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7 no.3, 2013년, pp.251 - 274
This study aims to analyze data management policies offered by 15 government funding agencies in the U.S., UK, Canada, and Australia, and to make recommendations for developing data management policies in Korea. For the analysis of data management policies, five criteria were suggested based on lite...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해외 정부연구비지원기관의 정책 개발 현황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공통점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해외 정부연구비지원기관의 정책 개발 현황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공통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기관들의 연구데이터 관리정책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관리의 원칙을 이미 개발하였거나 개발하고자 한다는 점이다. 둘째, 연구자들이 연구 과제를 신청할 때 생산된 데이터의 관리에 대한 계획도 연구계획서에 함께 포함시키도록 함으로써 데이터관리를 연구자들과 연구비지원기관의 책무로서 공식화하고 있다. 셋째,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데이터관리를 위한 실행방안을 제시하면서 데이터 수집과 보존을 위한 인프라와 표준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넷째, 데이터를 공개할 수 없거나 제한적으로 공개하게 되는 조건들과 이와 관련된 법적, 윤리적 측면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합법적이고 윤리적인 데이터 공유를 강조하고 있다. | |
데이터관리 전략은 비전, 목표, 실행 프레임워크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3가지는 무엇인가요? | 이 중에서 정책과 관련된 부분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에 대한 비전으로는 공적 기금으로 조성된 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생산된 데이터를 오픈 액세스로 공개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데이터관리 정책에는 데이터의 소유권과 윤리적 문제로 공개해서는 안 되는 데이터에 대한 조건들이 명시되어야 하며 정책은 데이터관리 원칙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둘째, 정책에 대한 목표로는 연구비지원기관에서 연구계획서의 핵심 부분으로서 데이터관리계획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과, 대학은 연구비지원 기관과 연구자들과 협력하여 정책 준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연구자들의 데이터관리 성공 여부를 차후 연구과제 선정 조건으로 제시한다는 것이다. 비전과 목표를 실천하기 위한 실행 프레임워크는 정부기관, 연구비지원기관, 대학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입장에서 제시되었다 (RDSWG 2011). | |
데이터정책의 요소들로서 NSF에서 제안한 내용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요? | 데이터정책의 요소들로서 NSF에서 제안한 내용들로는 공유할 데이터의 유형, 데이터의 지속적인 접근에 대한 연구자들의 역할 및 책임, 데이터 관리 및 보존의 모범사례, 데이터 공개 일정, 데이터의 지속적인 접근을 보장하는 기간, 연구 분야와 학술 커뮤니티에 따른 데이터의 특성과 관리방식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 데이터관리 계획에 대한 지침, 데이터정책의 중요성, 메타데이터나 데이터포맷 표준, 데이터 공개 및 제출, 데이터관리에 필요한 연구비 지원 가능성과 관련된 NSF의 역할이 있다(NSF 2011). |
김지현. 2012. 대학 내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433-455. (Kim, Jihyun. 2012. "A Study on University Researchers' Data Management Practic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433-455.)
신영란, 정연경. 2012. 국내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93-115. (Shin, Young-Ran, & Chung, Yeon-Kyoung.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Data Archiv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3): 93-115.)
윤종민, 김규빈. 2013. 과학데이터에 대한 입법례와 관리정책 그리고 대응방안: 호주,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6(1): 63-100. (Yoon, Chong-min, & Kim, Kyubin. 2013. "Legislation Cases, Management Policies and Countermeasures on Scientific Data: Focusing Australi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6(1): 63-100.)
Borgman, C. 2008. "Data, Disciplines, and Scholarly Publishing." Learned Publishing, 21: 29-38.
Donnelly. M., Jones, S., & Pattenden-Fail, J. W. 2010. "DMP Online: The Digital Curation Centre's Web-based Tool for Creating, Maintaining and Exporting Data Management Plans."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5(1): 187-193.
Haendel M.A., Vasilevsky, N.A., & Wirz, J.A. 2012. "Dealing with Data: A Case Study on Information and Data Management Literacy." PLoS Biol 10(5): e1001339.
Johnston, L., Lafferty, M., & Petsan, B. 2012. "Training Researchers on Data Management: A Scalable, Cross-Disciplinary Approach." Journal of eScience Librarianship, 1(2). [cited 2013.7.15]. .
Jones, S. 2009. A Report on the Range of Policies Required for and related to Digital Curation. Digital Curation Centre, University of Glasgow.
Jones, S. 2012. "Developments in Research Funder Data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Data Curation, 7(1): 114-125. [cited 2013.7.15]. .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1. Digital Research Data Sharing and Management. Task Force on Data Policies, Committee on Strategy and Budget, National Science Board.
Research Data Strategy Working Group. 2011. Mapping the Data Landscape: Report of the 2011 Canadian Research Data Summit.
Treloar, Andrew. 2009.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Australian National Data Service."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1(4): 125-137.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