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응급의료서비스 권역 재조정 방안 - 대전광역시 사례 연구
Rearranging Emergency Medical Service Region Using GIS Network Analysis - Daejeon Metropolitan City Case Study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3 no.3, 2015년, pp.11 - 21  

권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이영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허용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유기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각종 재난재해로 인해 인명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응급의료서비스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응급의료서비스의 기본이 되는 119구급대의 이동 시간은 인명 구출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119구급대의 효율적인 출동 방안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119구급대의 출동 권역을 효율적으로 재조정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권역을 형성하기 위해 대전지역 경계 내에서 무작위로 생성한 약 80만 개의 가상 신고 위치와 26135개의 소방관서 위치를 기점으로 기종점 OD 행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Thiessen Polygon을 생성함으로써 새로운 권역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각 소방관서로부터 신고 위치까지의 평균 이동 시간이 9.93분에서 5.53분으로, 4.4분이 단축되었으며, 면적의 경우 평균 $32.07km^2$에서 $20.72km^2$로, $11.35km^2$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관 기관에서 소방관서의 관할권역을 재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본 연구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mergency Medical Service(EMS) has become focused due to all kinds of disaster and a great number of casualties. The 119 emergency vehicles' dispatching methods are now being focused, for travel time of ambulances are the critical components in terms of saving human lives. Therefore, this study t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2; Conweh, 2012).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신고 위치와 출동한 소방관서 위치 간의 연결성을 기반으로 하여 구급차 출동의 비효율성을 문제점으로 파악하였으며, 가상의 신고 지점에 대해 각각 최적의 소방관서를 배치하고 이를 군집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응급의료서비스 권역을 도출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 이러한 결과를 통해 법률로 지정된 소방관서의 관할 지역이 실제 상황에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현재 소방관서의 응급의료서비스 권역을 효율적으로 재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제공자 중심의 권역 설정’이라는 기존 연구의 한계에서 벗어나 ‘서비스 수요자 중심의 권역’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이렇게 설정된 권역의 경우 지형지물과 도로 네트워크 등 접근성에 대한 고찰이 결여되어 있다는 단점이 존재하며, 앞에서 실시한 분석을 통해서도 현재 관할구역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소방관서의 관할 권역 재조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위의 연구들은 모두 연구 방법으로 네트워크 분석 등의 GIS 공간 분석 기법을 활용하고 있으나 그 결과가 단순히 현황 분석에 그치거나 구급 취약지역 감소를 위한 권역 조정을 실시할 때 그 결과가 행정구역 종속적이라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행정구역 중심의 권역 설정에서 벗어나 소방관서로부터 구급대가 출동할 때 최대한의 골든타임(4분)을 지킬 수 있는 권역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본 장에서는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GIS 기반 공간 분석을 통해 구조·구급 활동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구급 취약지역을 탐지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하는 연구를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 소방서 및 재난 안전 관련 권역 조정을 제안한 기존 연구에서는 관서를 이전하거나 관서의 증설이 요구되는 경우 행정동 경계에 따라 기존 권역을 재편하고자 하였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기종점 OD 행렬을 이용하여 소방관서와 가상 신고 위치 간의 최단거리를 계산하고, 각 신고 위치로부터 이상적인 관서를 할당하였으며 이를 가상 신고 위치의 속성에 추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골든타임의 안전 범위는 몇 분인가? , 2015). 일반적으로 골든타임의 안전 범위는 4~6분으로 알려져 있으나,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 간 전국에서 이루어진 119구급대(이하 구급대)의 출동 사례 중 5분 이내에 현장에 도착한 비율은 54% 수준이며, 이러한 도착률은 매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ho, 2014).
골든타임이란 무엇인가? 응급 환자의 생존과 직결되는 측면에서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시간 개념이 ‘골든타임(golden time)’이다. 이는 사고 발생 시점으로부터 인명을 안전하게 구조하기 위해 필요한 시각적 단위로 정의되며, 응급 상황 발생시 5분 동안의 응급처치가 환자의 생사를 가를 수 있다는 사실이 강조되면서 구급대의 출동 시점부터 이송까지의 시간적 낭비를 최소화한다는 측면까지도 포함한다(Shin et al., 2015).
구조란 무엇인가?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는 구조와 구급 활동을 서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먼저, 구조란 화재, 재난·재해 및 테러,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 외부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따라서 119구조대란 탐색 및 구조 활동에 필요한 장비를 갖추고 소방공무원으로 편성된 단위조직을 말한다. 반면에 구급은 응급환자에 대하여 행하는 상담, 응급처치 및 이송 등의 활동을 말하며, 따라서 119 구급대란 구급활동에 필요한 장비를 갖추고 소방공무원으로 편성된 단위조직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E. S., 2015, Last year seoul 119 Rescue team transport 901 people in 1,327 cases in a day, http://spp.seoul.go.kr/main/news/news_report.jsp?search_boardId22142&actVIEW&boardId22142 

  2. An, Y. S., Jang, S. M. and Lee, S. I., 2011, A study on the map of walk-and bicycle-access time to subway station using a shortest-part algorithm for Gangnam area of Seoul, The Seoul Institute, Vol. 12, No. 3, pp. 129-140. 

  3. Baik, S. H., and Han, D. Y., 2012, A study on bicycle route selection using optimal path search,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0, No. 5, pp. 425-433. 

  4. Conweh, C., 2012, The use of GIS for effective and efficient emergency management: a case study of the Cardiff fire services in South Wale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Glamorgan, Pontypridd, the United Kingdom. 

  5. Cho, M, 2014, Year's 119 EMS arrival time within 'Golden Time' has been being delayed,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8649011&code46111201&cpnv 

  6. Dijkstra, E. W., 1959, A note on two problems in connexion with graphs, Numerische mathematik, Vol. 1, No. 1, pp. 269-271. 

  7. esri, 2012a, Closest facility analysis, http://help.arcgis.com/en/arcgisdesktop/10.0/help/index.html#/Closest_facility_analysis/00470000004n000000/ 

  8. esri, 2012b, OD cost matrix analysis, http://help.arcgis.com/en/arcgisdesktop/10.0/help/index.html#//00470000004r000000 

  9. Hong, K. H., Lee, K. J., Kim, J. T. and Lee, D. H., 2008, Severity-based analysis of prehospital transportation time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19, No. 2, pp. 153-160. 

  10. Jung, G.-D., Hong, W.-H., Choi, J.-H., Kim, G.-S. and Lee, J.-S., 2012, A study on reorganization of rescue team by using analysis of accessibility on fire station area in Daegu c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8, No. 9, pp. 277-286. 

  11. Koo, S., 2013, Accessibility analysis of the service area of fire station in Jinju,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South Korea. 

  12. Koo, S., and Yoo, H. H., 2012, An analysis of fire area in Jinju city based on fire mobilization ti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0, No. 4, pp. 127-134. 

  13. Lee, H., Lee, S.-I. and Cho, D., 2013, Exploring the spatiality of school choice through residential mobility: a preliminary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8, No. 6, pp. 897-913. 

  14. Lee, H. J., Park, B. H. and Jang, I. Y., 2006, Disaster-prevention system of transportation network used by GIS and seismic fragility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6, No. 2, pp. 25-35. 

  15. Ma, S., and Kim, H., 2011, Accessibility to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through GIS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inland areas in Incheon,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Vol. 70, pp. 61-75. 

  16. Oh, C. S., Lee, S., Lee, I. and Kho, S. Y., 2012, A spatial analysis about arrival delay and dispatch distribution of the 119 rescue-aid service utilizing GIS-Gyeongsangbuk-Do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2, No. 1D, pp. 13-22. 

  17. Oh, K., and Jeong, S.-H., 2005, An assessment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parks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0, No. 3, pp. 189-203. 

  18. Park, J.-M., 2004, A design and practical use of spatial data warehouse for spatial decision making,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19. Shin, Y., Oh, H., Lee, S., Im, C. and Kim, J., 2014. Suggestions for securing 'Golden Time' based on cognitive science, Proc. of 2014 HCI Korea, pp. 396-403. 

  20. Son, S. R., and Yoo, H. H., 2013, Evacuation suitability assessment of shelters in disaster risk districts of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1, No. 3, pp. 27-35. 

  21. Song, H. J., 2011, Adjustment of the service area of fire station using GIS accessibility analysis : In the case of Seodaemoon-gu, Seoul City,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22. Thiessen, A. H., 1911, Precipitation averages for large areas, Monthly Weather Review, Vol. 39, No. 7, pp. 1082-1089. 

  23. Yan, M., 2014, Dijkstra's algorithm, http://math.mit.edu/-rothvoss/18.304.3PM/Presentations/1-Melissa.pdf 

  24. Yoo, H. H., and Koo, S., 2013, Fire district adjustment for improving fire service vulnerable areas in Jinj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1, No. 1, pp. 19-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