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아동 웰빙 지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 아동 웰빙 지표의 영역과 세부 지표를 중심으로
The Construction of the Domains and Indicators Measuring and Monitoring Children's Well-Being in Korea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3 no.1, 2012년, pp.183 - 203  

공인숙 (순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김선영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efforts to measure and monitor children's well-being have gained increasing recognition across the OECD,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the subject of indicators of children's well-being in Korea.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develop the domains and indicators which ca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지표 연구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아동지표의 개념은 다양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아동지표를 아동지표 연구의 최근 추세에 따라 아동의 웰빙 지표의 개념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즉 아동지표 연구가 과거에는 아동의 생존권 보장 차원의 지표를 중시하였다면, 이제는 그 이상의 복지(well-being)지표를 중시하는 관점으로 변화하고 있기(Rhee, 2010) 때문이다. 웰빙을 복지라는 용어로 사용할 수도있으나, 흔히 복지의 개념이 소극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아동 지표의 충분한 의미를 담기 어려워 본 연구에서는 웰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아동 지표가 필요한 이유는? 즉 아동 복지를 위한 다양한 투자의 효과성이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일관성 있는 지표에 의한 지속적인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과 같은 국제적 아동 모니터링 추세에 맞추기 위하여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아동 지표가 필요하다(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2001). 아동지표의 개념은 다양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아동지표를 아동지표 연구의 최근 추세에 따라 아동의 웰빙 지표의 개념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아동 웰빙 지표가 중요 영역을 망라하는 포괄성이 중요한 이유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한국의 아동 웰빙 지표는 한국의 아동 지표의 현황과 국제 사회에서의 아동 웰빙 지표를 분석한 것을 토대로 하고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구축되었다. 아동의 웰빙은 아동의 경제적 조건, 또래관계, 정치권, 발달의 기회 등을 포함하는 다면적이고 복잡한 특성을 보인다(Ben-Arieh & Frønes, 2007). 따라서 아동 웰빙 지표는 중요 영역을 망라하는 포괄성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현아(2006). 청소년 참여권 현황과 지표개발. 한국청소년개발원. 

  2. 이용교?천정웅?안경순(2006). 청소년 생존권 현황과 지표개발. 한국청소년개발원. 

  3. 이중섭?박해석(2006). 청소년 발달권 현황과 지표개발. 한국청소년개발원. 

  4. 임지연?김정주?김신영?김민(2009).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IV.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5. 최인재?임지연?김형주(2008). 한국 청소년 발달 지표 조사I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6. 황옥경?정준미(2006). 청소년 보호권 현황과 지표 개발. 한국청소년개발원. 

  7. Ben-Arieh, A. (2008). The child indicators movement : past, present, future. Child Indicator Research, 1, 3-16. 

  8. Ben-Arieh, A., & Frones, I. (2007). Indicators of children's well being : what should be measured and why. Social Indicator Research, 84, 249-250. 

  9. Bradshaw, J., Hoelsher, P., & Richardson, D. (2006). Comparing child well-being in OECD countries : concepts and methods, UNICEF Innocenti Research Centre. 

  10.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11). Education statistics. http : //cesi.kedi.re.kr/ 

  11. Colombo, S. A. (1986). General well-being in adolescents: its nature and measurement (Doctoral dissertation, Saint Louis University, 1984),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6, 2246B. 

  12. Hanafin, S., Books, A., Carroll, E., Fitzzerald, E., Gabhaim, S. N., & Sixsmith, J. (2007). Achieving consensus in developing a national set of child well-being indicators. Social Indicator Research, 80, 79-104. 

  13. Kim, J. Y., Han, Y. S., Bae, H. S., & Ahn, H. S. (2006). Dietary intakes and serum lipids and iron indices in obese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1(5), 575-586. 

  14.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2001). Korean Child Well-being Indicartors. Seoul : Hakjisa. 

  15. Lee, J. W., Lee, H. S., Chang, N. S., & Kim, J. M.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s and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2(4), 338-349. 

  16. Lee. J. Y (2009). Discussion on the state of Korean children, 2009 Conference materi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 the quality of Korean child, 45-47. 

  17.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SNU R&DB Foundation (2009). Korean survey for child and youth.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Research Report 11-1351000- 000228-01. 

  18. Ministry of Gender Equity and Family (2010). 2010 The youth's experience of harmful environment.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Social Welfare Research Center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2006 Korean major child indicator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search Report. 

  20. Moore, K. R., Vandivere, S., Lippman, L., McPhee & Bloch, M. (2007). An index of the condition of children : the ideal and a less-than-ideal U.S. example. Social Indicator Research, 84, 291-331. 

  21.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0). 2010 Korean youth indicators. 

  22. OECD (2009). Doing better for children. Paris : OECD. 

  23. Pollard, E. L., & Lee, P. D. (2003). Child wellbeing :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Social Indicator Research, 61, 59-78. 

  24. Rhee, O. (2010). Development of child-centered child indicator, 2010 Conference materi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 the state of Korean child by the indicator , 61-80. 

  25. Statistics Korea. Vital statistics. http://kostat.go.kr/ 

  26. Statistics Korea (2010). 2010 Youth statistics. http://kostat.go.kr/ 

  27. The Annie E. Casey Foundation (2009). Indicator briefs. http://datacenter.kidscount.org/DataBook/ 2009/IndicatorBriefs.aspx. 

  28. The Foundation for Child Development (2010). 2010 Child and youth well-being index (CWI). 

  29.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2008). The 3rd and 4th national report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30. Yoon, C. K. (2010). Discussion on the construction of well-being indicators for Korean Child, 2010 Conference materi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 the state of Korean child by the indicator , 109-114. 

  31. Weisner, T. S. (1988). Human development, child wellbeing, and the cultural project of development,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81, 69- 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