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 관리와 공유에 대한 대학 연구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Researchers on Data Management and Sharing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3, 2015년, pp.413 - 436  

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소속된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 관리 현황과 데이터 공유 및 재이용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선행하여 수행된 설문조사의 응답자 중 후속 인터뷰에 동의한 1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참여자들은 다양한 유형과 포맷의 데이터를 생성 또는 수집하고 있었으며 데이터 기록화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소수에 불과하였으나 이들은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데이터가 유용한 기간을 데이터가 논문 출판에 활용될 수 있는 기간으로 인식하는 연구자들이 대다수이었으나, 데이터가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기간 이상으로 데이터를 보존하려는 연구자들이 많아 데이터의 저장과 보존에 대한 연구자들의 요구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의 공유와 재이용은 개인적인 연구 모임이나 연구 팀 등 잘 알고 있는 사람들과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정부연구비 지원을 받는 과제의 데이터는 오픈 액세스로 공개해야 한다는 논리에 전적으로 찬성하는 연구자들도 있는 반면 부분적으로 동의하거나 반대하는 의견도 있었다. 다수의 참여자들이 연구아이디어의 도용, 표절, 논문 출판의 주도권 문제 등 연구데이터 공유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유인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ata management practices of university researchers in Korea, as well as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ata sharing and reuse. For this purpose, it performed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13 researcher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interviews followed by a surv...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터 큐레이션은 무엇인가? 학술 커뮤니케이션에서 연구데이터가 가지는 잠재적 가치와 데이터의 효과적인 관리 및 공유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북미와 유럽 선진국들에서는 학술 연구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그 생애주기에 따라 적극적·지속적으로 관리하는 활동을 ‘데이터 큐레이션 (data curation)’으로 정의하고 이에 포함되는 세부 활동과 실무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검색, 데이터 품질 유지, 부가가치 창출, 데이터의 재이용 촉진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해외에서는 데이터센터및 데이터 레포지터리, 대학 내 기관 레포지터리 등 데이터 관리 주체들을 중심으로 데이터 큐레이션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데이터 큐레이션을 통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북미와 유럽 선진국들에서는 학술 연구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그 생애주기에 따라 적극적·지속적으로 관리하는 활동을 ‘데이터 큐레이션 (data curation)’으로 정의하고 이에 포함되는 세부 활동과 실무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검색, 데이터 품질 유지, 부가가치 창출, 데이터의 재이용 촉진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해외에서는 데이터센터및 데이터 레포지터리, 대학 내 기관 레포지터리 등 데이터 관리 주체들을 중심으로 데이터 큐레이션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연구데이터 관리와 공유에 있어서 현재 무엇이 부족한 상황인가? 연구데이터 관리와 공유에 있어서 데이터를 생산하는 연구자들의 긍정적인 인식과 참여가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해외에서는 많은 관련 연구들이 데이터 생산자의 관점에서 수행되어 왔는데 Borgman(2015)은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학문 분야마다 매우 다양하고, 연구자들을 데이터 공유에 참여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이를 위한 효과적인 유인책도 부족한 상황임을 지적하였다. 국내에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의 관리 및 공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모두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데 이터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김은정 2012; 김문정, 김성희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문정, 김성희. 2015. 과학기술분야 연구자의 연구데이터 공유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313-334.(Kim, Moonjeong and Kim, Seonghee. 2015.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haring of Research Data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2): 313-334.) 

  2. 김은정, 남태우. 2012. 연구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9(2): 27-44.(Kim, Eun-Jeong and Nam, Tae-Woo. 2012. "Factor Analysis of Effects on Research Data Col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2): 27-44.) 

  3. Akers, K. G. and Doty, J. 2013. "Disciplinary differences in faculty research data management practices and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8(2): 5-26. 

  4. Alexogiannopoulos, E., McKenney, S. and Pickton, M. 2010. Research Data Management Project: a DAF investigation of research data management practices at The University of Northampton. Northampton: The University of Northampton. [online] [cited 2015. 7. 15.] 

  5.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2014. Open Scholarship. Washington D. C., US: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online] [cited 2015. 7. 15.] 

  6. Borgman, C. L. 2012. "The conundrum of sharing research data."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3(6): 1059-1078. 

  7. Borgman, C. L. 2015. Big Data, Little Data, No Data: Scholarship in the Networked World. Cambridge, MA: MIT Press. 

  8. Borgman, C. L., Wallis, J. C. and Enyedy, N. 2007. "Little science confronts the data deluge: habitat ecology, embedded sensor networks, and digital libraries." International Journal on Digital Libraries, 7(1-2): 17-30. 

  9. Corti, L. et al. 2014. Managing and sharing research data: A guide to good practice. London: SAGE Publications. 

  10. Cragin, M. H. et al. 2010. "Data sharing, small science and institutional repositorie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A: 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368(1926): 4023-4038. 

  11. Ekmekcioglu, C. and Rice, R. 2009. Edinburgh Data Audit Implementation Project. Scotland: The University of Edinburgh. [online] [cited 2015. 7. 15.] 

  12. Georgia Tech Library. 2013. Cataloging Metadata Template. Atalanta: Georgia Tech Library. [online] [cited 2015. 7. 15.] 

  13. Goben, A. and Salo, D. 2013. "Federal research: Data requirements set to change."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News, 74(8): 421-425. [online] [cited 2015. 7. 15.] 

  14. Karasti, H., Baker, K. S. and Millerand, F. 2010. "Infrastructure Time: Long-term Matters in Collaborative Development."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the Journal of Collaborative Computing, 19(3-4): 377-415. 

  15. Kim, Y. and Stanton, J. M. 2012.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influences on scientists' data sharing practices." Journal of Computational Science Education, 3(1): 47-56. 

  16. Lynch, C. 2008. "Big data: How do your data grow?" Nature, 455(7209): 28-29. 

  17. Molloy, J. C. 2011. "The open knowledge foundation: open data means better science." PLoS Biology, 9(12). [online] [cited 2015. 7. 15.] 

  18.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3. Chapter VI - Other Post Award Requirements and Consideration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Ann Arbor: National Science Foundation. [online] [cited 2015. 7. 15.] 

  19. Open Exeter Project Team. 2012. Summary Findings of the Open Exeter Data Asset Framework (DAF) Survey. Exeter: The University of Exeter. [online] [cited 2015. 7. 15.] 

  20. Parsons, T., Grimshaw, S. and Williamson, L. 2013. Research data management survey: report. Nottingham: The University of Nottingham. [online] [cited 2015. 7. 15.] 

  21. Saltz, J. et al. 2006. "caGri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ore architecture of the cancer biomedical informatics grid." Bioinformatics, 22(15): 1910-1916. 

  22. Scaramozzino, J. M., Ramirez, M. L. and McGaughey, K. J. 2011. "A study of faculty data curation behaviors and attitudes at a teaching-centered university." College & Research Libraries, 73(4): 349-365. 

  23. Wallis, J. C., Rolando, E. and Borgman, C. L. 2013. "If we share data, will anyone use them? Data sharing and reuse in the long tail of science and technology." PloS one, 8(7). [online] [cited 2015. 7. 15.] 

  24. Wellcome Trust. 2014. Establishing Incentives and Changing Cultures to Support Data Access. London: Wellcome Trust. [online] [cited 2015. 7. 15.] 

  25. Westra, B. 2010. "Data services for the sciences: A needs assessment." Ariadne, 64. [online] [cited 2015. 7. 15.] 

  26. Whyte, A. and Pryor, G. 2011. "Open science in practice: Researcher perspectives and particip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6(1): 199-213. 

  27. Williams, S. C. 2013. "Data sharing interviews with crop sciences faculty: why they share data and how the library can help."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anship, 72. [online] [cited 2015. 7. 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