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북아시아 지역 전통복식 디자인을 응용한 셔츠디자인 개발 -글로벌 패션문화상품-
Development of Shirt Design Applying Traditional Clothing Design in Northeast Asia Region - Global Fashion Cultural Products -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2 no.4, 2020년, pp.446 - 455  

최은주 (영산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velop high value fashion culture products capable of reaching the global market, this study developed the original traditional clothing design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according to a global perspective. This study applied the structural formality of traditional clothing to fash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에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의 관광지 등에 가면 전통복식을 체험하고 사진 등을 찍을 수 있는 곳들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으며 이곳들을 통해서 전통복식을 체험해 볼 수 있다. 각국의 대표적 의상으로 이름 알려져 있는 다양한 전통복식들 중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전통복식에 대해서만 우선 고찰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동북아시아 국가에서 몽골, 중국, 한국, 일본을 대상으로 현재까지 각국의 전통의상으로 직·간접적으로 접해볼 수 있는 복식 중 Table 1과 같이 연구자가 의도하는 셔츠디자인의 응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몽골의 델, 중국의 마갑, 한국의 당의와 단령, 일본의 하오리 등을 응용하여 디자인을 전개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고부가 가치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전통복식의 차별화된 디자인을 현대적 해석과 적용으로 세계인의 시각에 맞게 발전시켜 전통문화의 글로벌화를 이루고 국제화 시대의 세계 트렌드에 동참하고자 하였다.
  • 전통복식의 원형에 충실한 디자인은 전통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향수를 지닌 고객이나 새로운 양식에 신선함을 느끼는 외국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전통복식의 구조적인 특징을 패션문화상품인 셔츠디자인에서 구조적인 선이나 디테일의 활용으로 새로운 양식의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선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전통복식의 독창적인 디자인을 현대적 해석과 적용으로 세계인의 시각에 맞게 발전시켜 전통문화의 글로벌화를 이루고 국제화 시대의 세계 흐름에 동승하고자 하였다.
  • 다양한 패션문화상품들이 선행연구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남녀 모두 선택할 수 있는 셔츠디자인으로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셔츠의 기본 디자인은 밴드칼라에 앞단추 여밈으로 옆트임이 있으며, 팔꿈치길이의 반소매에 장식 커프스가 달린 면소재 셔츠를 기본 형태로 디자인하였다.
  • 3D 가상의상에서는 매듭단추 여밈 대신 스냅 여밈으로 표현하였다. 단추 장식 부분은 패션문화상품 제작과정이나 착용의 편리성에 따라 간단한 고리단추나 스냅단추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 각국의 전통복식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세계적 디자인의 방향을 패션문화상품을 개발로 모색하는 의미에서 동북아시아 지역의 전통복식 디자인의 디테일 등을 이용하여 전통복식의 이미지와 구성형식의 일부를 셔츠디자인에 응용하여 글로벌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목적을 두었으며, 그 연구방법으로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전통복식 중 현대에도 이용되어지고 있는 의상을 중심으로 각 의상의 특징을 디자인 요소로 찾아 어도비 일러스트로 디자인 작업을 하고, 3D 가상의상을 제작하여 새로운 패션문화상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 각 국가들의 많은 종류의 전통복식 중 지금까지 일상에서 또는 각국의 명절, 결혼식 등에서 예복으로 착용되고 있는, 세계의 일반인들이 각 나라에 여행 또는 출장 등으로 방문 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나마 조금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경험이 다소 가능한 의상들을 먼저 도입하여 디자인을 응용하고자 하였다. 최근에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의 관광지 등에 가면 전통복식을 체험하고 사진 등을 찍을 수 있는 곳들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으며 이곳들을 통해서 전통복식을 체험해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전통복식이 가지고 있는 미적 가치를 활용하여 경쟁력 있는 패션문화상품을 만들고자 다양한 전통복식의 조형적인 특징을 활용하고 현대적 감각에 맞도록 재조명해 보았으며, 글로벌 시대에 각 국의 전통적인 독창성을 유지하고 관광상품을 확대하여 각 국의 전통과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글로벌 패션문화상품 시장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많은 종류의 동북아시아 전통복식 중 현재까지 각국의 의상으로 직·간접적으로 접해볼 수 있는 복식 중 연구자가 의도하는 셔츠디자인의 응용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몽고의 델, 중국의 마갑, 한국의 당의와 단령, 일본의 하오리 등을 중심으로 Table 3~7과 같이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Table 2는 그 동안 전시 발표하였던 작품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발표하였던 셔츠디자인을 근간으로 패션문화상품으로 셔츠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실제 의상 보다 3D virtual costume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제안하여 보다 더 많은 디자인을 시제품으로 만들어 소비자들의 반응을 파악한 후 생산 가능한 패션문화상품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동북아시아 각국의 전통복식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글로벌 디자인의 방향을 패션문화상품을 개발로 모색하는 의미에서 동북아시아 지역의 전통복식 디자인의 디테일 등을 이용하여 전통복식의 이미지와 구성형식의 일부를 셔츠디자인에 응용하여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전통 이미지를 강조할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해 보고자 하였다. 패션문화상품의 종류는 남녀 모두가 쉽게 착용할 수 있는 셔츠디자인으로 개발하였다.
  • 이와 같은 현상은 자연스럽게 동북아시아 각국들의 정서가 포함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으로 관심 가져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통복식의 구성적인 형태의 디테일 부분들을 응용하여 보다 디자인적 가치를 부여한 패션문화상품의 개발에 주력하고자 하였다.
  • 일본 전통복식 중 상의 위에 걸쳐 입는 하오리의 형태에서 디자인의 디테일을 가져오고자 하였다. 좌우 앞깃이 걸쳐 입음에 따라 대칭으로 떨어지고, 좌우가 벌려지거나 또는 끈으로 간단히 묶는 점을 디자인의 포인트로 잡아서 Table 7과 같이 깃부분에 ‘선’장식을 처리하고 마주 묶는 끈 장식을 추가하였다.
  • 동북아시아 나라들의 전통복식은 대부분 옷에 ‘선’장식을 가장자리 또는 디테일 부분에 사용하고 있으며, 동북아시아 지역의 의복의 ‘선’장식은 비슷한듯하나 국가별로 형식을 조금씩 달리하고 있으므로 셔츠디자인의 커프스장식이나, 깃장식 등의 디테일장식에 ‘선’장식의 효과를 사용하고자 하였고, 밑단역시 전통복식의 선단처리처럼 넓은 단을 주었다. 흰색의 셔츠를 기본으로 하고 전통복식의 포인트 부분을 셔츠의 디테일로 추가하는 형태로 디자인을 응용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sia. (n. d.). Naver. Retrieved February 6, 2020,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1308&cid40942&categoryId33136 

  2. Britannica visual dictionary. (n. d.). 전통복식 [Traditional clothing]. Naver. Retrieved January 22, 2020,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15000&cid49009&categoryId49009 

  3. Chae, K. S. (1995). 현대복식미학 [Contemporary fashion aesthetics]. Seoul: Kyungchunsa. 

  4. Choi, E. J. (2019). Vest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e products based on Korean style - Application of traditional lattice pattern of doors -. Fashion & Texile Reearch Journal, 21(4), 412- 419. doi:10.5805/SFTI.2019.21.4.412 

  5. Choi, I. R., & Lee, S. H. (2007). Formative character of Korean and Japanese dress design in modern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5), 749-759. 

  6. Cultural Industry Policy Division. (2000). 공예문화산업제작 유통 실태조사[Research on the distribution status of craft culture industry production]. Seoul : Ministry of Culture, Sport and Tourism(MCST). 

  7. Dan-ryung. (n. d.).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Retrieved April 12, 2019,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4299&cid46671&categoryId46671 

  8. Dang-ui. (n. d.). 당의 [Dang-ui]. Doopedia. Retrieved April 12, 2019,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80374&cid40942&categoryId32079 

  9. Deel. (2009, July 17). 델 [Deel]. Retrieved August 17, 2019, from https://mongolro.tistory.com/312 

  10. Deel. (n. d.). 델 [Deel]. Doopedia. Retrieved August 17, 2019,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22457&cid40942&categoryId32086 

  11. Geum, K. S. (1999).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the traditional costume for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3, 69-81. 

  12. Haori. (n. d. a). 하오리 [haori]. Korean dictionary. Retrieved January 21, 2020, from https://ko.dict.naver.com/#/entry/koko/0a8e56bbe6e345009891bb90554dd0c2 

  13. Haori. (n. d. b). 하오리 [haori]. Retrieved January 21, 2020,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27756&cid62091&categoryId62091 

  14. Haori. (n. d. c). 하오리 [haori]. Retrieved January 21, 2020,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96732&cid60542&categoryId60542 

  15. Hong, H. S. (2001). The effect of benefit thought and fashion image on purchase intention of Gal-ot.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2), 73-84. 

  16. Hong, N. Y., Kim, C. J., Yu, H. K, & Lee, J. H. (1999). A study on comparative culture abou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ultural heritage style in Asia. Asian Comparative Folklore, 17, 315-334. 

  17. Hong, N. Y., Shin, H. S., & Lee, E. J. (2011).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History of East Asian Costume]. Seoul: Gyomoons. 

  18. Hong, N. Y., Shin, H. S., & Choi, J. H. (2004). 아시아 전통복식 [Traditional Costumes of Asia]. Seoul: Gyomoons. 

  19. Hua, M. (1992). 중국복식사 [The history of Chinese Costumes] (S. S. Park & S. W. Lee, Trans.). Seoul: Kyungchunsa. (Original work publilshed 1992) 

  20. Hwang, C. S. (1995). 세계전통복식 [World Traditional Costume]. Seoul: Suhaksa. 

  21. Japan Haori. (2017, August 26). Naver. Retrieved January 21, 2020, from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9&dirId9020101&docId283343329&qb7ZWY7Jik66as&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 

  22. Kim, E. S., & Do, W. H. (2010). A study on the strategic methods of fadhion cultural products in Gwang-j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6(2), 120-128. 

  23. Kim, H. J. (2006).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development as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pattern in Northeast Asia - Focusing on Korea, China, Japan's costume forms in 16-19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24. Kim, J. H., & Kan, H. S. (2009).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development as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pattern in Northeastern Asia - Focusing on the costumes of Korea, China, Japan in the 16th-19th centu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9), 1-15. 

  25. Kim, M. J. (2015). 한국복식사 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Costume]. Seoul: Gyomoonsa. 

  26. Kim, S. O., Kim, Y. I., Seo, D. S., Yang, S. O., Lim, J. S., & Cho, E. J. (1980). 동양 여러나라의 민속의상 연구 [A Study of Oriental Native Costume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Human Ecology 婦學. 12, 15-18. 

  27. Kim, Y. S.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Korean Costume Culture Dictionary]. Seoul: Art culture. 

  28. Korea Dan-ryung. (2017, May 1). Naver Blog. Retrieved May 20, 2019, from https://blog.naver.com/blisskim47/220995842427 

  29. Korean dictionary. (n. d.). 전통복식 [Traditional clothing]. Naver. Retrieved January 22, 2020, from https://ko.dict.naver.com/#/entry/koko/493e957fed704ba5a332e9843e83f4bb 

  30. Kwon, H. J. (2014). Moder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raditional costum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munity Living Science, Fall Conference, Korea, pp. 95-98. 

  31. Lee, J. M., & Kim, M. J. (2006).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women’s traditional costumes from the viewpoint of oriental aesthetics -Focusing on the late Joseon period of Korea and the Edo period of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5), 132-149. 

  32. Lim, M. M. (1992). An history of Mongolian costume. Seoul: Kyungchunsa. 

  33. Mongolia Deel. (2010, May 29). Naver Blog. Retrieved May 15, 2017, from https://blog.naver.com/myoto1214/60108140401 

  34. Presented works. (2016). China. Reprinted from International Art & Design Exhibition. The Korea Association of Art & Design. 

  35. Presented works. (2017). Mongolia. Reprinted from The 22th International Fashion Exhibition of Professor. The Society of Fashion & Textile Industry. 

  36. Presented works. (2019). Korea. Reprinted from International costume Exhibition.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37. Presented works. (2019). Korea. Reprinted from The 24th International Fashion Exhibition. The Society of Fashion & Textile Industry. 

  38. Northeast Asia. (n. d.). Wikipedia. Retrieved May 20, 2019, from https://ko.wikipedia.org/wiki/동북아시아 

  39. Seo, B. H. (2014).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 of Asian traditional costumes - Emphasis on buddhist, hindu and islamic costum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6), 47-64. doi:10.7233/jksc.2014.64.6.047 

  40. Taditional clothes of Mongolia. (2016). Ministry od Foreign Affairs / Overview of Mongolia. Naver. Retrieved May 10, 2019,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803299&cid43755&categoryId43756 

  41. Yeo, S. W., & Lee, S. E. (2012). Awareness analysis about fashion cultural products with tradition -Focused on the design major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5(2), 19-29. 

  42. Yu, H. K., Hong, N. Y., Lee, J. H., & Kim, C. J. (1998). Comparative study of Asian ethnic dresses(Part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8), 1043-10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