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에서 재배한 포도 품종간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Grape Varieties Cultivated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3, 2012년, pp.280 - 286  

안혁진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와인연구소) ,  손홍석 (동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조건하에 온실 재배하여 수확한 7종의 포도를 선발하여 품종간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포도의 당, pH, 총산도 등의 일반성분 분석과 HPLC를 이용한 유기산 분석, ICP-OES를 이용한 미네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당도는 V. vinifera종이 V. labrusca종에 비해 $2-4^{\circ}Bx$ 정도로 높게 나타났고, Seibel 품종이 $20.93^{\circ}Bx$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pH는 Chardonnay 및 Seibel 등이 4.01로 가장 높았으며, 총산도는 Steuben, Merlot, Cabernet Sauvignon 등이 0.9-1.0%로 다른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Tartaric acid의 함량은 Merlot 품종이 과육과 과피에서 가장 높았으며, Steuben, Kyoho 품종은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Malic acid의 경우 Chardonnay와 Seibel 등의 백포도 품종이 적포도 품종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Citric acid의 함량은 과육과 과피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고, Chardonnay와 Campbell Early의 과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미네랄 함량 중 potassium은 전체 미네랄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Chardonnay와 Seibel 등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Steuben과 Campbell Early 등이 낮게 검출되었다. Calcium의 함량은 Kyoho 포도 품종이 가장 높았고, Magnesium의 함량은 Chardonnay가 가장 높았으며, Sodium의 함량은 Chardonnay, Seibel 등이 높게 나타났다. Chardonnay와 Seibel은 Calcium을 제외한 전체 미네랄 함량에서 모두 높은 수치로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ffects of genetic factor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r metabolites of grapes harvested within the same region. Grapes were separated into pulp, skin, and seed,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mong seven grape varieties. The sugar conc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조건하에 온실 재배하여 수확한 7종의 포도를 선발하여 품종간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포도의 당, pH, 총산도 등의 일반성분 분석과 HPLC를 이용한 유기산 분석, ICP-OES를 이용한 미네랄 분석을 실시하였다.
  • 포도 품종은 포도주의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환경에서 재배한 포도 품종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을 통해 포도 품종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V.
  • 포도 알은 크게 과육과 과피, 종자로 구분하며, 각각 다른 성분 함량의 특징을 보이며 서로 다르게 포도주의 품질에 기여한다(9). 포도 품종간의 비교에서 과육과 과피의 특징을 개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리하여 유기산과 미네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1)Mineral contents are expressed as ppm per g of extract.
  • 1)Organic acid contents are expressed as ppm per g of extract.
  • 2)Total acidity was expressed as tartaric aci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양조하는 포도주 품종은 무엇인가? 세계의 주요 포도주 생산국들은 포도주 제조에 적합한 포도 품종을 선발하여 고품질의 포도주를 생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포도주는 유럽계통의 Vitis vinifera 종을 이용하여 양조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V. vinifera 종의 노지재배가 어렵기 때문에 식용 포도 품종인 캠벨(Campbell Early)과 거봉(Kyoho) MBA (Muscat Bailey A) 같은 V. labrusca 종을 이용하여 포도주를 양조하고 있다(1).
포도주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소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포도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이다. 포도 품종, 포도 재배 환경, 포도 수확 시기, 효모와 젖산균, 발효 기술, 숙성 환경 등이 최종 포도주 제품의 품질을 결정한다(2). 하지만 포도 품종의 선택은 고품질의 포도주를 만들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요소이다.
국내산 포도주의 품질 경쟁력이 낮은 이유를 확실하게 정의하기 힘든 이유는? 국내산 포도주의 품질 경쟁력이 낮은 이유를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포도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이다. 포도 품종, 포도 재배 환경, 포도 수확 시기, 효모와 젖산균, 발효 기술, 숙성 환경 등이 최종 포도주 제품의 품질을 결정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Lee SJ, Lee JE, Kim SS. Development of Korean red wines using various grape varieties and preference measure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11-918 (2004) 

  2. Son HS, Hwang GS, Ahn HJ, Park WM, Lee CH, Hong YS. Characterization of wines from grape varieties through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of $^{1}H$ NMR spectroscopic data. Food Res. Int. 42: 1483-1491 (2009) 

  3. Bae SD, Bae SM, Kim J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ricegrape wine fermented with rice and grap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16-623 (2004) 

  4. Lee SO, Park MY. Immobilization of Leuconostoc oenos cells for wine deacidific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299-304 (1980) 

  5. Bae IY, Lee KY, Shin MS, Lee HG. Development of red wine using Monascus anka.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44-748 (2004) 

  6. Kim JS, Kim SH, Han JS, Yoon BT, Yook C. Effects of sugar and yeast addition on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16-521 (1999) 

  7. Kim JS, Sim JY, Yook C. Development of red wine using domestic grapes, Campbell Early. Part (1) - Characteristics of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and different su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19-326 (2001) 

  8. Park WM, Park HG, Rhee SJ, Kang KI, Lee CH, Yoon KE. Properties of wine from domestic grape, Vitis labrusca cultivar. Campbell Early, fermented by carbonic maceration vinificat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73-778 (2004) 

  9. Son HS, Hwang GS, Kim KM, Ahn HJ, Park WM, van den Berg F, Hong, YS, Lee CH. Metabolomic studies on geographical grapes and their wines using $^{1}H$ NMR analysis coupled with multivariate statistics. J. Agr. Food Chem. 57: 1481-1490 (2009) 

  10. Wagner PM. Grapes into Wine. Alfred AK, New York, NY, USA. pp. 99-128 (1994) 

  11. Lee YS, Choi JS, Shim KH, Jo YH, Kim JK.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during the maturation of Vitis vinifera red grapes. J. Korean Soc. Food Nutr. 22: 190-195 (1993) 

  12. Jackson, R. Wine Science. Elsevier Inc, San Diego, CA, USA. pp. 418-424 (2008) 

  13. Iverson J. Home Wine Making Step by Step. Stonemark Publishing Co., Medford, OR, USA. pp. 5-26 (2000) 

  14. Soyer Y, Koca N, Karadeniz F. Organic acid profile of Turkish white grapes and grape juices. J. Food Compos. Anal. 16: 629-636 (2003) 

  15. Zelle RM, de Hulster E, van Winden WA, de Waard P, Dijkema C, Winkler AA, Geertman JMA, van Dijken JP, Pronk JT, van Maris AJA. Malic acid production by Saccharomyces cerevisiae: Engineering of pyruvate carboxylation, oxaloacetate reduction, and malate export. Appl. Environ. Microb. 74: 2766-2777 (2008) 

  16. Liu HF, Wu BH, Fan PG, Li SH, Li LS. Sugar and acid concentrations in 98 grape cultivars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J. Sci. Food Agr. 86: 1526-1536 (2006) 

  17. Mckinnon AJ, Scollary GR, Solomon DH, Williams PJ. The influence of wine components on the spontaneous precipitation of calcium L(+)-tartrate in a model wine solution. Am. J. Enol. Viticult. 46: 509-517 (1995) 

  18. Minguez S, Hernandez P. Tartaric stabilization of red, rose, and white wines with L(+)-calcium tartrate crystal seeding. Am. J. Enol. Viticult. 49: 177-182 (1998) 

  19. Lee JE, Hong YS, Lee CH. Characterization of fermentative behaviors of lactic acid bacteria in grape wines through $^{1}H$ NMR- and GC-based metabolic profiling. J. Agr. Food Chem. 57: 4810-4917 (2009) 

  20. Moon YJ, Lee MS, Sung CK.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aspberry wine using active dry yeast strains. J. Korean Soc. Food Nutr. 18: 302-308 (2005) 

  21.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Yoon KE.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90-596 (2002) 

  22. Amiri ME, Rallahi E. Influence of mineral nutrients on growth, yield, berry quality, and petiole mineral nutrient concentrations of table grape. J. Plant Nutr. 30: 463-470 (2007) 

  23. Zhenming N, Xuefeng X, Yi W, Tianzhong L, Jin K, Zhenhai H. Effects of leaf-applied potassium, gibberellins, and source-sink ratio on potassium absorption and distribution in grape fruits. Sci. Hortic.-Amsterdam 115: 164-167 (2008) 

  24. Ribereau-Gayon P, Glories Y, Maujean A, Dubourdieu D. Handbook of Enology. Vol. 2 The Chemistry of Wine Stabilization and Treatments. John Wiley & Sons Ltd, West Sussex, England. pp. 91-108 (2006) 

  25. Combrink NJJ. Relative humidity and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s affecting muskmelon quality. Acta Hortic. 458: 43-48 (1998) 

  26. Adams P, Hand DJ. Effects of humidity and Ca level on dry-matter and Ca accumulation by leaves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J. Hortic. Sci. 68: 767-774 (1993) 

  27. Frias S, Conde JE, Rodriguez MA, Dohnal V, Perez-Trufillo JP. Metallic content of wines from the Canary Islands (Spain).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to the data analysis. Nahrung/Food 46: 370-375 (2002) 

  28. Frias S, Conde JE, Rodriguez-Bencomo JJ, Garcia-Montelongo F, Perez-Trujillo JP. Classification of commercial wines from the Canary Islands (Spain) by chemometric techniques using metallic contents. Talanta 59: 335-344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