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화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나타난 원작소설과의 미적 거리 연구
Research of Aesthetic Distance on the Cinematization of Nove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6, 2012년, pp.151 - 159  

김종완 (동국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서사학자들의 주된 논의는 '누가, 무엇을, 어떻게 이야기하느냐'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아직도 '시학'이라는 대전제 하에 서사학 분야의 논의선상에 놓여있는 일부 학파에 의존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본고는 주로 이런 서사학적 논점을 다루기보다는 소설과 영화와의 서사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한 화자, 초점화자, 시점에 주목한다. 본고에서 다루게 될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1인칭 소설이다. 감독은 화자의 논평적 서술이 많은 유사 자전적 소설을 영화 텍스트로 재현하기 위해 voice-over를 통한 서사자아와 경험자아를 구분하여 자신만의 이데올로기를 보여준다. 즉, 소설 속 서술자아와 경험자아의 미적 거리를 드러내기 위해 화면 내 공간과 voice-over 공간으로 구분하여 대상 간의 미적 거리를 관객에게 제시한다. 과거의 장면에서 voice-over는 주제를 설명하거나 장면을 전환하는 기능을 주로 하지만, 성인이 된 현재 병태의 voice-over는 독백의 기능을 함으로써 과거 자신의 경험자아를 관조한다. 이 과정에서 '거리화' 즉, 감독의 해석 가능성이 발생한다. 이 '거리화'를 밝히고자 하는 논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gure out the mechanism that how can be shown the aesthetic distances of novel in the film. At discussion of the view point, novel can be told by two factors which are 'who is teller' and 'who is watcher' but in the film, novel's narration is divided into visual po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를 위한 주요 텍스트로 이문열의 1인칭 소설을 영화화한 박종원의「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집중 분석하여 원작소설의 서술화자 ‘나’인 병태와 영화 속 화자 병태 사이의 미적 거리를 밝히고자한다.

대상 데이터

  • 」은 과거의 경험자아가 초점화자지만 서술은 현재의 서술자아가 이끌고 있음을 밝혔다. 소설에서 서술자아와 경험자아의 거리가 형성되듯 영화에서 스크린에 투영된 공간과 보이스 오버되는 공간의 거리 역시 분석 대상으로 다루었다. 소설「우리들의.
  • “벌써 30년이 다 되어 가지만, 그 해 봄에서 가을까지의 외롭고 힘들었던 싸움을 돌이켜보면 언제나 그때처럼 막막하고 암담해진다. 자유당 정권이 아직은 마지막기승을 부리고 있던 그해 3월 중순, 나는 그때껏 자랑스레 다니던 서울의 명문 국민학교를 떠나 한 작은 읍의 별로 볼 것 없는 국민학교로 전학을 가게 되었다. 공무원이었다가 바람을 맞아 거기까지 날려간 아버지를 따라 가족 모두가 이사를 가게 된 까닭이었는데, 그때 나는 열두 살에 갓 올라간 5학년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적 거리란? 서사체에서 하나의 대상에 대한 ‘시점’의 차이가 ‘감정적 개입’의 차이를 가져온다. 프린스턴 시학사전에 의하면 미적 거리는 “예술 작품에 대한 감정적 경험 혹은, 인식적인 경험이 아닌 미적 경험에만 특정한 어떤 것을 분리시켜내는 감상자the viewer to the artwork의 적절한 심리적 관계”로 정의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미적 거리’의 의미를 창작과정에서 작용하는 창작자와 작품 사이의 거리에서 독자와 작품 사이에서 작용하는 심리적 거리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2].
소설에서 '시점'이란 무엇인가? 소설에서 시점은 ‘서술의 초점the focus of narration’을 가리키는 문학 용어다. 화자가 이야기를 하기 위한 시선의 각도, 서술의 발화점, 관점의 문제로 이해된다.
미적 거리는 독자의 몫이며, 창작과정에서 작품성을 결정하거나 완성된 작품의 작품성을 고려하려는 고정된 틀로 인식하면 안되는 이유는? 프린스턴 시학사전에 의하면 미적 거리는 “예술 작품에 대한 감정적 경험 혹은, 인식적인 경험이 아닌 미적 경험에만 특정한 어떤 것을 분리시켜내는 감상자the viewer to the artwork의 적절한 심리적 관계”로 정의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미적 거리’의 의미를 창작과정에서 작용하는 창작자와 작품 사이의 거리에서 독자와 작품 사이에서 작용하는 심리적 거리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2]. 그것은 독자가 실제 적인 관심이나 욕망 혹은, 물리적인 인식으로부터 작품을 분리하여 미적으로 인식-경험하는 ‘심리적 거리’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미적 거리는 독자의 몫이며, 창작과정에서 작품성을 결정하거나 완성된 작품의 작품성을 고려하려는 고정된 틀로 인식하면 안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llex Preminger(ed.), The New Princeton Encyclopedia of Poetry and Poe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10, 1993. 

  2. 고창선, "뉴미디어 아트에서 물리적, 심리적 거리를 통한 관조의 재해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726, 2011. 

  3. 나병철, 영화와 소설의 시점과 이미지, 소명출판, pp.211-219, 2009. 

  4. 서정남, 영화서사학, 생각의나무, pp.299-326, 2004. 

  5. G. Prince 저, 이기우, 김용재 역, 서사론사전A Dictionary of Narratology, 민지사, p.201, 1992. 

  6. 이문열,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문학사상사, 85판, 1993. 

  7. 나병철, 영화와 소설의 시점과 이미지, 소명출판, pp.242-249, 2009. 

  8. 박종원, , 대동흥업, 1992, 드림박스 비디오(1993), KBS1 1995(10) 방영본. 

  9. 서동훈, "소설의 영화 각색에 나타난 확장과 변형의 양상", 대중서사연구, 제19호, pp.262-263, 2008. 

  10. 전우형, " 의 매체 전환구조와 영화예술적 속성 구현 양상", 한국현대문학연구, 제28집, p.407, 2009. 

  11. 나병철, 영화와 소설의 시점과 이미지, 소명출판, pp.272-290, pp.312-323, 2009. 

  12. http://cafe.naver.com/author.cafe /23395 

  13. G. Prince 저, 최상규 역, 서사학 Narratology : The Form and Functioning of Narrative, 문학과지성사, pp.19-32, 1988. 

  14. 시모어 채트먼 저/한용환, 강덕화 역, 영화와 소설의 수사학, 동국대학교출판부, pp.215-220,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