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ES와 부분적인 체중지지를 결합한 지상보행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mbined Use of FES and Over ground Walking with Partial Body-Weight Support on Walking and Balance Competenc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s 원문보기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Electrophysiology, v.10 no.1, 2012년, pp.15 - 22  

왕계석 (남부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윤세원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조운수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용남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combined use of FES and over ground walking with partial body-weight support (PBWS) on walking function and balance control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s. Methods : Twenty-seven people who were ambulatory after chronic strokes were evaluated. The exerc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안정성과 이동성 측면에서 FES와 부분적 체중지지를 결합한 지상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능력 개선을 위한 중재수단으로 적용함으로써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임상적 중재에 있어서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FES와 부분적인 체중지지를 결합한 지상보행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온종아리 신경에 적용된 FES와 부분적인 체중지지를 결합한 지상보행은 보행능력과 균형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 FES와 부분적인 체중지지를 결합한 지상보행훈련은 보행에 대한 과제 특이적 훈련과 능동적 반복적인 움직임 훈련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발병 후 6개월 이상 된 만성 뇌졸중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부분적인 체중지지와 FES를 결합한 지상보행훈련을 4주 동안 적용하여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구력 훈련은 환자가 행동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기술을 획득하기 위한 실기로써 뿐만 아니라 환자들이 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근력, 지구력, 건강을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FES와 부분적인 체중지지를 결합한 지상보행훈련이 정적·동적 균형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Timed Up and Go (TUG), 정량적 측정 장비로 Tetrax를 사용하여 균형능력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에게 나타나는 일반적인 문제점으로는 무엇이 있나? 뇌졸중 환자에게 나타나는 일반적인 문제점으로는 운동기능, 인지기능, 감각지각의 장애, 근 긴장도의 생성 및 조절의 문제, 보행장애 등 여러 가지 증상을 들 수 있다.5 뇌졸중 후 보행장애는 독립적 보행을 어렵게 하고 일상생활동작의 수행과 지역사회 참여, 직장으로의 복귀하는 능력을 제한한다.
보행훈련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5 뇌졸중 후 보행장애는 독립적 보행을 어렵게 하고 일상생활동작의 수행과 지역사회 참여, 직장으로의 복귀하는 능력을 제한한다.6 따라서 정상적인 보행패턴과 속도를 성취하는 것은 보행훈련의 궁극적인 목표이다.7
6-Meter Walk Test에서 훈련기간 내내 FES와 부분적인 체중지지를 결합한 지상보행군이 일반운동군보다 더 낮은 평균값과 더 빠른 평균 보행속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두 그룹 사이의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FES와 부분적 체중지지를 결합한 지상보행군의 자극부위의 수가 적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Duncan PW, Zorowitz R, Bates B et al. Management of adult stroke rehabilitation care: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Stroke. 2005;36(9):e100-43. 

  2. Duncan P, Studenski S, Richards L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herapeutic exercise in subacute stroke. Stroke. 2003;34(9):2173-80. 

  3. Mayo NE, Wood-Dauphinee S, Cote R et 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6 months post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8):1035-42. 

  4. Teasell R, Bayona NA, Bitensky J. Plasticity and reorganization of the brain post stroke. Top Stroke Rehabil. 2005;12(3):11?26. 

  5. O'Sullivan SB, Schmitz TJ.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4th ed. Philadelphia, FA Davis, 2001:529-64. 

  6. Higginson JS, Zajac FE, Neptune RR et al. Muscle contributions to support during gait in an individual with post-stroke hemiparesis. J Biomech. 2006;39(10):1769-77. 

  7. Lin PY, Yang YR, Cheng SJ et al. The relation between ankle impairments and gait velocity and symmetry in people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4):562-8. 

  8. Thaut MH, McIntosh GC, Rice RR. Rhythmic facilitation of gait training in hemiparetic stroke rehabilitation. J Neurol Sci. 1997;151(2):207-12. 

  9. Kim CM, Eng JJ. Symmetry in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is accompanied by symmetry in temporal but not distance variables of gait in persons with stroke. Gait Posture. 2003;18(1):23-8. 

  10. Baer HR, Wolf SL. Modified emory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an outcome measure for the rehabilitation of poststroke gait dysfunction. Stroke. 2001;32(4):973-9. 

  11. Dodd KJ, Morris ME. Lateral pelvic displacement during gait: abnormalities after stroke and changes during the first month of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3;84(8):1200-5. 

  12. Husemann B, Muller F, Krewer C et al. Effects of locomotion training with assistance of a robot-driven gait orthosis in hemiparetic patient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Stroke. 2007;38(2):349-54. 

  13. MacKinnon CD, Winter DA. Control of whole body balance in the frontal plane during human walking. J Biomech. 1993;26(6):633-44. 

  14. Pollock AS, Durward BR, Rowe PJ et al. What is balance? Clin Rehabil. 2000;14(4):402-6. 

  15. Cheng PT, Liaw MY, Wong MK et al. The sit-to-stand movement in stroke patients and its correlation with falling. Arch Phys Med Rehabil. 1998;79(9):1043-6. 

  16. Tyson SF, Hanley M, Chillala J et al.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 Ther. 2006;86(1):30-8. 

  17. Yang YR, Chen YC, Lee CS et al. Dual-task-related gait changes in individuals with stroke. Gait Posture. 2007;25(2):185-90. 

  18. Daly JJ, Ruff RL. Construction of efficacious gait and upper limb functional interventions based on brain plasticity evidence and model-based measures for stroke patients. Scientific World Journal. 2007;7:2031- 45. 

  19. Duncan PW, Sullivan KJ, Behrman AL et al. Protocol for the locomotor experience applied post?stroke (leaps) tri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Neurol. 2007;7:39. 

  20. Laufer Y, Dickstein R, Chefez Y et al. The effect of treadmill training on the ambulation of stroke survivors in the early stages of rehabilitation: a randomized study. J Rehabil Res Dev. 2001;38(1):69-78. 

  21. Ivey FM, Hafer?Macko CE, Macko RF. Task-oriented treadmill exercise training in chronic hemiparetic stroke. J Rehabil Res Dev. 2008;45(2):249-59. 

  22. Hesse S, Uhlenbrock D. A mechanized gait trainer for restoration of gait. J Rehabil Res Dev. 2000;37(6):701- 8. 

  23. Barbeau H, Visintin M. Optimal outcomes obtained with body-weight support combined with treadmill training in stroke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0):1458-65. 

  24. McCain KJ, Pollo FE, Baum BS et al. Locomotor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body-weight support before overground gait in adults with acute stroke: a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8;89(4):684- 91. 

  25. Lindquist AR, Prado CL, Barros RM et al. Gait training combining partial body-weight support, a treadmill,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effects on poststroke gait. Phys Ther. 2007;87(9):1144-54. 

  26. Salbach NM, Mayo NE, Wood-Dauphinee S et al. A task-orientated intervention enhances walking distance and speed in the first year post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04;18(5):509-19. 

  27. Suzuki K, Nakamura R, Yamada Y et al. Determinants of maximum walking speed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Tohoku J Exp Med. 1990;162(4):337-44. 

  28.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29. Kim CR, Chun MH, Lee GA. Assessments of balance control using tetra-ataxiametric posturograph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9;33(4):429-35 

  30. Carr JH, Shepherd RB. The changing face of neurological rehabilitation. Rev bras fisioter. 2006;10(2):147-56. 

  31. Macko RF, Ivey FM, Forrester LW et al. Treadmill exercise rehabilitation improves ambulatory function and cardiovascular fit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005;36(10):2206-11. 

  32. Sullivan KJ, Brown DA, Klassen T et al. Effects of task-specific locomotor and strength training in adults who were ambulatory after stroke: results of the steps randomized clinical trial. Phys Ther. 2007;87(12):1580-602. 

  33. Daly JJ, Marsolais EB, Mendell LM et al. Therapeutic neural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IEEE Trans Rehabil Eng. 1996;4(4):218-30. 

  34. Hesse S, Malezic M, Schaffrin A et al. Restoration of gait by combined treadmill training and multichannel electrical stimulation in non-ambulatory hemiparetic patients. Scand J Rehabil Med. 1995;27(4):199-204. 

  35. Walker C, Brouwer BJ, Culham EG.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 Ther. 2000;80(9):886-95. 

  36. Badke MB, Duncan PW. Patterns of rapid motor responses during postural adjustments when standing in healthy subjects and hemiplegic patients. Phys Ther. 1983;63(1):13-20. 

  37. Bonan IV, Yelnik AP, Colle FM et al. Reliance on visual information after stroke. Part ii: effectiveness of a balance rehabilitation program with visual cue depriva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74-8. 

  38.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1590-7. 

  39. Kim JH.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balance, gait and brain activation patterns in stroke patients.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