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제국이후 광복이전까지의 모자에 관한 연구(1897-1945) - 신문광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Headgear from the Greater Korean Empire to the Time of Independence (1897-1945) - Focused on the Newspapers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2 no.4, 2012년, pp.164 - 180  

김은정 (가톨릭대학교 의류학전공) ,  강순제 (가톨릭대학교 의류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the hats in the advertisements of the newspapers from the Greater Korean Empire to the Time of Independence. There were Yeomo(禮帽), Jungsanmoja(中山帽子), Jungjeolmoja(中折帽子), Women's hat, Undongmoja(運動帽子), and Hakdomoja(學徒帽子) from 1897 to the 1900s. The names of the hats were writ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광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모자의 명칭과 시대별로 변화되는 양상을 확인해 보고자, 먼저 복식이 서구화되는 과도기인 대한제국부터 광복이전까지 신문 자료 중 각 시기별로 광고를 확인할 수 있는 『독립신문(1896-1899)』, 『황성 신문(1898-1910)』, 『대한매일신보(1904-1910)』, 『매일신보(1910-)』, 『동아일보(1920-)』, 『조선일보(1920-)』, 『조선중앙일보(1933-1937)』을 대상으로 모자에 관한 광고를 발췌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광고상에 등장하는 모자를 시기별로 분류하고, 둘째, 각 시기별로 명칭들의 형태, 용도 등을 정의하고 유사한 종류들을 모아 비교 분석하며, 셋째, 광고 속 모자들의 명칭·형태로 본 특징과 사용자·사용례로 본 특징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당시 신문의 기사와 광고는 일본의 영향 하에 있었다. 또한 『매일신보』는 광고를 싣는 매체에서 그치지 않고 광고의 효력에 관한 글을 직접 기사나 사설을 통해 실어서 광고의 이용을 촉진하고자 하였다.18)
  • 본 연구는 대한제국부터 광복이전까지 당시 대표적인 신문들의 광고 속에서 확인되는 모자의 명칭들을 시대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명칭들의 형태, 용도, 유사명칭들과의 관계분석, 시대별 광고의 차이를 통해 쓰개 문화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여자용모자(女子用帽子)라고 표기된 서양식 모자와 유사한 형태의 모자를 프랑스 복식에서는 무엇이라 했는가? 여자용 모자는 ‘여자용모자(女子用帽子)’이라고 표기된 서양식 모자가 광고되었다. 프랑스의 복식에서 보면 이와 유사한 형태의 모자를 ‘straw hat’16)이라 했는데 1890년대부터 1900년대 초반까지 여성들에게 유행한 모자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림 4>17)의 미국에서 공부를 하고 온 박에스더의 사진에서 당시 광고 속에 실린 모자가 확인된다.
광고란? 광고는 소비자에게 상품의 판매나 서비스의 이용 등을 목표로 이에 필요한 정보를 매체를 통해 유료로 전달하는 행위로, 글과 사진, 그림 등으로 예상구매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설득하는 활동이다.1) 특히 개화기 시대의 의류 관련 광고는 조선의 영세했던 수공업 수준의 산업체계에 침투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면서 외국상품의 국내침투의 길을 제공2)함으로써, 전환기의 의생활 변혁을 이끈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의류에 관한 광고는 몇 년도에 시작되었는가? 의류에 관한 광고는 대한제국이 건국된 해인 1897년 『독립신문』에 ‘서양 신’3)을 판다는 광고가 글로 게재되면서 시작되어 점차 의류소재, 신발, 모자, 의복 등에 관한 광고가 다량으로 신문매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소개되었다. 특히 복식이 서구화되는 과도기인 대한제국 이후부터 광복이전까지의 의류관련 광고들을 보면 신발과 모자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4), 신발과 모자는 전환기의 우리 의생활에서 가장 먼저 서구적인 변화를 수용한 복식 아이템이었음을 예견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2)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경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153. 

  2. 정진석 (1990), 한국언론사, 경기: 나남, p. 279. 

  3. "광고" (1897. 5. 13), 독립신문, p. 4. 

  4. 김진구, 김애련 (1999), 매일신보광고를 통해 본 일제시대 한국복식의 변천, 복식문화연구, 7(2), p. 235. 

  5. 김이든 (2007), 개항이후 남자 모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진구, 김애련 (1999), 매일신보광고를 통해 본 일제시대 한국복식의 변천, 복식문화연구, 7(2), p. 238. 

  7. 김영희 (1990), 여성용 모자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은영자, 이정순 (1992), 20世紀 帽子의 變遷에 關한 硏究, 계명대학교생활과학연구소 과학논집, 18, pp. 65-85. 

  9. 문주향 (2003), 여성모자의 변천에 관한연구-20세기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3-43. 

  10. "상품예모를 염가발수(上品禮帽를廉價發?)" (1898. 3. 8), 황성신문, p. 3. 

  11. 자료검색일 2012. 2. 25, http://en.wikipedia.org/wiki/Top_hat 

  12. "신랑신부" (1918. 1. 8), 매일신보, p. 3. 

  13. 자료검색일 2011. 9. 10, http://www.presseum.or.kr/html/html_db/cyb_ad/1900_01.html 

  14. "왕호서림광고(王虎書林廣告)" (1909. 6. 23), 대한매일신보, p. 4. 

  15. 문세영 (1948), 조선어사전, 서울: 삼문사, p. 1469. 

  16. Ruth Turner Wilcox (1977), The mode in costume, New York: Scribner, pp. 337-338. 

  17. 문세영 (1948), 조선어사전, 서울: 삼문사, p. 1472. 

  18. Ruth Turner Wilcox (1977), The mode in costume, New York: Scribner, p. 350. 

  19. 자료검색일 2012. 2. 10, http://culturedic.daum.net/dictionary_content.asp 

  20. 이정민 (1997), 일제 무단정치 시대의 신문광고에 관한연구: 매일신보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3-24. 

  21. "유행형파나마모,맥와라모(流行形バナマ 麥ワラ帽)" (1919. 5. 2), 매일신보, p. 2. 

  22. "신형 유행 모자" (1912.10.22), 매일신보, p. 3. 

  23. "모자전문도매(帽子專門都賣)" (1912. 9. 15), 매일신보, p. 1. 

  24. "모자전문상개업(帽子專門商開業)" (1912. 10. 24), 매일신보, p. 3. 

  25. "춘하모신착특별대할인(春夏帽新着特別大割引)" (1917. 4. 3), 매일신보, p. 1. 

  26. 문세영 (1948), 조선어사전, 서울: 삼문사, p. 1664. 

  27. "춘하용모자각종신도착(春夏用帽子各種新到着)" (1917. 4. 8), 매일신보, p. 1. 

  28. 문세영 (1948), 조선어사전, 서울: 삼문사, p. 516. 

  29. "Straw Hat Day" (1918. 5. 9), 매일신보, p. 3. 

  30. "代理部의 帽子" (1918. 11. 6), 매일신보, p. 3. 

  31. 시사일본어사편집부 (2004), 시사더베스트 일본어 한자 읽기, 서울: 시사일본어사, p. 792. 

  32. "라파륜모자" (1913. 6. 1), 매일신보, p. 3. 

  33. 김이든 (2007), 개항이후 남자 모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5. 

  34. "모물광고" (1911. 11. 28), 매일신보, p. 3. 

  35. "풍방이(風防耳)" (1913.10. 24), 매일신보 p. 3. 

  36. "금성상점(金成商店)" (1918. 1. 17), 매일신보, p. 3. 

  37. "미려탁월한품모(美麗卓越한 品帽)" (1918. 11. 27), 매일신보, p. 3. 

  38. "帽子商 廷箕元" (1913. 10. 21), 매일신보, p. 2. 

  39.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상), 서울: 두산동아, p. 2197. 

  40. 이덕본, op. cit., p. 351. 

  41. "평양산 목출모 판매호적(平壤産 目出帽 販賣好積)" (1925. 11. 22), 매일신보, p. 5. 

  42. 이성범 (2006), 일제시대 신문광고에 나타난 광고마케팅 분석 : 시각적 요소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0. 

  43. "파나마 세척소" (1920. 4. 30), 매일신보, p. 1. 

  44. "일문자맥고모(一文字麥稿帽)" (1920. 5. 22), 동아일보, p. 1. 

  45. "맥고일문자(麥稿一文字)" (1924. 5. 17), 동아일보, p. 1. 

  46. "靑年麥稿帽" (1920. 5. 16), 동아일보, p. 1. 

  47. "특제모자(特製帽子)" (1924. 1. 31), 동아일보, p. 32. 

  48. "영희상회판매부(迎禧商會販賣部)" (1926. 3. 23), 동아일보, p. 4. 

  49. "화천모자점(化泉帽子店)" (1924. 10. 28), 동아일보, p. 3. 

  50. 민중서림 편집국 편 (1998), 엣센스新日韓小辭典, 서울: 민중서림, p. 644. 

  51. "추동모최신식신하착(秋冬帽最新式新荷着)" (1925. 12. 8), 동아일보, p. 2. 

  52. "특제모자(特製帽子)" (1924. 1. 31), 동아일보, p. 3. 

  53. "사제청년모(?製靑年帽)" (1920. 5. 11), 동아일보, p. 4. 

  54. "화천모자점(化泉帽子店)" (1923. 10. 17), 매일신보, p. 3. 

  55. "각모자(各帽子)" (1924. 10. 7), 동아일보, p. 3. 

  56. "學生帽" (1924. 2. 22), 동아일보, p. 2. 

  57. "學生帽" (1926. 7. 30), 동아일보, p. 2. 

  58. "學生帽" (1926. 8. 7), 동아일보, p. 1. 

  59. "남창상점(南昌商店)" (1925. 12. 23), 동아일보, p. 2. 

  60. "남창상점(南昌商店)" (1926. 11. 8), 동아일보, p. 2. 

  61. "각종모물대매출(各種毛物大賣出)" (1925. 12. 8), 동아일보, p. 2. 

  62. 한국역사연구회 지음 (1992), 한국역사, 서울: 역사비평사, pp. 350-351. 

  63. "우량미려한모자안가제공급고(優良美麗한帽子安價提供急告)" (1934. 9. 16), 매일신보, p. 1. 

  64. 자료검색일 2011. 9. 7, http://www.presseum.or.kr/html/html_db/cyb_ad/1930_13.html 

  65. "스트로-햇과 파나마" (1939. 4. 29), 매일신보, p. 2. 

  66. "革靴와 洋服" (1934. 10. 20), 매일신보, p. 7. 

  67. "미국제직수입품(美國製直輸入品)" (1939. 11. 16), 동아일보, p. 3. 

  68. "미국제수입품(美國製輸入品)" (1939. 4. 22), 매일신보, p. 3. 

  69. "大衆向ジャンマ―とズボン" (1939. 10. 25), 동아일보, p. 3. 

  70. "전투모자(戰鬪帽子)" (1939. 10. 11), 동아일보, p. 3. 

  71. "新體制의 國民服" (1940. 11. 2), 매일신보 p. 8. 

  72. 이성범 (2006), 일제시대 신문광고에 나타난 광고마케팅 분석 : 시각적 요소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0-23. 

  7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경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155. 

  74. 코이케미츠에, 槪說日本服飾史 日本生活文化史: 近現代の移り變り, 허은주 역 (2005), 일본복식사와 생활문화사, 서울: 어문학사, p. 162. 

  75. 유모토 고이치 (2004), 일본근대의 풍경, 서울: 그린비, p. 293. 

  76. "간도시찰단경무총감부를시찰흠" (1917. 5. 19), 매일신보, p. 3. 

  77. "개성의 여자교육가 김정혜여사" (1912. 12. 22), 매일신보, p. 2. 

  78. "首飾의 各種" (1918. 1. 1), 매일신보, p. 2. 

  79. "レ―トメリ―" (1926. 12. 8), 동아일보, p. 3. 

  80. 김명희, op. cit., pp. 24-25. 

  81. 조선일보출판부 (1935), 조광, 1(2), 서울: 조선일보사, pp. 216-217. 

  82. "멀니온손님네들" (1917. 5. 19), 매일신보, p. 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