현재 느끼고 있는 DRT 운영과 관련한 여러 요소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조사하여 집중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분석한다. 또한, 국내 DRT의 경우 농어촌지역 대중교통 공백지역에 주로 운행해 오고 있는데, 연구 대상지는 농어촌 버스와 혼재 운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기존 농어촌버스와 DRT의 서비스 만족도를 분석하여 벽지노선을 대체할 수 있는 DRT의 정책적 요인을 분석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농어촌버스와 DRT가 혼용하여 운행되고 있는 사례지역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DRT의 중요도와 실행도(IPA)를 조사하고, 기존의 농어촌버스의 만족도와의 관계성을 IPA의 불일치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농어촌지역에서 DRT가 하나의 대중교통으로 확립되기 위해서는 이용자 감소와 운영에서 문제점을 갖고 있는 농어촌버스보다는 긍정적 측면이 높아야 된다.

가설 설정

  • 운행차량수이다. DRT가 면소재지 중심으로 운행하는 까닭에 면소재지에서 기존 버스와의 환승에 대한 편리성 등을 민감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가정할 수 있으며, 농촌지역의 범위와 도로시설 및 이용자가 주로 고령층임을 고려할 때 안전운전 및 운행과 관련된 항목에 대해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으로 판단된다. 고정시간에 운영되는 농어촌버스에 익숙해 있는 상황하에서 DRT의 경우도 가능한 정시에 도착하려는 개선이 필요하며 운행 차량수와도 관계가 있다.
  • 전통적 IPA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점수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항목에서 평균 중요도와 평균 실행도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이고 있어 DRT를 활성화하는데 있어 정책적인 개선항목이 존재함을 가정할 수 있다. 실행도에 있어서는 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RT의 도입의 목적은 무엇인가? 농어촌 주민의 이동권 확보와 편리한 대중교통서비스 제공, 비용의 효율성을 위해 2015년 1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의 개정 후 국내 벽지 농어촌 지역에서 수요응답형교통(demand response transport, 이하 DRT)이 운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DRT의 경우 농어촌버스가 운행하고 있지 않은 대중교통 공백지역에서 운행중에 있지만, DRT의 도입은 대중교통 공백지역의 운행외에 농어촌지역 주민의 도시이주에 따른 거주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절대적 이용자가 감소하고 있는 농어촌 버스 벽지노선을 대체하기 위한 더 큰 목적이 있다. 도시지역과 달리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행패턴이 불규칙하여 기존의 정해진 노선과 운행계획표에 의해 운영되는 버스시스템으로는 노선 수익성을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버스운송사업자가 운행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며, 농어촌지역에 제공되는 대중교통은 대부분이 보조금에 의한 벽지노선으로서 대체 교통수단이 없어 운행이 중단될 경우 주민의 경제활동에 상당한 어려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농어촌 주민의 이동권 확보와 편리한 대중교통서비스 제공, 비용의 효율성을 위해 무엇이 운영되고 있는가? 농어촌 주민의 이동권 확보와 편리한 대중교통서비스 제공, 비용의 효율성을 위해 2015년 1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의 개정 후 국내 벽지 농어촌 지역에서 수요응답형교통(demand response transport, 이하 DRT)이 운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DRT의 경우 농어촌버스가 운행하고 있지 않은 대중교통 공백지역에서 운행중에 있지만, DRT의 도입은 대중교통 공백지역의 운행외에 농어촌지역 주민의 도시이주에 따른 거주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절대적 이용자가 감소하고 있는 농어촌 버스 벽지노선을 대체하기 위한 더 큰 목적이 있다.
수요응답형교통의 IPA 결과로 가장 시급한 개선항목은 무엇인가? 연구는 기존 농어촌버스와 DRT가 혼용 운행되고 있는 지역에서 DRT의 중요도와 실행도(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를 분석하고, 농어촌버스 만족도와의 관계성 분석하기 위해 IPA의 불일치 이론을 적용한다. IPA 결과로 가장 시급한 개선항목은 DRT 운행범위이며 환승위치, 환승시간, 환승거리, 정시도착, 안전운전, 운행시간, 차량수가 개선항목이다. 불일치이론 결과 농어촌버스와 비교하여 DRT 활성화를 위해서는 실행도보다 중요도가 큰 경우, 환승 편리성, 운행 시간 및 범위, 운행차량에 대해 실행도를 높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un S., Cho G. and Park W.(2012), Introduction of Demand-Response Transit in Rural Area, Korea Research Institute of Transportation Industries. 

  2. Davison L., Enoch M., Ryley T., Quddus M. and Wang C.(2012), "Market niches for DRT," Res. Transp. Business Management, no. 3, pp.50-61. 

  3. Davison L., Enoch M., Ryley T., Quddus M. and Wang C.(2014), "A Survey of Demand Responsive Transport in Great Britain," Transport Policy, vol. 31, pp.47-54. 

  4. Greene W.(2000), Econometric Analysis,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5. Jang T. Y., Han W. J. and Kim J. H.(2016),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Demand Response Transport(DRT) by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J. Korea Inst. Intell. Transp. Syst., vol. 15, no. 3, pp.118-128. 

  6. Jenny M. and John D.(2003), "The Evaluation of Demand Responsive Transport Services in Europe,"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11, pp.255-270. 

  7. Jollabukdo(2011), Research on Introduction of Jollabukdo Demand Response Transit. 

  8. Jonathan D. B. and William J. Q.(2001), "Household Preference Revisions and Decision Making: The Role of Disconfirmation," Research in Marketing, vol. 18, no. 4, pp.319-339. 

  9. Kang Y. S.(1995), Social State Analysis Challenge(Multivariate Interpretation), Nanam. 

  10. W. C. and Namgung M.(2015), "A Study on Fare Estimation for Demand Responsive Transport," J. Korea Inst. Intell. Transp. Syst., vol. 14, no. 1, pp.103-111. 

  11. Kurt P., Maged D. and Zhiqiang Z.(2008), "Factors Influencing Productivity and Operating Cost of Demand Responsive Transi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 42, pp.503-523. 

  12. Lacometti A., Setti L., Scholliers J., Gorini M. and Eloranta P.(2004), Technologies for DRT systems. Demand Responsive Transport Services: Towards the Flexible Mobility Agency, pp.89-109. 

  13. Lee H. C. and Han J. Y.(2005), "Visitors Behavior on Exhibition: A Disconfirmation of Importance Perspective," Journal of Tourism Sciences, vol. 29, no. 3, pp.165-184. 

  14. Li X. and Quadrifoglio L.(2010), "Feeder transit services: choosing between fixed and demand responsive polic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vol. 18, pp.770-780. 

  15. Marco D., Maged M. and Nan X.(2006), "A Model for the Fleet Sizing of Demand Responsive Transportation Services with Time Window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vol. 40, pp.651-666. 

  16. Martilla J. A. and James J. C.(1977),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 41, no. 1, pp.77-79. 

  17. Oh S. J.(2012), Application of On-Demand Bus Operation System in Rural Area, Chungbuk Research Institute. 

  18. Oliver R. L.(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7, pp.460-469. 

  19. Slack N.(1994), "The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as a Determinant of Improvement Priority,"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 & Production Management, vol. 14, pp.59-75. 

  20. Wang C., Quddus M., Enoch M., Ryley T. and Davison L.(2015), "Exploring the Propensity to Travel by Demand Responsive Transport in the Rural Area of Lincolnshire in England," Case Studies on Transport Policy, vol. 3, pp.129-136. 

  21. Yang Y. A.(2014),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Demand Response Transit in the Vulnerable Area of Transportation, Korea University Master's Thesi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