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소셜미디어가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Media on Country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Focused on Chinese Consumers원문보기
스마트폰의 등장과 소셜미디어의 급속한 확산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많은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셜미디어는 적은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새로운 소통의 도구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이 가속화되면서 국가이미지가 국가경쟁력의 핵심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다.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요인들을 살펴보고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는 소셜미디어가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하에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변수로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셜미디어가 국가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의 등장과 소셜미디어의 급속한 확산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많은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셜미디어는 적은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새로운 소통의 도구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이 가속화되면서 국가이미지가 국가경쟁력의 핵심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다.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요인들을 살펴보고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는 소셜미디어가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하에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변수로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셜미디어가 국가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hanging paradigm due to the emergence of smart phone and the rapid spread of internet-based social media usage is considerably impacting the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many other fields. As the new communication tools, social media is receiving spotlight for its advantage of low co...
The changing paradigm due to the emergence of smart phone and the rapid spread of internet-based social media usage is considerably impacting the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many other fields. As the new communication tools, social media is receiving spotlight for its advantage of low cost but high efficiency. With the accelerating of the fulfillment of knowledge-based economy, country image is more and more recognized as the core competitiveness of a countr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grasp the factors that affect country image. In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on the factors provided was conducted and affecting factors on country image were analyzed. In addition, on the assumption that social media, which are widely used on current days, have meaningful effects on country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features of social media are added as variable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social media has meaningful effects on the country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The changing paradigm due to the emergence of smart phone and the rapid spread of internet-based social media usage is considerably impacting the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many other fields. As the new communication tools, social media is receiving spotlight for its advantage of low cost but high efficiency. With the accelerating of the fulfillment of knowledge-based economy, country image is more and more recognized as the core competitiveness of a countr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grasp the factors that affect country image. In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on the factors provided was conducted and affecting factors on country image were analyzed. In addition, on the assumption that social media, which are widely used on current days, have meaningful effects on country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features of social media are added as variable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social media has meaningful effects on the country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요인들 외에도 소셜 미디어를 추가적인 변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요인을 파악하고 조사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에 있는 20대를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의 특성이 국가이지미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고자한다. 소셜미디어가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후광효과가 크게 작용을 한다.
또한 선진국들도 자국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으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인지도를 높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특히 기존연구와는 다르게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변수로 추가하여 분석을 하였다.
가설 설정
가설2-1: 국민의 이미지는 해당 국가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1: 국가이미지는 해당 국가 제품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1: 국가의 문화이미지는 해당 국가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2: 국가의 문화이미지는 해당 국가 제품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1: 소셜미디어 특성은 해당 국가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2: 소셜미디어 특성은 해당 국가 제품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5-1: 국가의 정치이미지는 해당 국가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5-2: 국가의 정치이미지는 해당 국가 제품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6-1: 국가의 제품이미지는 해당 국가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6-2: 국가의 제품이미지는 해당 국가 제품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보다 나은 일반화된 결론의 도출을 위해서는 중국의 여러 지역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변수들 이외에도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수들의 도출과 검증이 요구된다.
제안 방법
또한 소셜미디어의 특성이 국가의 이미지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요인들 외에도 소셜 미디어를 추가적인 변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요인을 파악하고 조사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요인을 파악하고 조사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에 있는 20대를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셜미디어가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후광효과가 크게 작용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을 살펴보았고,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국민이미지, 제품이미지, 문화이미지, 정치이미지와 소셜미디어 특성을 변수로 추가하여 모형 및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ennis 등(2008)의 연구[14]를 근거 하여 설문문항을 개발 하였다. 그리고 설문지의 타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충북대학교에 재학중인 중인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리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PLS는 표본 크기와 잔차 분포에 대한 요구 사항이 비교적 엄격하지 않고[39], 이론적인 구조모형에 대한 평가와 측정모형에 대한 평가를 동시에 할 수 있으며[12], 측정항목과 구성개념 간의 관계가 조형지표인 모델을 분석할 수 있고, 철저하게 검증되지 않은 이론개발의 초기단계에 적합한 방식이다[33]. 본 연구는 이론 개발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이론 검증보다는 탐색적 연구의 성격이 강하고 조형지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PLS기법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적용하였다.
7 이상으로 나타났다. 집중타당성은 AVE(average variance extracted)와 구성개념에 대한 요인적재값으로 검증하였다. AVE는 Fornell & Larcker(1981), Chin(1998) 등[12]이 주장하는 기준치인 0.
본 연구에서는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특히 기존연구와는 다르게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변수로 추가하여 분석을 하였다.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국가이미지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이미지와 제품이지미가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경로계수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표본을 이용하여 구조모형에 대한 경로계수를 구하고, PLS에서 제공하는 부스트랩 방식을 이용하여 경로계수의 t값을 산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소셜미디어 사용경험이 가장 많은 중국 운남성에 있는 20대 대학생들이다. 본 연구를 위해 2011년 10월에 2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215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8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소셜미디어 사용경험이 가장 많은 중국 운남성에 있는 20대 대학생들이다. 본 연구를 위해 2011년 10월에 2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215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8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ennis 등(2008)의 연구[14]를 근거 하여 설문문항을 개발 하였다. 그리고 설문지의 타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충북대학교에 재학중인 중인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리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구성개념과 설문문항은 <표 2>와 같다.
다음으로 경로계수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표본을 이용하여 구조모형에 대한 경로계수를 구하고, PLS에서 제공하는 부스트랩 방식을 이용하여 경로계수의 t값을 산출하였다.
성능/효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판별타당성을 검증해 볼 수 도 있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구성개념에 대한 요인 적재값이 다른 구성개념에 대한 요인 적재값보다 커야 하는데, 분석결과 모든 설문문항이 본 요건을 충족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모델에 사용된 구성개념과 측정문항에 대한 내적일관성, 집중타당성, 그리고 판별타당성을 검증한 결과들은 기준요건을 충족시켰기 때문에 구조모형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연구가설 순서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섯 가지 변수 중에 국민이미지, 문화이미지, 소셜미디어 특성, 제품이미지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2-2, 가설3-2, 가설4-2, 가설6-2가 채택되었다.
그러나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이미지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6-2는 기각되었다. 한편,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섯 가지 변수 중에서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국가이미지가 제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들에서 검증된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둘째, 국민이미지, 제품이미지, 문화이미지, 소셜미디어 특성이 국가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들에서 검증된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셋째, 국가이미지, 국민이미지와 제품이미지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접촉이 가장 적은 도시인 지역적 특색이 있기 때문에 다른 도시보다 매체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정치이미지는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이미지에서는 한국의 남북관계, 국회 폭력, 많은 시위 등이 대중매체나 인터넷을 통해 많이 전파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부정적인 영향을 많이 줄 것이라고 생각하여 이번 조사에서 반영하였다.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국가이미지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이미지와 제품이지미가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민이미지와 소셜미디어 특성이 국가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민이미지와 소셜미디어 특성이 구매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민이미지와 소셜미디어 특성이 구매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이미지가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는 설문 응답지역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PLS의 R² 분석결과, 소셜미디어 특성, 국민이미지, 제품이미지, 문화이미지, 정치이미지는 국가이미지에 61.71%를 설명하였고 국가이미지와 그 선행변수들은 제품구매의도의 56.4%를 설명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의 PLS 경로모형의 전체 적합도는 0.659으로서 Wetzels등(2009)이 제시한 강(large)보다 커서 모형의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소셜미디어로 대변되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을 활용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국가이미지를 향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중국으로 진출하는 기업들에게도 경영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이 특정지역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보다 나은 일반화된 결론의 도출을 위해서는 중국의 여러 지역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변수들 이외에도 국가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수들의 도출과 검증이 요구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