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영남지방 별당과 정자건축의 '창얼굴' 형식 및 변천에 관한 연구 -온돌방과 대청 주위 쌍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s and Modifications of 'Chang-aelgool'(窓乻骨) in Annex and Pavillion Buildings in Yeong-nam Region during the Chosun Dynasty - Focused on 'Ondol' Rooms and 'Ssang-chang' around the Main Floored Room -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1 no.3, 2012년, pp.73 - 92  

박일찬 (부산대학교 대학원) ,  이호열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mainly inquired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Chang-aelgool' through 38 cases(with 161 Ssang-chang) of annex and pavillion buildings in Yeong-nam region which are built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method of inquiry included actual survey of windows along with bibliographical researc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호의 구성요소는? 창호는 창, 문의 틀과 머름21), 문짝으로 구성되며, 특히 창의 외곽 틀을 창얼굴(窓乻骨) 이라 한다. 창얼굴은 인방재인 위틀(上框)과 밑틀(下框), 수직재인 좌측설주(左側楔柱), 우측 설주(右側楔柱) 및 가운데설주로 구성된다.
창의 외곽 틀인 창 얼굴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창호는 창, 문의 틀과 머름21), 문짝으로 구성되며, 특히 창의 외곽 틀을 창얼굴(窓乻骨) 이라 한다. 창얼굴은 인방재인 위틀(上框)과 밑틀(下框), 수직재인 좌측설주(左側楔柱), 우측 설주(右側楔柱) 및 가운데설주로 구성된다.22)
창얼굴의 어원은? 창얼굴은 창호를 형성하는 틀로 얼굴(乻骨) 이라 표기해 왔는데 “乻”은 우리말의 ‘늘’, ‘얼’의 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於’와 ‘乙’을 결합하여 만든 글자로 음은 ‘늘’, ‘얼’이며 영건의궤에서는 [얼]음 표기에 일관되게 쓰였다. “骨”은음차로 이용되어 [굴]음을 나타낸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재원, 미술.고고학용어집 -건축편, 을유문화사, 1965 

  2. 장기인, 건축 용어집, 英崙社, 1958 

  3. 장기인, 목조, 보성각, 2004 

  4.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보성각, 2005 

  5.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6.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동녘, 2010 

  7. 신영훈, 한국의 살림집 上, 열화당, 1986 

  8. 주남철, 한국의 문과 창호대원사, 2001 

  9. 주남철, 한국 창호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원, 1972 

  10. 문화재청, 실측조사보고서, 2001-2004 

  11. 경상북도, 경상북도 문화재위원회 회의록 1981-1984, 2004 

  12. 경상북도, 경상북도 문화재위원회 회의록 1988-1991, 2006 

  13. 김일진, 한국건축의 영쌍창에 관한 연구, 동국대 박론, 1989 

  14. 김일진, 조선시대 15세기 주택의 영쌍창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93.9 

  15. 정명섭, 조선시대 향교 및 서원건축의 청방간 개구부형식 변천에 관한 연구, 영남대 박론, 1992 

  16. 김선직, 한국 전통창호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명지대 석론, 1988 

  17. 황선영, 한.중.일 창호 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궁궐 창호의 형태, 명지대 석론, 2003 

  18. 홍석주, 조선조 영건의궤를 통한 수장재 용어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05 

  19. 곽동엽, 한국사찰 불전의 창호 형식 변천에 관한 연구, 영남대 박론, 1998 

  20. 김연주, 영건의궤류의 차자 표기 어휘연구, 대구가톨릭대 박론, 2003 

  21. 김재웅, 조선시대 영건의궤의 목조건축 용어에 관한 연구, 조선대 박론, 2008 

  22. 김미현, 조선후기주택 창호에 관한 연구, 경기대 석론, 1998 

  23. 박일찬.이호열, 머름의 특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20권 2호 통권75호, 2011. 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