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교 전파에 따른 복식 변용에 대한 연구 - 인도, 인도네시아 복식에 반영된 이슬람 복식의 영향을 중심으로 -
The Application and Modification of Costumes Influenced by the Spread of Religion - Focused on the Costumes of India and Indonesia by the Influence of Islamic Costumes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0 no.3, 2012년, pp.392 - 402  

신혜성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orm for everyday costume in India and Indonesia had consisted of either draped garments or loincloths. However, as the Islamic values spread in these countries various tailored clothes began to be worn. In order to study this spread of tailored clothes, the researcher first looked at the histo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슬람 탄생 이전의 서아시아의 복식은 어떠했는가? 이슬람 탄생 이전의 서아시아의 복식은 하의로는 로인클로스(loincloth)나 간단한 사롱을 입고, 그 위에 튜닉이나 긴 드레스를 걸친 후에 사각형의 망토형 외투나 숄을 걸치는 비교적 간단한 형태였다. 이러한 아랍적인 서아시아의 복식에 페르시아 문화를 수용한 튀르크계 유목 민족의 복식이 유입되면서, 튜닉을 기본으로 한 기존 복식과 함께 바지와 카프탄이 결합하고, 머리에는 베일이나 터번을 조합한 양식이 이슬람 세계의 보편적 복식이 되었다.
아시아의 전통복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다른 문화와의 교류를 고려하는 태도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아시아의 전통복식을 심층 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리․자연적 기준에 외에도 장시간에 걸쳐 전수된 고유한 문화와 다른 문화와의 교류의 역사를 고려하는 태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새로운 문명의 유입이나 종교의 전래, 민족의 이동과 세력 확장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문화적 충격은 삶의 형태나 가치관과 같은 사회․ 문화․정치 전체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으며, 더 나아가 고유복식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복식 탄생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종교의 전파와 함께 그 영역을 확장해온 이슬람 세계의 복식은 문화교류의 과정에서 비롯된 개별 민족의 전통복식의 변화 양상을 고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예라고 본다.
인도 힌두교도에게 이슬람 복식이 전파되기 시작한 것은 언제인가? 인도의 경우, 초기에는 침략자였던 이슬람 세력에 적대적이었던 인도 힌두교도에게 이슬람 복식의 영향력은 미미할 수밖에 없었다. 바지와 코트, 터번과 같은 이슬람적인 복식이 인도에 전파되기 시작한 것은 무슬림과 힌두교의 융합을 꾀하였던 무굴 제국 성립 이후였다. 중앙아시아적인 무굴 제국의 복식은 인도 서북부와 북부를 중심으로 유행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라자스탄과 구자라트의 상류사회에서는 종교와는 상관없는 귀족 남성의 일반적인 옷차림으로도 사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chjadi, J.(1981). Indonesian women's costumes. Jakarta: Djambatan. 

  2. Berinstain, V.(1998). 무굴 제국: 인도 이슬람 왕조 [L'Inde imperiale des Grands Moghols] (J. H. Byun, Trans). Seoul: Sigong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7). 

  3. Biswas, A.(1985). Indian costume. New Delhi: Publications divisio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Govt. of India. 

  4. Dar, S. N.(1982). Costumes of India and Pakistan: A historical and cultural study. Bombay: D.B. Taraporevala Sons & Co. Private Ltd. 

  5.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December 12, 2011, from 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396125/Mughal-dynasty. 

  6. Ghurye, G. S.(1967). Indian costume. London: Luzac Publishing Ltd. 

  7. Guy, J.(1998). Woven cargoes: Indian textiles in the east. New York: Thames & Hudson. 

  8. Hanguksajeonyeongusa.(1998). 종교학사전 [Great encyclopedia of religious science]. Seoul: Hanguk sajeonyeongusa. Retrieved December 15, 2011,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30710 

  9. Harvey, J.(1997). Traditional textiles of central Asia. New York: Thames & Hudson. 

  10. Hitchcock, M.(1991). Indonesian textiles. London: British Museum Press 

  11. Hong, N. Y.(1995). 女性쓰개의 歷史[The history of veil]. Seoul: Hakyeonmunhwasa 

  12. Hong, N. Y., Shin, H. S., & Choi, J. H.(2004). 아시아 전통복식 [Traditional costumes of Asia]. Seoul: Kyomunsa. 

  13. Hwang, C. S.(2000). 世界傳統服飾[National costume of the world]. Seoul: Suhaksa. 

  14. Kahlenberg, M. H., Berinstain, V., & Magliani, M. (2001). Asian costumes and textiles: From the Bosphorus to Fujiyama. Milan: Skira Editore. 

  15. Kumar, R.(1999). Costumes and textiles of royal India. Woodbridge: Antique Collectors' Club. 

  16. Maxwell, R., & Gittinger, M.(2003). Textiles of southeast Asia: Tradition, trade and transformation. Melbourne: Australian National Gallery. 

  17. Medzhitova, E.(1990). Turkmen folk art: Turkmenskoye Narodnoye Iskusstvo. Turkmenistan. 

  18. Nagasawa, K.(1994).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History and culture of the silk road] (Lee, J. S. Trans). Seoul: Minjok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3). 

  19. National Palace Museum.(1973). 宮中人物畵選萃 [Masterpieces of Chinese Figure Painting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Taipai: National Palace Museum. 

  20. Rogers, J. M.(1986). The Topkapi Saray museum: costumes, embroideries and other textiles. Boston: Little Brown. 

  21. Ross, H. C.(1981). The art of Arabian costume: A Saudi Arabian profile. Fribourg: Arabesque Commercial SA. 

  22. Shin, Y. S.(1996). Persian literature and its Tukic influence. The Korean Association of the Islamic Studies, 6(1), 207-223. 

  23. Stillman, Y. K.(2000). Arab dress from the dawn of Islam to modern times (Themes in Islamic studies). Leiden: Brill Academic Pub. 

  24. Topham, J.(1982). Traditional crafts of Saudi Arabia. London: Stacey International. 

  25. Yoo, S. K.(2003). A study of costumes of India.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1(6), 941-955. 

  26. Zebrowski, M.(1983). Decanni painting. England: Sotheby. 

  27. 周書 [The Zhoushu: Book of the Zhou dynasty, Tang perio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