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 시들음병에 관여하는 Fusarium균의 다양성 및 병원학적 특성
Diversity and Pathogenic Characteristics of Fusarium Species isolated from Wilted Soybean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8 no.3, 2020년, pp.297 - 312  

최효원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김승노 (태안군 농업기술센터) ,  홍성기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콩 재배 포장에서 시들음 증상을 보이는 시료에서 진균을 분리한 결과, Fusarium spp., Colletotrichum spp., Rhizoctonia spp., Macrophomina sp., Phytophthora spp., Calonectria ilicicola가 분리되었고, Fusarium균이 79.1%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53개의 Fusarium균을 균학적 특성에 의해 동정한 결과, F. solani, F. oxysporum, F. graminearum, F. fujikuroi 등 4개의 종 복합체(species complex)로 동정되었다.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종 동정을 위해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alpha (TEF) 유전자 부위를 계통분석한 결과, F. solani, F. oxysporum, F. commune, F. asiaticum, F. fujikuroi 등 5종으로 확인되었다. 44개 Fusarium균주의 병원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콩 3개 품종을 대상으로 유묘 침지 접종한 결과, F. asiaticum은 병원성이 없거나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성이 있는 10개 균주를 선발하여 기주범위를 조사한 결과, F. solani, F. oxysporum, F. commune은 콩에만 병원성이 있었고, F. fujikuroi는 콩, 강낭콩, 황동부콩, 흑동부콩 및 팥에 병원성을 보였다. 또한 13개 콩 품종을 대상으로 저항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F. commune과 F. fujikuroi는 모든 품종에 병을 일으켰다. 장기콩, 풍산나물콩, 소청자콩은 Fusarium에 의한 시들음병에 비교적 저항성이 것으로 나타났고, 황금올콩, 참올콩은 감수성 품종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lted soybean plants were collected from soybeans cultivation fields in Korea from 2014 to 2016. Fusarium spp., Colletotrichum spp., Rhizoctonia spp., Macrophomina sp., Phytophthora spp., and Calonectria ilicicola were obtained from the infected samples. Out of these, Fusarium spp. were the dominan...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항성 품종을 재배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제법이지만, 국내 콩 재배 포장에 분포하는 Fusarium균에 대한 정확한 분류, 동정과 병원학적 특성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콩 재배 포장에서 발생한 시들음 증상으로부터 균을 분리하여 병원균의 분리 빈도를 조사하였고, 그 중 Fusarium균을 대상으로 균학적 특성과 염기서열분석에 기반한 분류, 동정을 통해 다양성을 확인하였으며, Fusarium균의 종별로 기주범위와 품종저항성 등 병원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ndara AY, Weerasooriya DK, Bradley CA, Allen TW, Esker PD. Dissecting the economic impact of soybean diseases in the United States over two decades. PLoS One 2020;15:e0231141. Doi:10.1371/journal.pone.0231141.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al Database [Internet]. Daejeon: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0 [cited 2020 Jun. 26]. Available from http://kosis.kr/index/index.do. 

  3. Moon YG, Lee JH, Choi JK, Kang AS, Han SS. Yield loss assessment and determination of economic thresholds limits against soybean anthracnose. Korean J Pestic Sci 2010;14:133-7. 

  4. Shim H, Lee JH, Lee YH, Myung IS, Choi HW. Establishment of economic threshold by evaluation of yield component and yield damages caused by leaf spot disease of soybean. Res Plant Dis 2013;19:196-200. 

  5. Hong SJ, Kim YK, Jee HJ, Shim CK, Kim MJ, Park JH, Han EJ, Lee BC. Influence of disease severity of bacterial pustule caused by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on soybean yield. Res Plant Dis 2011;17:317-25. 

  6. Allen TW, Bradley CA, Sisson AJ, Byamukama E, Chilvers MI, Coker CM, Collins AA, Damicone JP, Dorrance AE, Dufault NS, et al. Soybean yield loss estimates due to diseases in the United States and Ontario, Canada, from 2010 to 2014. Plant Health Prog 2017:18:19-27. 

  7. Ko YM, Choi J, Lee YH, Kim HT. First report of charcoal rot caused by Macorphomina phaseolina on Glycine max in Korea. Res Plant Dis 2020;26:29-37. 

  8. Diaz Arias MM, Leandro LF, Munkvold GP. Aggressiveness of Fusarium species and impact of root infection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s. Phytopathology 2013;103:822-32. 

  9. Chang X, Dai H, Wang D, Zhou H, He W, Fu Y, Ibrahim F, Zhou Y, Gong G, Shang J, et al. Identification of Fusarium species associated with soybean root rot in Sichuan province, China. Eur J Plant Pathol 2018;151:563-77. 

  10. Zhang JX, Xue AG, Cober ER, Morrison MJ, Zhang HJ, Zhang SZ, Gregorich E. Prevalence, pathogenicity and cultivar resistance of Fusarium and Rhizoctonia species causing soybean root rot. Can J Plant Sci 2013;93:221-36. 

  11. Choi HW, Hong KS, Kim JS, Lee YK. First report of Fusarium fujikuroi causing Fusarium wilt on Glycine max in Korea. Plant Dis 2019;103:2469. 

  12. Kang IJ, Shim HK, Heu S, Kim KS. First report of soybean root and stem rot caused by Fusarium graminearum in South Korea. Plant Dis 2020;104:568. 

  13. Gerlach W, Nirenberg H. The genus Fusarium: A pictorial atlas. Berlin: Kommissionsverlag P. Parey; 1982. 

  14. Leslie JF, Summerell BA. The Fusarium laboratory manual. New York: John Wiley & Sons; 2006. 

  15. Choi HW, Kim JM, Hong SK, Kim WG, Chun SC, Yu SH. Mating types and optimum culture conditions for sexual state formation of Fusarium fujikuroi isolates. Mycobiology 2009;37:247-50. 

  16. O'Donnell K, Kistler HC, Cigelnik E, Ploetz RC. Multiple evolutionary origins of the fungus causing Panama disease of banana: concordant evidence from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 genealogies. Proc Natl Acad Sci USA 1998;95:2044-9. 

  17.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2013;30:2725-9. 

  18. Ye W, Zeng D, Xu M, Yang J, Ma J, Wang Y, Zheng X. A LAMP-assay-based specific microbiota analysis reveals community dynamics and potential interactions of 13 major soybean root pathogens. J Integr Agric 2020;19:2056-63. 

  19. Okello PN, Petrovic K, Singh AK, Kontz B, Mathew FM. Characterization of species of Fusarium causing root rot of soybean (Glycine max L.) in South Dakota, USA. Can J Plant Pathol 2020. https://doi.org/10.1080/07060661.2020.1746695. 

  20. Farias GM, Griffin GJ. Roles of Fusarium oxysporum and Fusarium solani in Essex disease of soybean in Virginia. Plant Dis 1989;73:38-42. 

  21. Kolander TM, Bienapfl JC, Kurle JE, Malvick DK.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host range of Fusarium virguliforme, the causal agent of soybean sudden death syndrome. Plant Dis 2012;96:1148-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