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정서행동발달검사 표준화 연구 자료를 활용한 교사의 학교폭력 피해자 인지도
Teachers' Recognition of Victims of School Bullying Using Data from the Adolescents'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II Standardization Study in Korea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3 no.2, 2012년, pp.69 - 75  

황준원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방수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유한익 (서울뇌과학연구소) ,  김지훈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봉석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안동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서동수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조수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반건호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영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eachers' recognition of school bullying using a nationwide database of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in Korea. Methods : Students in the 7th to 12th grades at 23 second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duri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국 대부분의 학교에서 학생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설문으로 시행하는 AMPQ-II를 통해 학생과 교사 간의 학교폭력 피해 인지도의 차이를 조사하고, 교사가 인지한 학교폭력 피해자와 인지하지 못한 학교폭력 피해자가 정신건강 상 각각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는지 파악하여 학교폭력 피해자를 효과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학생과 교사가 각각 인지한 학교폭력 피해 유병률 차이 및 교사의 인지도 관련 요인을 최초로 보고한 것이다. 선행 연구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학교폭력 인지도 및 학교폭력에 대한 정의에 차이가 있음이 시사된 바 있지만,19,20) 적어도 본 연구진이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본 연구처럼 해당학생의 학교폭력 피해에 대해 본인과 교사가 동시에 보고한 연구를 찾을 수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폭력은 크게 어떤 범주로 구분되는가? 한국 소아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곤란을 초래하는 것 중 최근 날로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는 것으로 학교폭력 문제를 들 수 있다.1) 학교폭력은 타인에게 해를 입히거나 뭔가를 방해할 목적이 있는 일련의 공격적인 행위로 반복성과 힘의 불균형을 주요 특징으로 하며,2) 직접적 신체적 폭력, 직접적 언어적 폭력, 간접적인 배제 혹은 뒷담화, 사이버상에서의 폭력 등 크게 네 가지 범주로 구분된다.3) 현행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서는 학교폭력을 학교 내외에서 학생 간에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유인, 명예훼손·모욕, 공갈, 강요 및 성폭력,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로 정의한다.
학교폭력으로 인한 피해의 유병률은 어느 정도로 나타나는가? 과거 연구에서 한국 소아청소년 중 학교폭력으로 인한 피해의 유병률은 조사지역, 연령대, 조사시기 및 피해기간에 따라 편차가 있지만 약 5-48%로 조사되었으며,5-7) 본 연구진은 최근 2010년에 시행한 청소년 정서행동발달검사 표준화 연구의 전국 자료를 재분석하여 중고등학생의 학교폭력 피해자의 유병률을 28.9%로 보고한 바 있다.8) 학교폭력의 피해자에게는 피해를 입기 전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문제가 선행하는 경우가 많으며,9) 피해자는 학교폭력에 노출된 후 우울, 불안, 자존감 저하, 자살 등 제반 정신건강문제의 악화 및 다수의 심리사회적 적응 곤란을 경험한다.
2011년 12월 대구의 중학생의 학교폭력 사례로 어떤 대책이 마련되었는가? 2011년 12월 대구의 중학생이 학교폭력에 의한 자살한 사건 이후 여론이 극적으로 환기되고 그 간의 정부당국의 대책에 대해 사회 전반에서 문제를 제기하면서 2012년 2월에는 국무총리주재 학교폭력관련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15) 이 종합대책에서는 학교장과 교사의 역할 및 책임성을 강조하여 일대일 면담 및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를 통해 학내 폭력 실태를 의무적으로 조사, 보고하도록 하였고, 미흡할 경우 형사처벌 및 중대 비위 수준의 처벌 조치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 대책은 구체적 절차, 지침 또는 추진계획 없이 일선 교원의 책임성과 의무만 강조하는 것으로 현장의 일선 교사들의 혼란을 가중시킬 위험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ong M. Korean Textbook of Child Psychiatry. Seoul: Jungang Munhwasa;2005. 

  2. Nansel TR, Overpeck M, Pilla RS, Ruan WJ, Simons-Morton B, Scheidt P. Bullying behaviors among US youth: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psychosocial adjustment. JAMA 2001;285:2094-2100. 

  3. Brunstein Klomek A, Sourander A, Gould M. The association of suicide and bullying in childhood to young adulthood: a review of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search findings. Can J Psychiatry 2010;55:282-288. 

  4.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Law of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against school bullying. Seoul: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2012. 

  5. Yang SJ, Kim JM, Kim SW, Shin IS, Yoon JS. Bullying and victimization behaviors in boys and girls at South Korean primary school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6;45:69-77. 

  6. Foundation for Preventing Youth Violence. 2011 National Survey Report on School Violence in Korea. Seoul: Foundation for Preventiong Youth Violence;2011. 

  7. Kim YS, Koh YJ, Noh JS, Park MS, Sohn SH, Suh DH, et al. School bullying and related psychopatholog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1;40:876-884. 

  8. Bhang SY, Yoo HI, Kim JH, Kim BS, Lee YS, Ahn DH, et al. Victims of bullying among Korean adolescents: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evaluated using the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II standardization study data.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2; 23:23-30. 

  9. Fekkes M, Pijpers FI, Fredriks AM, Vogels T, Verloove-Vanhorick SP. Do bullied children get ill, or do ill children get bullied? A prospective cohort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and health- related symptoms. Pediatrics 2006;117:1568-1574. 

  10. Brunstein Klomek A, Marrocco F, Kleinman M, Schonfeld IS, Gould MS. Bullying, depression, and suicidality in adolescent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7;46:40-49. 

  11. Kim YS, Koh YJ, Leventhal B. School bullying and suicidal risk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diatrics 2005;115:357-363. 

  12. Kim YS, Leventhal BL, Koh YJ, Boyce WT. Bullying increased suicide risk: prospective study of Korean adolescents. Arch Suicide Res 2009;13:15-30. 

  13. Meltzer H, Vostanis P, Ford T, Bebbington P, Dennis MS. Victims of bullying in childhood and suicide attempts in adulthood. Eur Psychiatry 2011;26:498-503. 

  14. Klomek AB, Sourander A, Niemela S, Kumpulainen K, Piha J, Tamminen T, et al. Childhood bullying behaviors as a risk for suicide attempts and completed suicides: a population-based birth cohort stud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9;48:254-261. 

  15. Prime Minister's Offic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 against school violence: we will make happy school without school violence via the seven policies in action. Seoul: Prime Minister's Office of the Republic of Korea;2012. 

  16. Jung SA, Ahn DH, Chung SY, Jeong YG, Kim YY. Development of screening test for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8;47:168-176. 

  17. Bhang SY, Yoo HK, Kim JH, Kim B, Bahn GH, Ahn DH, et al. Revision of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 development of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estionnaire-II.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1;22:271-286. 

  18. Kim GI, Kim JH, Won HT. Symptom Checklist-90-Revised. Seoul: Jungangjeokseung Press;1984. 

  19. Fekkes M, Pijpers FI, Verloove-Vanhorick SP. Bullying: who does what, when and where? Involvement of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in bullying behavior. Health Educ Res 2005;20:81-91. 

  20. Hazler RJ, Miller DL, Carney JV, Green S. Adult Recognition of School. Bullying Situations. Educational Research 2001;43:133-146. 

  21. Berkowitz R, Benbenishty R. Perceptions of teachers' support, safety, and absence from school because of fear among victims, bullies, and bully-victims. Am J Orthopsychiatry 2012;82:67-74. 

  22. Henry D, Guerra N, Huesmann R, Tolan P, VanAcker R, Eron L. Normative influences on aggression in urb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m J Community Psychol 2000;28:59-81. 

  23. Doll B, Song S, Siemers E. Classroom ecologies that support or discourage bullying and intervention. In: Espelage DL, Swearer SM, editors. Bullying in American schools: A socialecological perspective on prevention. Mahwah: Erlbaum;2004. p.161-183. 

  24. Olweus, D, Limber S. Blueprints for violence prevention: Bullying Prevention Program. Boulder: Institute for Behavioral Science, University of Colorado;1999. 

  25. Dake JA, Price JH, Telljohann SK, Funk JB. Teacher perceptions and practices regarding school bullying prevention. J Sch Health 2003;73:347-355. 

  26. Tavakol M, Dennick R. Making sense of Cronbach's alpha. Int J Med Educ 2011;2:53-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