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를 활용한 119 구조구급서비스의 도착지체 및 출동배치에 대한 공간분석 - 경상북도 사례 연구 -
A Spatial Analysis about Arrival Delay and Dispatch Distribution of the 119 Rescue-Aid Service utilizing GIS - Gyeongsangbuk-Do Case Study -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교통공학, 도로공학, 시공관리, 정보기술, 지역 및 도시계획, 철도공학,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공학, v.32 no.1D, 2012년, pp.13 - 22  

오창석 (감사원 감사연구원) ,  이승원 (감사원 감사연구원) ,  이인묵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기술전략연구실) ,  고승영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가가 운영하는 119 구조 구급 출동서비스는 응급상황에서 인간의 생명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응급 운송시스템이며, 고령화 사회로의 급속한 전이를 보이는 우리나라의 현 사회구조를 비추어 볼 때 그 중요성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특히 긴급차량의 사고현장 도착시간은 환자의 초등 조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며, 출동서비스 센터의 위치, 사고 현장까지의 접근성 등 도로네트워크 속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의 구조 구급활동자료를 바탕으로 119 긴급차량의 도착지체 및 출동배치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구조 구급서비스의 출동분포 특성을 살피고, 구조 구급서비스 시설, 도로 네트워크의 위치정보가 주어진 상태에서 GIS의 공간분석을 활용하여 구조 구급서비스 시설의 일정 반경에 포함되지 않는 사고다발지역(사각지역)과 국가교통 DB상의 도로네트워크 입력속도, 실제 구조 구급일지 상의 현장 도착시간을 각각 입력 값으로 하는 긴급차량 도착지체 지역을 GIS 맵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출동거리가 10km 넘는 원거리 출동빈도가 높은 구조구급 서비스시설의 출동배치 효율성을 분석하고, GIS의 OD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도로네트워크상 최단거리에 위치한 서비스시설에서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조 구급서비스망을 개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119 emergency rescue-aid service operated by Korean government is a very valuable in a society and its importance is growing in Korea as an aging society. Especially, the emergency vehicle's arrival time to accidents place is an important variable which affects initial emergency measure for p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대구광역시 제외)의 실제 119 구조 · 구급활동자료를 수집하여 구조 · 구급활동의 기초 통계 및 발생분포를 살펴보고, GIS의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 하여 구조 · 구급서비스의 사각지역과 긴급차량의 현장도착 지체지역을 GIS 맵으로 도출하고자 한다.
  • 또한 일정거리 이상의 원거리 출동이 많은 구조 · 구급서비스 시설을 선택하여 그 출동 분포를 분석하고 GIS 네트워크 분석상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서비스시설에서 긴급차량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조구급 서비스망을 재조정하는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자료를 중심으로 문제점 도출을 주로 다루고 있지만, 향후 연구를 위하여 개념적으로 몇 가지의 교통운영 대안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연구목적 및 방법에 있어 유사한 기존연구를 선별하기 위해 GIS 공간분석(GIS Spatial Analysis)을 연구 방법으로 하고 ‘응급의료서비스시설의 적정 분포’, ‘공공시설물의 접근성’, ‘교통사고 취약지점 분석’을 논점으로 하는 연구를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해 출동차량의 현장 도착거리를 측정하여 근거리에 119 안전센터나 지역대가 존재하는데도 불구하고 원거리에 존재하는 구조 · 구급서비스 시설에서 출동하는 비효율 사례를 탐색하고, GIS상 구조구급 발생지점에서 최단거리에 위치한 시설로부터 긴급차량의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망을 재배치하는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조 · 구급 서비스망 재조정 시나리오는 출동시설의 구비차량 및 장비, 배치차량의 타 장소 출동유무, 배치인력의 적합성을 고려하지 않고 신고접수에서 최단거리 시설로부터의 출동배치를 가정하였다.
  • 분석방법은 구조 · 구급활동의 시급성을 감안하여 도로의 평균속도보다 두 배 빠른 속도로 긴급차량이 이동한다는 가정 하에 구급차가 10분6) 동안 이동할 수 있는 영역을 산출한 후 ‘반경분석’과 마찬가지로 사고발생지점과 중첩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밀도분석의 특징은 무엇인가? • 밀도분석:지리적으로 동일한 공간 내 밀집한 정도를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으로 지역의 경향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사용한다. 연구에서는 응급의료사고 발생 밀도, 인구 밀도 등의 분석에 활용하였다.
긴급차량의 출동에서 중요한 요인은 센터나 지역대에서 출동지까지의 실제 소요시간인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긴급차량의 출동에서 중요한 요인은 센터나 지역대에서 출동지까지의 실제 소요시간이다. 도로상황에 따라 가장 신속히 도착할 수 있는 센터(또는 지역대)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도로 위계에 따라 단순 예측 통행시간을 사용하여 출동시간을 분석하였으나, 실제의 경우에는 교통류 상황에 따라 출동시간이 좌우된다.
OD Cost Matrix 분석이란 무엇인가? • OD 네트워크 분석 :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입력자료로 노드 속성정보는 노드ID, 노드유형, 교차로명, 회전정보 유무, 인접연결노드, 행정구역, 교통망레벨 등을 사용하였고, 링크 속성정보는 시작노드, 종료노드, 차로수, 최고속도, 도로등급, 길이 등을 사용하였다. 한편 분석방법으로 네트워크 분석 방법 가운데 하나인 ‘OD Cost Matrix 분석’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다수의 출발점과 다수의 도착점이 존재할 때 node와 link로 이루어진 도로망 데이터를 통해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최단경로를 산정하는 분석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119 안전센터 및 지역대에서 구조·구급활동이 벌어진 지점까지의 도로상의 거리 산출에 활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강승림, 박창호(2003) 고속도로 선형조건과 GIS기반 교통사고 위험도지수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1권 제1호. 

  2. 경상북도(2011) 소방상황실 통합운영에 따른 재난현장 출동지침. 내부문서, 경상북도 소방본부. 

  3. 국토지리정보원(2010) 국토지리정보원 전자지도 경사도, 고도. 전산자료, 국토지리정보원. 

  4. 국토해양부(2010a) 2007년 기준 국가교통DB 네트워크. 전산자료, 국토해양부. 

  5. 김재헌, 정진혁, 최민환, 장훈(2008) TCS 자료 및 GIS를 이용한 한국의 통행패턴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6권 제3호. 

  6. 김황배, 김시곤, 권영인(2001) GIS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도시시설의 최적입지 평가방법 연구 - 수도권 도심공항터미널 입지 후보지 평가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3D호, pp. 289-297 

  7. 김황배, 김동문, 오승훈(2002) GIS공간분석기법을 적용한 화재경계지구 설정과 소방서의 적정위치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주거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4D호, pp. 607-616. 

  8. 김황배, 김시곤(2006) 접근성이론과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행정기관의 입지선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3D호. pp. 385-391. 

  9. 박신형(2010) 효과적인 사고취약구간 판별을 위한 공간분석기법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0. 소방방재청(2010) '09년도 구급활동 실적. 내부문서, 소방방재청 구조구급과. 

  11. 소방방재청(2010a) 구조.구급활동정보시스템. 전산자료, 소방방재청. 

  12. 양병윤(2004) GIS를 활용한 응급의료지의 효과적 분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3. 이승원(2011) 119 구조.구급활동 감사에서 GIS 활용 연구. 감사논집, 감사원 감사연구원 

  14. 홍기훈, 이광정, 김진택, 이동훈(2008)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중증도별 병원전 환자이송시간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대한응급의학회, 제19권 제2호. 

  15. 황지혜(2010) 지리정보시스템(GIS)로 분석한 대전광역시 응급의료 서비스 취약지 특성. 석사학위논문, 건양대학교.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