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퇴적암 내의 지질구조가 비탈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대구 북서부 지역의 예
Effects of Geological Structures on Slope Stability : An Example from the Northwestern Part of Daegu, Korea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2 no.1, 2012년, pp.1 - 13  

고경태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지질구조재해연구실) ,  최진혁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지질구조재해연구실) ,  김영석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지질구조재해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퇴적암지역에서 발달하는 지질구조들이 비탈면의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과 같이 퇴적암지역 비탈면의 경우, 도로 양쪽의 비탈면이 층리의 경사방향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인다. 또한 단층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보강공사가 완료된 후에도 지속적인 파괴가 관찰되고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규모 단층에서 비탈면 안정성 조사 시 단층대를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워 새로운 누적절리밀도를 통한 단층대 인지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최근 대규모 공사로 인하여 많은 비탈면들이 다면비탈면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일정한 주향을 가진 대표비탈면들의 방향에 따라 구간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탈면 안정성 분석을 실시하여, 각 구간에 따라 다른 비탈면 안정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 예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퇴적암지역에서의 비탈면설계 시 층리와 불연속면의 방향 그리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 등 지질구조들의 발달특성을 잘 고려한다면 공사단계에서도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공사 후에도 비탈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geological structures and slope failure in sedimentary rocks. In the studied slopes, construction-related slope failure could only be observed on the south-dipping slopes. This indicates that slope stabil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단층손상대는 대부분 연약한 파쇄대로 구성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많은 대규모 단층들에서 이를 인지하는 것은 지질공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 지역에 잘 발달하는 한 단층대를 대상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구간별 단열밀도가 아닌 누적단열밀도를 이용하여 단층손상대를 상대적으로 쉽게 구분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Fig. 11). 우선 누적단열밀도를 이용한 단층손상대 조사법에 대한 간단한 개념을 설명한 후, 이를 앞서 언급한 단층대가 발달하는 비탈면을 대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 특히 사암과 셰일이 교호하는 지역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비탈면파괴 발생률이 다른 지역보다 현저하게 높게 보고되고 있으므로 정밀한 파괴원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조용찬 외, 2008).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들 비탈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인자인 층리의 영향, 다면비탈면의 효과 그리고 단층대의 영향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 다시 말해서 다양한 지질구조에 대한 명확한 해석을 통하여 보다 실질적이고 세분화된 안정성 평가가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각각의 지질구조에 대한 정밀한 발달특성 조사를 바탕으로 이들이 비탈면 파괴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이에 대한 적절한 분석 및 평가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많은 깎기비탈면이 노출된 대구 북구 사수동 일대의 지천-매천간 국도 4차선 확장공사구간을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Fig.
  • 다면비탈면의 경우, 비탈면의 기하학적 특성을 고려한 보다 세부적인 비탈면 안정성 평가가 요구된다 (윤운상 외, 2001). 따라서 이번 연구지역에서 발견되는 다면비탈면 중 지질구조의 영향으로 인하여 차별적인 파괴양상이 관찰되는 지점을 선정하여 이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도로는 북쪽과 동쪽 방향으로 대략 90º의 각도를 보이며 서서히 휘어지고, 북동쪽에는 이 도로를 따라 다면비탈면이 존재한다(Fig.
  • 11). 우선 누적단열밀도를 이용한 단층손상대 조사법에 대한 간단한 개념을 설명한 후, 이를 앞서 언급한 단층대가 발달하는 비탈면을 대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 이번 연구에서는 퇴적암 지역에서의 지질구조가 비탈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다 세부적으로 접근하였다. 특히, 단층 및 단열, 암맥과 같은 지질구조를 단순히 불연속면으로 취급하지 않고, 이들을 따른 운동 및 단층손상대 발달 등과 같은 구조지질학적 접근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대규모 단층 및 단층손상대의 특성을 밝히고 이들이 안정성 평가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정밀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현장조사 단계에서 불연속면들의 방향 및 밀도와 비탈면의 경사방향을 분석하는 방법 등을 바탕으로 단층손상대의 범위를 명확히 인지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실제 단층손상대에 대한 개념적 연구는 많이 진행된 바 있으나, 이들에 대한 명확한 범위를 인지하는 구분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조사자마다의 객관적인 해석으로 인하여 공통된 조사법이 없는 실정이다.

가설 설정

  • Slope failure was caused mainly by discontinuities such as faults, joints, dykes and/or bedding. (b) Anchor and lattice block countermeasures put in place to prevent slope failure. (c) Stepped retaining wall as a countermeasure against failure.
  • (a) Large fault zone revealed during construction. (b) Sub-parallel vertical fractures are well developed around the fault zone. (c) Slope failure: continuous rockfall along the fault zone after completion of the road cutting.
  • (b) Anchor and lattice block countermeasures put in place to prevent slope failure. (c) Stepped retaining wall as a countermeasure against failur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어떤 특성으로 인해, 산사태 원인규명 및 방재시스템 구축이 매우 중요한 분야가 되었는가? , 2011).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의 70%가 산지로 되어 있는 지형적 특성과 여름철 집중호우로 대표되는 기후적 특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산사태 원인규명 및 방재시스템 구축이 매우 중요한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1990년도 이후 급격한 사회경제 발전과 교통의 확충 필요성에 의해 많은 도로와 철도가 건설되면서 불가피하게 발생한 깎기비탈면을 대상으로 한 안정성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송영석과 홍원표, 2007).
산사태의 특징은 무엇인가? 산사태는 우리 주변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지속적으로 인명 및 구조물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히는 대표적인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가장 최근의 대표적인 국내 사례는 지난 2011년 여름철 폭우와 관련된 서울 우면산과 춘천펜션 산사태를 들 수 있으며, 사망과 실종을 비롯한 인명피해뿐만 아니라 이재민 발생, 도로 및 건물들의 파손 등 막대한 피해를 가져왔다.
다양한 규모 및 형태의 비탈면 파괴 사례를 중심으로 파괴를 일으키는 주요 인자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된 배경은 무엇인가? 인공적으로 절개된 비탈면의 경우에는 자연비탈면보다 훨씬 다양한 내 ·외적 요인들에 의한 새로운 형태의 파괴가 발생할 수 있어, 이들의 파괴 원인에 대한 명확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적절한 대비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규모 및 형태의 비탈면 파괴 사례를 중심으로 파괴를 일으키는 주요 인자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송영석과 홍원표, 2007, 김승현 외,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권오일, 1999, 달성군 다사읍 지역의 자연사면 안정성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4. 

  2. 권오일, 김교원, 구호본, 백용, 김승현, 2003, 국내 절토사면의 구성암종에 따른 붕괴유형 분석, 2003년도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146p. 

  3. 권오일, 백용, 박철희, 2010, 사면 안정성 평가를 위한 단층파쇄대 발달 지반의 현장조사 사례 연구,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년 춘계기술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99p. 

  4. 김교원, 정영국, 2000, 터널입구의 사면안정성 검토 및 보강대책, 대한지질공학회 창립10주년 기념 학술발표회 논문집, 147-154. 

  5. 김상규, 김영묵, 1991, 강우로 인한 사면 불안정, 대한토질공학회지, 7, 53-64. 

  6. 김승현, 구호본, 황진연, 손문, 2011, 전라남도 ${\bigcirc}{\bigcirc}$ 우회도로 비탈면 붕괴발생원인 및 토사지반특성 사례 연구, 지질공학, 21(4), 313-322. 

  7. 김영기, 1987, 하부 경상층군에 발달하는 분리면 특성연구, 지질학회지, 23, 120-135. 

  8. 김윤종, 김원영, 유일현, 1992, 광역 지질재해분석(산사태)을 위한 GIS 활용, 지질공학, 2(2):131-140. 

  9. 김윤종, 김원영, 유일현, 1993, 지질재해 분석을 위한 GIS 응용 연구, 한국GIS학회, 1, 89-94. 

  10. 박성욱, 박혁진, 2011,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암반사면 불연속면거칠기에 대한 확률특성 분석, 지질공학, 21(1), 1-13. 

  11. 백용, 김교원, 구호본, 2000, 건설공사와 사면안정성, 2000년도 지질재해관측 및 방지기술 심포지움 논문집, 1-17. 

  12. 백인성, 김정률, 1995, 경남 진주시 부근의 백악기 하산동층 상부에 발달된 석회질고토양: 범람원퇴적작용 및 고기후적 의미, 지질학회지, 31, 482-498. 

  13. 손영관, 손문, 황인걸, 2011, 육성 배호분지(경상분지)의 층서발달, 화산활동, 그리고 구조진화, 2011년도 대한지질학회 춘계학술답사, 74-78. 

  14. 송영석, 홍원표, 2007, 퇴적암지역에서의 산사태 원인 및 특성분석에 대한 사례연구, 지질공학, 17(1), 101-113. 

  15. 송영석, 홍원표, 2011, 강우시 습윤전선 및 지하수위를 고려한 사면의 안정성 해석, 지질공학, 21(1), 25-34. 

  16. 신현준, 1995,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충주지역의 사면 안정 평가,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11. 

  17. 양석준, 진광민, 김영석, 2008, 거제도 지역 암맥의 관입형태와 변형사로부터 도출된 고응력장의 변화, 지질학회지, 44(6), 747-764. 

  18. 엄상호, 최현일, 손진담, 오재호, 곽영훈, 신성천, 윤현수, 1983, 경상분지에서의 경상층군의 지질학적 및 지화학적 연구, KIER Bull., 36, 124p. 

  19. 유창호, 최윤수, 김재명, 2008,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사면파괴 거동분석, 한국GIS학회지, 16(3), 279-290. 

  20. 윤운상, 정의진, 김정환, 김원형, 2001, 다면 사면의 활동 파괴를 위한 운동학적 해석, 대한지질학회, 제56차 추계공동학술발표회 초록집, 67p. 

  21. 이동하, 김영섭, 서용철, 2009, 고해상도 항공라이다 DEM 해석을 통한 강원도 일원의 산사태 예측 가능성 분석, 한국GIS학회, 17(3), 381-387. 

  22. 이사로, 김윤종, 민경덕, 2000, 산사태 공간 정보시스템 개발 및 산사태 공간 정보의 활용, 한국GIS학회지, 8(1), 141-153. 

  23. 이사로, 최위찬, 장범수, 2002, 지질구조자료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기법 개발 및 적용 연구, 한국GIS학회지, 10(2), 247-261. 

  24. 이영휘, 1996, 포항 이암층의 Slaking, 팽창 및 전단강도 특성, 한국지반공학회지, 12(2), 33-42. 

  25. 이정엽, 김승현, 최지용, 구호본, 2010, 반복강우에 의한 풍화토층 절토사면 침투특성에 관한 연구, 지질공학, 20(4), 409-414. 

  26. 장기홍, 1977, 경상분지 상부중생계의 층서퇴적 및 지구조, 지질학회지, 13(2), 76-90. 

  27. 장현식, 장보안, 2000, 999번 지방도로 경상북도 안동시 위리 지역의 사면 변형 및 안정성 분석, 지질공학, 10(1), pp1-12. 

  28. 장훈, 윤완석, 신동준, 2004,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사면붕괴지역 예측방법 연구 및 비교, 한국GIS학회04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99-105. 

  29. 조용찬, 채병곤, 김경수, 2008, 퇴적암지역 절취사면의 안정성 검토, 대한자원환경학회 2008년 추계공동학술발표회 초록집, 164p. 

  30. 최진혁, 김현태, 오재용, 김영석, 2011, 부산 황령산에서의 수목 성장 및 지형 특성을 이용한 도시 산사태의 발생원인 분석, 지질공학, 21(4), 281-293. 

  31. 최진혁, 양석준, 김영석, 2009, 울산시 상천리 일대에 발달하는 남부 양산단층의 단층대 분류와 지질구조적 특성, 지질학회지, 45, 9-28. 

  32. 채병곤, 김원영, 이춘오, 김경수, 조용찬, 송영석, 2005, 지질조건에 따른 사태물질 이동특성 고찰, 지질공학, 15(2), 185-199. 

  33. 홍원표, 1996, 강우시 사면안정해석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195-198. 

  34. Berg, S.S. and Skar, T., 2005, Controls on damage zone asymmetry of a normal fault zone: outcrop analyses of a segment of the Moab fault, SE Utah,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27, 1803-1822. 

  35. Caine, J.S., Evans, J.P., and Foster, C.B., 1996, Fault zone architecture and permeability structure. Geology, 24, 1125-1128. 

  36. Chen, R.-H., Kuo, K. J., Chen, Y. N., and Ku, C.-W., 2011, Model tests for studying the failure mechanism of dry granular soil slopes, Engineering Geology, 119, 51-63. 

  37. Cowie, P.A. and Shipton, Z.K., 1998, Fault tip displacement gradients and process zone dimension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20, 983-997. 

  38. Micarelli, L., Daniel, J.M., and Moretti, I., 2002, Structural characterisation of Quaternary fault zones in the Aigion area (Greece), In: EGS XXVII General Assembly, Geophysical Research Abstracts, 4p. 

  39. Micarelli, L., Moretti, I., and Daniel, J.M., 2003, Structural properties of rift-related normal faults: the case study of the Gulf of Corinth. Greece, Journal of Geodynamics 36, 275-303. 

  40. Mitchell, T.M. and Faulkner, D.R., 2009, The nature and origin of off-fault damage surrounding strike-slip fault zones with a wide range of displacements: a field study from the Atacama fault system, northern Chile,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31, 802-816. 

  41. O'Leary, D.W., Friedman, J.D., and Pohn, H.A., 1976, Lineament, linear, lineation; some proposed new standards for old term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87, 1463-1469. 

  42. Richard, H. and Groshong, Jr., 1999, 3-D Structural Geology: a practical guide to surface and subsurface map interpretation, Springer, New York, 25p. 

  43. Riley, P.R., Goodwin, L.B., and Lewis, C.J., 2010, Controls on fault damage zone width, structure, and symmetry in the Bandelier Tuff, New Mexico,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32, 766-780. 

  44. Tateiwa, I., 1929, Geologic Atlas of Korea, No. 10, Gyeongju, Yeongchon, Deagu and Waegwan Sheet, Geological Survey of Chosen, 1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