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epG2 cell에서 식용수산자원 추출물의 지질축적억제효과
Inhibitory Activity of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by Various Marine Extracts in HepG2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3, 2012년, pp.362 - 366  

김병목 (한국식품연구원 대사기능연구본부) ,  정지희 (한국식품연구원 대사기능연구본부) ,  김동수 (한국식품연구원 융합기술연구본부) ,  김영명 (한국식품연구원 대사기능연구본부) ,  정인학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산물 추출물로부터 간세포내 지질축적억제효과 추출물의 탐색을 통해 지방간 형성 억제 활성물질을 밝힐 목적으로, 각 48종의 수산물 추출물의 사람 간암세포유래인 HepG2 세포주에서의 중성지질축적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8개의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지질축적억제효과를 보였고, 그 중 Pagrus major, Octopus minor, Enteroctopus dofleini,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Styela clava, Enteromorpha intenstinalis 등 6개의 추출물이 유효한 효과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발현 정도를 조사하고, 활성물질의 분리 및 정제 등에 관한 연구와 지방간 형성 억제 효과에 대한 기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mot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edible marine resources and to develop functional food material from edible marine resource extracts for inhibiting lipid accumulation in liver. Edible marine resource extracts (ME) were prepared by hot water (MWE) and 80% ethanolic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산물의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지방간 유발과 밀접한 중성지질에 대한 저하작용이 기대되고 있으나, 그 기작에 관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산물 추출물로부터 간세포내 지질축적억제효과를 밝힐 목적으로 0.5 mM FAs를 사람 간암세포유래의 HepG2 세포주에 처리한 후 세포내 중성지질량을 조사하였다. 총 48종의 수산물을 열수 및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1000, 500, 250 µg/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독성과 지질축적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각각 Table 1과 2에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산물의 종류는? 수산물은 크게 어류, 패류, 연체류, 갑각류, 극피류, 해조류 등으로 분류되고 있고, 그 종류만 하더라도 매우 광범위하다. 수산물유래 기능성 성분으로는 푸코이단, EPA(eicosapentaenoic acid)/DHA(docosahexaenoic acid), 키틴/키토산, 폴리페놀, 함황아미노산 등이 있고, 이들은 항암(1), 항산화(2), 항고혈압(3), 항균(4), GABA(gamma-aminobutyric acid)함량 증진(5), 항고지혈증(6), 간기능장애 보호(7)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가 지방간을 야기하는 이유는? 간은 단백질대사, 지질대사, 약물 및 독성물질대사 등 생체내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대사를 담당하고 있으며(8), 흡연, 음주, 스트레스 및 약물 남용 등의 외인적 스트레스에 의해 간기능은 저하되고 지방간을 야기하게 된다(9). 특히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는 알코올 산화시 발생하는 다량의 NADH와 acetyl-CoA가 만들어져 이들로부터 합성되는 glycerol-3-phosphate와 유리지방산이 중성지방을 합성하여 간내 중성지방 축적을 야기시키고, 또한 알코올 산화 부산물인 acetaldehyde에 의해 지질대사 활성과 효소활성을 억제하여 대사 장애를 유발함으로써 지방간을 유발하게 된다(10-13). 현재까지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 형성 억제를 목표로 하는 수산물유래 유효성분 탐색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48종의 수산물(어류, 패류, 갑각류, 연체류, 극피류, 해조류 등)로부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그 추출물의 인체 정상 간세포인 HepG2 cell에서의 중성지질축적억제를 조사하였다.
수산물유래 기능성 성분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수산물은 크게 어류, 패류, 연체류, 갑각류, 극피류, 해조류 등으로 분류되고 있고, 그 종류만 하더라도 매우 광범위하다. 수산물유래 기능성 성분으로는 푸코이단, EPA(eicosapentaenoic acid)/DHA(docosahexaenoic acid), 키틴/키토산, 폴리페놀, 함황아미노산 등이 있고, 이들은 항암(1), 항산화(2), 항고혈압(3), 항균(4), GABA(gamma-aminobutyric acid)함량 증진(5), 항고지혈증(6), 간기능장애 보호(7)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업발달, 경제성장 및 식생활이 서구화됨에 따라 각종 만성질환과 뇌혈관 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순환기계 질환이 사망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과잉의 알코올 섭취는 영양소의 대사에 영향을 미쳐 간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MS, Han HD, Kim TW, Song CK, Park ES, Shin BC. Antitumour efficiency of chitosan hydrogel containing anionic liposomes as a depot system. J. Korean Pham. Sci. 35: 25-31 (2005) 

  2. Shin SL, Lee CH. Antioxidant activities of ostrich fern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and solvents. J. Life Sci. 21: 56-61 (2011) 

  3. Choi JH, Kim DI, Park SH, Kim DW, Kim CM, Koo JG. Effects of sea tangle extract and fucoidan drinks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stressed mouse. J. Korean Fish. Soc. 32: 764-769 (1999) 

  4. Cho SH, Kim YJ, Cho JC, Moh SH. Preparation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quaternary amine chitosan.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 Soc. 12: 937-940 (2011) 

  5. Ko JA, Kim KO, Park HJ. Effects of molecular weight and chitosan concentration on GABA (gamma-aminobutyric acid) content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688-692 (2010) 

  6. Kim HS, Seong JH. Effects of chitosan oligosaccharide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lipid components, and enzyme activities in hyperglycemic rats. Korean J. Food Nutr. 21: 328-335 (2008) 

  7. Nam CS, Kang KS, Ha BJ. Ulva lactuca fucoidan extract and its protective effects on $CCl_{4}$ -induced liver dysfunction. Korean J. Biotechnol. Bioeng. 22: 73-77 (2007) 

  8. Cha JY, Mameda Y, Oogami K, Yamamoto K, Yanagita T. Association between hepatic triacylglycerol accumulation induced by administering orotic acid and enhanced phophatidate phosphohydrolase activity in rat. Biosci. Biotech. Bioch. 62: 508-513 (1998) 

  9. Sorenson TIA, Orholm M, Bentsen KD, Hoybye G, Eghoje K, Christoffersen P. Prospective evaluation of alcohol abuse and alcoholic liver in men as predictors of development of cirrhosis. Lancet 2: 241-244 (1984) 

  10. Ontko JA. Effects of ethanol on the metabolism of free fatty acids in isolated liver cells. J. Lipid Res. 14: 78-84 (1973) 

  11. Lieber CS, Decarli LM. Study of agents for the prevention of the fatty liver prolonged alcohol intake. Gastroenterology 50: 316-322 (1966) 

  12. William FA, Enrique S. The useful BCAA in patients with acute or chronic hepatic encephalopathy. Am. J. Gastroenterol. 84: 91-96 (1989) 

  13. Wildi SM, Reich J, Flury R, Lauper U, Risti B, Mullhaupt B, Meyenberger C. Acute fatty liver in pregnancy: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course. Case report. Schweiz. Rundsch. Med. 91: 267-273 (2002) 

  14. Marchesini G, Brizi M, Morselli-Labte AM, Bianchi G, Bugianesi E, McCullough AJ. Associa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insulin resistance. Am. J. Med. 107: 450-455 (1999) 

  15. Maher JJ. Exploring alcohols effects on liver function. Alcohol Health Res. W. 21: 5-12 (1997) 

  16. Neuman MG. Cytokines-central factors in alcoholic liver disease. Alcohol Health Res. W. 27: 307-316 (2003) 

  17. Kim TJ. Korean Resources Pla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72 (1996) 

  18. Koo JK, Jo KS, Do JR, Park JH, Yang CB. Chemical properties of fucoidans from Hizikia fusiformis and Sargassum fulvellum. Bull. Korean Fish. Soc. 28: 659-666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