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구시 노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in Daegu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6 no.1, 2012년, pp.113 - 125  

이성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Daegu. Methods: Analysis of data on 360 Daegu citizens aged 65 and over, which were taken from the 2010 social surve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전국 사회조사 자료중 대구시 노인의 원자료를 이차 분석하여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태와 건강수준의 차이를 조사한 후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취약계층의 보건의료 안전망과 예방적 건강교육을 포함하는 건강관리 네트워크 강화 등 지역사회 지향적인 노인 건강증진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구시 노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태와 건강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태와 건강수준에 차이가 있는 지를 조사하는 것이며 구체적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불평등에 대한 연구의 결과 집단 간 건강수준 차이의 크기와 지속성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변수는? 국외에서는 이미 1980년대 이후 사회 환경 개선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과 건강수준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사회구성원간의 건강수준의 격차가 심해지는 사실에 근거하여 건강불평등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House, 2002). 그 결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집단 간 건강수준 차이의 크기와 지속성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변수(House, Latiz, & Herd, 2005)로 밝혀졌으며, 실제로 낮은 사회 계층 집단에서는 생활사건이나 만성적인 스트레스와 같은 위험 요인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큰 반면에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건강 손상 위험성이 더 컸다(Grzywacz, Almeida, Neupert, & Ettner, 2004). 국내에서도 ‘새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2010’을 통해 소득의 상위 20% 계층과 하위 20% 계층간의 건강격차를 25% 감소시키는 건강형평성 제고를 중요한 정책으로 제시한 바 있다(Park & Lee, 2010, 재인용).
노인 인구의 증가가 초래하는 결과는? 노인 인구의 증가는 노동력의 감소, 의료비 증가 등 많은 사회문제를 야기시킴과 동시에 노년기에 발생하는 건강문제로 노인의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 노년기에는 만성 질환에 이환될 확률이 높은데 만성질환은 장기간의 치료를 요하며 의료 이용률과 의료비용을 증가시킨다(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1).
고령화로 인한 의료비 부담이 지속되는 것은 무엇으로부터 초래되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령화로 인한 의료비 부담이 지속되는 것은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건강행태가 나빠져 계층간 건강수준의 차이로 인해 초래된 것이라고 여겨진다(Lee, 2009) 즉, 이를 물질적 조건이나 사회구조적 요인을 규정하는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라 건강 증진 혹은 건강위해 행위에 차이가 있음(House, 2002)을 제시하는 건강불평등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노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건강불평등은 개인간의 건강수준의 차이가 아니라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집단 간 건강수준의 차이를 의미한다(Asada & Hedeman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sada, Y., & Hedemann, T. (2002). A problem with the individual approach in the WHO health inequality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1, 1-5. 

  2. Cho, Y. H., & Park, Y. C. (2003). The age, lifestyle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a small cit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3(2), 141-153. 

  3. Choi, Y. (2005). Household types and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peopl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9, 123-149. 

  4. Eriksson, I. A., Unden, A. R., & Elofsson, S. (2001). Self-rated health: comparison between three different measures. Result from a populati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0(2), 326-333. 

  5. Grzywacz, J. C., Almeida, D. M., Neupert, S. D., & Ettner, S. I. (2004).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 a micro-level analysis of exposure and vulnerability to daily stressor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s, 45, 1-16 

  6. Han, G. H. (2007). Gender difference in retirement experience - a life course model.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2(3), 86-118. 

  7.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1). Statistical indicators on the medical expenses in 2010. Retrieved January 11, 2012.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5 030000&cmsurl/cms/information/05/03/03/1210385 _13609.html 

  8. Heo, J, H., & Cho, Y. T. (2008). Activity limitations and health behaviors by socioeconomic status among the elderly Seoul pop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1), 87-104. 

  9. House, J. S. (2002). Understanding social factors and inequalities in health: 20th century progress and 21st century prospec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s, 43(2), 125-142. 

  10. House, J. S., Latiz, P. M., & Herd, P. (2005).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social satisfaction of aging and health over the life course. Journal of Getontology, 60, 15-26. 

  11. Jang, I. S. (2003). A study on self-rated health of elderly women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7(2), 35-46. 

  12. Jang, I. S. (2006). The leisure type,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2), 130-140. 

  13. Jeon, G. S., & Lee, H. Y. (2009). The influence of family structure and sex on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3(2), 162-173. 

  14. Kang, H. W. & Cho, Y. T. (2007). Socioecnomic status, social integration, and health inequalties of elderly Korean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1(4), 164-201. 

  15. Khang, Y. H., & Cho, H. J. (2006). Socioeconomic inequality in cigarette smoking: Trends by gender, age, and socioeconomic position in south Korea. Preventive Medicine, 42, 415-422. 

  16. Kim, C. N. (2004). A correlation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8(2), 342-357. 

  17. Kim, H. R. (2007).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its trends in cigarette smoking in South Korea.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27(2), 25-43. 

  18. Kim, J. G. (2011). The impact of family type on health behavior of elderly peopl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1, 35-56. 

  19. Kim, N. J. (2000). Health practices of the elderly and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2), 169-182. 

  20. Kim, S. G. (2004). Socioeconomic status and chronic diseases prevalence inequalities in late life. Journal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16, 155-177. 

  21. Kim, S. G. (2005).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self-reported health on the aged.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8, 187-206. 

  22.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1). Statistics for the elderly in 2011. Retrieved January 11, 2012. http://kosis.kr/ups/ument ps_01List01.jsp?grp_no1005&pubcodeKO&typeF 

  23. Lee, J. S., & Lee, I. S. (2005). A study of impacts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status of the aged.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7, 231-253. 

  24. Lee, M. S. (2009). Structures of health inequalities of Korean elderly: analysis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Journal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25, 5-32. 

  25. O'Rand, A. (2006). Stratification and the life course: life course capital, life course risks, and social inequality. in H. Binstock & L. K. George(Eds.), Handbook of ageing and social sciences(pp. 145-162). New York: Academic Press. 

  26. Park, H, J., & Lee, J. H. (2010).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ral health consciousness and behaviors on the periodonatal-health disparities among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 27(1), 61-69. 

  27. Park, M. J., Yeo, G. H., & Park, B. H. (2010).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with low economic statu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8, 205-228. 

  28. Resnick, B. (2000). Health promotion practices of the older adult. Public Health Nursing, 17(3), 160-168. 

  29. Son, Y. J. (2004). A study of medical services usage between the retired elderly and non-retired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6, 165-190. 

  30. Statistics Korea (2007). Report on the social statistics survey in 2006. Seoul: Statistics Korea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