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감귤저장병 병원균 Penicillium digitatum 방제를 위한 길항 내생세균 Bacillus velezensis CB3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agonistic Endophytic Bacterium Bacillus velezensis CB3 the Control of Citrus Green Mold Pathogen Penicillium digitatum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0 no.2, 2012년, pp.118 - 123  

이지현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서문원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김홍기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표적인 감귤 녹색곰팡이병(Penicillium digitatum) 방제용 생물농약을 개발하고자 제주도내 7개 과수원으로부터 채집된 citrus 잎에서 21균주의 내생세균을 분리하였다. 그 중 5개의 세균이 녹색곰팡이병균 P. digitatum에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대치배양에서 가장 강력한 항균활성을 보인 CB3 균주가 선발되었다. CB3 균주는 간상형의 그람 양성세균으로 생리 생화학적 특성과 gyr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Bacillus velezensis로 동정되었다. CB3 균주는 감귤 저장병 병원균 Penicillium digitatum에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1{\times}10^5$ spores/ml에 이르는 고농도의 P. digitatum을 감귤에 상처접종했을 때에도, $1{\times}10^8$ cfu/ml의 CB3에 의한 방제효과는 66.7%로 매우 높았다. 본 연구결과, Bacillus velezensis CB3의 안정성과 강한 방제활성 등을 고려할 때 유용 친환경적 방제제로서 매우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velop environment friendly fungicide for the control of citrus green mold (Penicillium digitatum) using endophytic bacteria, the 21 bacterial isolates were isolated from citrus leaves in seven different orchards in Jeju Province. Among the 21 bacterial isolates, 5 bacterial isolates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감귤 수확 후 저장 및 수송과정에서 큰 피해를 주고 있는 P. digitatum에 의한 감귤 녹색곰팡이병 방제용 생물농약의 개발을 위하여 강력한 항균활성을 보이는 식물내생세균을 선발하고, 선발된 길항세균에 대한 저장병 방제를 위한 생물농약으로서 실용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귤에 심각한 손실을 입히는 citrus의 대표적인 저장병 병원균과 병은 어떤 것이 있는가? 감귤류를 포함하는 citrus의 국내 주생산지인 제주도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citrus의 대표적인 저장병 병원균 P. digitatum에 의한 녹색곰팡이병과 P. italicum에 의한 푸른곰팡이병에 의한 감귤의 손실은 실로 심각하다(Sharma et al., 2009; Yu et al.
감귤 녹색곰팡이병을 방제하기 위해 오랫동안 권장되어 널리 사용된 방법은 무엇인가? 초기에는 전세계적으로 citrus과실 수확 후 감귤 녹색곰팡이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합성 화합농약의 사용이 오랫 동안 감귤의 저장병 방제를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권장되어 널리 사용되었다(Smilanick et al., 2006; Ismail and Zhang, 2004).
본 연구에서 Bacillus velezensis CB3가 유용 친환경적 방제제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 실험적 근거는 무엇인가? CB3 균주는 간상형의 그람 양성세균으로 생리·생화학적 특성과 gyr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Bacillus velezensis로 동정되었다. CB3 균주는 감귤 저장병 병원균 Penicillium digitatum에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1 × 105 spores/ml에 이르는 고농도의 P. digitatum을 감귤에 상처접종했을 때에도, 1 × 108 cfu/ml의 CB3에 의한 방제효과는 66.7%로 매우 높았다. 본 연구결과, Bacillus velezensis CB3의 안정성과 강한 방제활성 등을 고려할 때 유용 친환경적 방제제로서 매우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vindia, D. G. and Natsuaki, K. T. 2009. Biocontrol activities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DGA14 isolated from banana fruit surface against banana crown rot causing pathogens. Crop Protection 28:236-242. 

  2. Bus, V. G., Bongers, A. J. and Risse, L. A. 1991. Occurrence of Penicillium digitatum and P. italicum resistant to benomyl, thiabendazole, and imazalilon citrus fruit from different geographic origins. Plant Dis. 75:1098-1100. 

  3. Chun, J. 1995. Computer-assisted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nomycetes. Ph. D. Thesis,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UK. 

  4. Chun, J. S. and Bae, K. S. 2000. Phylogenetic analysis of Bacillus subtilis and related taxa based on partial gyrA gene sequences. Antonievan Leeuwenhoek 78:123-127. 

  5. Felsenstein, J. 1985. Confidance limits on phylogenies :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783-791. 

  6. Handelsman, J. and Stabb, E. V. 1996. Biocontrol of soil borne plant pathogens. The Plant Cell 8:1855-1869. 

  7. Harding, P. R. 1972. Differential sensitivity to thiabendazole by strains of Penicillium italicum and P. digitatum. Plant Dis. Rep. 56:256-260. 

  8. Ismail, M. and Zhang, J. 2004. Post-harvest citrus diseases and their control outlooks. Pest Manage 15:29-35. 

  9. Kim, G. H., Oh, S. O., Hur, J. S., Yum, K. J. and Koh, Y. J. 2006. Optimum cultivation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an antagonistic bacterium Bacillus subtilis BD0310 for Development of a Microbial Agent Controlling Gray Blight of Tea Plants. Res. Plant Dis. 12:85-90. 

  10. Kim, H. W., Lee, K. Y., Baek, J. W., Kim, H. J., Park, J. Y., Lee, J. W., Jung, S. J. and Moon, B, J.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agonistic bacterium active against Sclerotinia sclerotioum causing Sclerotinia rot on crisphead lettuce. Res. Plant Dis. 10:331-336. 

  11. Kim, J. H. Choi, Y. H., Kang, S. J., Joo, G. J., Suh, J. S. and Lim, T. H. 2003. Isola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MJ-3 and its effect on the early growth promotion of red pepper plug seedlings in compost.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13:582-589. 

  12. Kim, Y. S. 2005. Biocontrol activity of antifungal antibiotics producing Bacillus atrophaeus CNU05-1 against Botrytis gray mold.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3.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 of base substitut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 J. Mol. Evol. 16:111-120. 

  14. Kinay, P., Mansour, M. F., Gabler, F. M., Margosan, D. A. and Smilanick, J. L. 2007. Characterization of fungicide-resistant isolates of Penicillium digitatum collected in California. Crop Protection 26:647-656. 

  15. Kong, H. G. Chun, O. J., Choi, K. H., Lee, K. Y., Baek, J. W., Kim, H. J., Murugaiyan, S., Moon, B. J., and Lee, S. W. 2010. Formula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A-2 and its efficacy to control tomato leaf mold caused by Fulvia fulva. Res. Plant Dis. 16:27-34 

  16. Lee, D. G. 2010. Biological control of strawberry anthracnose using endophytic bacteria, Bacillus amyloliquefaciens CP1.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7. Lee, J. B., Shin, J. H., Jang, J. O., Shin, K. S., Choi, C. S., Kim, K. W., Jo, M. S., Jeon, C. P., Kim, Y. H. and Kwon, G. S. 2008.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p. AM-651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227-232. 

  18. Maldonado M. C., Corona J., Gordillo M. A. and Navarro A. R. 2009.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metabolites produced by Bacillus sp. IBA33. Curr. Microbiol. 59:646-650. 

  19. Nam, M. H., Park, M. S., Kim, H. G. and Yoo, S. J. 2009. Biological control of strawberry fusarium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using Bacillus velezensis BS87 and RK1 formulation. J. Microbiol. Biotechnol. 19:520-524. 

  20. Roh J. Y., Liu Q., Choi J. Y., Wang Y., Shim H. J., Xu H. G., Choi G. J., Kim J. C. and Je Y. H. 2009. Construction of a recombinant Bacillus velezensis strain as an integrated control agent against plant diseases and insect pests. J. Microbiol. Biotechnol. 19:1223-1229. 

  21. Romero, D., de Vicente, A., Rakotoaly, R. H., Dufour, S. E., Veening, J. W., Arrebola, E., Cazorla, F. M., Kuiper, O. P., Paquot, M. and Perez-Garcia, A. 2007. The iturin and fengycin families of lipopeptides are key factors in antagonism of Bacillus subtilis towards Podosphaera fusca. Mol. Plant Microbe. Interact. 20:430-440. 

  22. Sharma, R. R., Sing, H. D. and Sing, H. R. 2009. Biological control of postharvest diseases of fruits and vegetables by microbial antagonist. Biological Control 50:205-221. 

  23. Smilanick, J. L., Brown, G. E. and Eckert, J. W. 2006. Postharvest citrus diseases and their control. Fresh Citrus Fruits, 2nd Ed. Science Source 339-396. 

  24. Wang L. T., Lee F. L., Tai C. J. and Kuo H. P. 2008. Bacillus velezensis is a later heterotypic synonym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Int. J. Syst. Evol. Microbiol. 58:671-5. 

  25. Yu, G. Y., Sinclair, J. B., Hartman, G. L. and Bertagnolli, B. L. 2002. Production of iturin A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ppressing Rhizoctonia solani. Soil Biol Biochem. 34:955-963. 

  26. Yu, S. M., Kim, Y. K., Nam, H. S., Lee, Y. K., Lee, S. D., Lee, K. J. and Lee, Y. H. 2010. Suppression of green and blue mold in postharvest mandarin fruit by treatment of Pantoea agglomerans 59-4. Plant Pathol. J. 26:353-3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