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Factor Analysis of Effects on Research Data Collection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29 no.2 = no.84, 2012년, pp.27 - 44  

김은정 (kt 그룹컨설팅지원실) ,  남태우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연구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 공유를 위한 수집을 활성화하기 위해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제출의도를 측정하고, 이러한 제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관리규정과 선행연구를 통해 요인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항목을 바탕으로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국내 35개 기관 연구원 135명으로부터 설문 결과를 받았다. 결과분석을 통해 정보인프라, 동기부여, 장애 측면에서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데이터 수집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researcher's behavior and attitudes about depositing data from sponsored research. I analyzed the behavior, barriers, incentives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 of 135 researchers in 35 Korean research institutes. The surve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연구데이터의 보존과 공유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연구데이터 수집을 활성화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제출의도를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인프라, 동기부여, 장애 측면에서의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연구데이터 수집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향후 연구데이터의 공유를 위해 연구자들이 연구기관에 자신의 연구데이터를 제출·등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기관에서 효율적으로 연구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 연구기관내 동료 연구자들과 공유를 위해 연구기관에 연구데이터를 제출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에 대한 조사 결과는 다음 <표 7>과 같다.
  • 연구데이터 제출·등록을 위해 정보인프라 요인에 대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자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 연구데이터를 다른 연구자들과 공유하기 위해 제출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8>과 같다.
  • 연구자 175명을 선정하여 설문을 한 결과 75명에게 회신을 받았다.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생산된 데이터를 얼마나 많이 저장하였는지, 연구자들이 미래를 위해 실적 보존과 관련하여 스스로 어떤 태도나 관심을 보이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항목을 살펴보면 다른 연구자와 연구데이터 공유를 위한 연구데이터 제출, 연구데이터 공유를 위한 아카이빙 정책, 데이터 제출 의무조항, 데이터의 접근 권한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제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항목을 도출하기 위하여 연구데이터에 대한 이용자 연구를 조사하였다.
  • 응답자에게 소속기관의 연구자들을 위해 연구데이터를 제출할 의도가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그 응답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표 5>와 같다.
  • 자신의 연구데이터를 다른 연구자와 공유하고, 다른 연구자들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측면에서 유사한 체계를 가지고 있는 지식경영 분야의 이용자 공유인식에 대한 연구를 조사하였다. 정상철(2008)은 2008년 지식경영의 핵심 성공요인을 찾기 위하여 서울 경기 기업의 종사원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연구기관의 연구데이터 수집을 위해 정보인프라 요인을 강화할수록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제출의도는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연구데이터 제출을 위한 동기부여가 강할수록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제출의도는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 연구데이터 제출에 대한 장애요인이 클수록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제출의 도는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데이터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 연구윤리지침』(2010)에서는 연구데이터를 “실험의 재료나 과정 및 결과, 관찰이나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의 결과 등의 원자료를 의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김선태(2010)는 과학데이터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과학데이터를 “연구자의 연구 활동 과정 중 생성되는 다양한 유형의 사실적 기록을 의미한다. 즉, 연구활동을 통하여 생산된 연구활동의 기록물로서 관측, 감시, 조사, 실험, 분석, 계산 등의 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문자,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등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형식을 포괄하는 데이터”라고 정의하였다. 미국 National Academy of Sciences(2009)에서는 연구데이터를 “과학적, 공학적, 의학적 연구 분야에서 사용되는 정보이며, 연구의 결론을 이끌어 내는 투입, 결과”로 정의하였다.
연구데이터란 무엇인가? 학술용어 측면에서 살펴보면 연구데이터는 과학데이터(scientific data), 연구과학데이터(research scientific data) 등으로 혼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서울대학교 연구윤리지침』(2010)에서는 연구데이터를 “실험의 재료나 과정 및 결과, 관찰이나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의 결과 등의 원자료를 의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김선태(2010)는 과학데이터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과학데이터를 “연구자의 연구 활동 과정 중 생성되는 다양한 유형의 사실적 기록을 의미한다.
향후 연구데이터 수집을 활성화하기 위해 인식도, 동기부여, 활용도, 정책, 정보인프라 측면에서 어떤 사항이 필요한가? 먼저 인식도 측면에서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의 데이터인 경우 연구자 개인의 소유이기보다는 공공 예산에 의해 생산된 공공재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연구데이터의 공개를 통해 연구성과를 설명하고, 연구의 투명성을 증명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연구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해서는 연구비를 지원하는 기관과 연구 수행기관에서 연구데이터의 가치를 인식하고 보존에 대한 다양한 장점과 이익 등을 인지해야 한다. 둘째, 동기부여측면에서 고품질의 연구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동기부여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우수 연구성과에 대한 산출을 촉진시켜야 한다. 연구데이터의 활발한 공유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제출 노력이 업적평가 등의 인사관리에 반영되어야 한다. 연구자들에게 연구데이터 제출을 독려하기 위해서는 장애요인을 상쇄할 수 있는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안해야 한다. 효과적인 동기부여를 위해서는 내적 동기부여와 외적 동기부여를 적절히 결합해야 한다. 셋째, 활용도 측면에서 연구데이터의 적절한 활용을 위해 데이터를 관리할 때 출처, 목적, 시간, 지역적 장소, 생산자, 이용조건, 용어 등에 대한 표준 메타데이터를 사용해야 한다. 메타데이터는 연구데이터를 표준화하고, 구조화하는 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표준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향후 다른 시스템과의 상호운용성을 고려해야 한다. 메타데이터를 통해 활용하는 연구 데이터는 지식교류를 활성화시키고, 국내외 다양한 연구자들과의 연구 협업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넷째, 국가적 차원에서 연구데이터의 종류, 수집 범위, 아카이브에 대한 정책적 논의를 필요하다. 국가 과학정보관리 부처와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비를 지원하는 연구재단, 대학들의 폭넓은 협의가 필요하다. 연구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개별 연구기관의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에 각종 공공 연구비의 지원을 통해 생산된 연구데이터의 제출과 관련된 구체적인 규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데이터의 수집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정보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정보인프라에는 연구데이터를 저장하고 이용하는 시스템뿐만 아니라 연구데이터를 관리하는 담당부서와 전문 직원이 포함된다. 관리부서와 직원은 관리규정에 의거하여 연구데이터를 수집, 관리하고, 데이터 관리계획 수립을 지원해야 한다. 또한 연구자들에게 데이터 공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데이터 제출에 장애가 되는 요소를 제거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교육과학기술부 한국학술진흥재단 (2008). 학술연구과제관리규칙.(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08). Guideline for Management of Academic Research Project.) 

  2.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연구노트지침.(National Science & Technology Commission (2011). Guideline for Research note.) 

  3. 김선태, 한선화, 이태영, 김용 (2010). 과학데이터 보존 및 활용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81-93.(Kim, Sun-Tae, Hahn, Sun-Hwa, Lee, Tae-young, & Kim, Young (2010). A study on a model for using and preserving scientific data.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4), 81-93.) 

  4. 김지현 (2011). 자연과학분야 대학실험실에서의 연구노트 작성 및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139-159.(Kim, Jihyun (2011). A study on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laboratory notebooks in scientific laboratories of a univers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139-159.) 

  5. 서울대학교 (2010). 서울대학교 연구윤리지침.(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Seoul National University Guideline for Research ethics.) 

  6. 이훈영 (2008). 연구조사방법론. 서울: 청람.(Lee, H. (2008). Research methodology. Seoul: Chung-ram.) 

  7. 이상호 (2011). 국내 과학데이터의 수집, 출판, 유통, 체제 구축 및 당면과제. 19차 KISTI 오픈지식정보 포럼 발표자료.(Lee, Sang-Ho (2011). The collection, publishing, circulation and system of scientific data in Korea. Presented at the 19st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Open Knowledge Information Forum.) 

  8. 이상환, 심원식 (2009). 과학데이터의 공유와 활용. KISTI 지식리포트, 5.(Lee, Sang Hwan, & Sim, Wonsik (2009). The sharing and using scientific data.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nowledge Report, 5.) 

  9. 정상철 (2008). 지식경영의 핵심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 춘계 공동 국제학술발표대회, 175-184.(Jeong, S. (2008). A study on the key success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Korea International Accounting Association Spring International Conference, 175-184.) 

  10. 채균식, 이응봉 (2006). 참조표준데이터 품질관리 및 응용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2), 283-305.(Chae, Kyun-shik, & Lee, Eung-Bong (2006). A study on the quality control and operating system of standard reference data.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2), 283-305.) 

  11. 해양과학조사법시행령, 2008.(The Enforcement Ordinance of Korea Marine Scientific Research Act, 2008.) 

  12. Green, A., Macdonald, S., & Rice, R. (2009). Policy-making for research data in repositories: A guide. Data Information Specialists Committee -UK. 

  13. Hedstrom, M., & Jinfang, N. (2008). Incentives for data producers to create "archive-ready" data: implications for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 2008 Research Forum, 2008. 

  14. Hunter, J. (2006). Scientific publication packages-a selective approach to the communication and archival of scientific output.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1(1), 33-52. 

  15. Interagency Working Group on Digital Data to the Committee on Science of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2009). Harnessing the power of digital data for science and society. 

  16.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09). Committee on ensuring the utility and integrity of research data in a digital age, Ensuring the Integrity, accessibility, and stewardship of research data in the digital ag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7. National Science Board (2005). Long-lived digital data collections: enabling research and education in the 21 century. National Science Foundation. 

  18. Perry, C. M. (2008). Archiving of publicly funded research data: a survey of canadian researcher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5, 133-148. 

  19. The Australian National Data Service Technical Working Group (2007.10). Towards the Australian data commons. Retrieved from http://www.pfc.org.au/pub/Main/Data/TowardstheAustralianDataCommons.pdf 

  20. UK Data Archive (2010.5). Preservation polic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