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쇠비름 추출물 발효액이 Campylobacterjejuni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rmented Extracts of Portulaca oleracea against Campylobacter jejun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2, 2012년, pp.291 - 298  

배지현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 질환과 사망 원인 중 첫 번째에 해당하는 설사의 주된 원인균인 Campylbactor jejuni에 대한 쇠비름 발효액의 항균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민간요법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온 쇠비름은 각종 항균 효과나 항염증, 항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용 식물로, 여기에서 식물성 유산균을 분리해 각종 프로바이오틱스와 더불어 쇠비름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Lactobacillus rhamnosus, L. acidophilus, L. bulgaricus, L. delbrueckii, L.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Bifidobacterium longum과 쇠비름에서 분리한 균을 쇠비름 추출물에 적용하였을 때,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쇠비름에서 분리한 식물성 유래 유산균이 쇠비름 추출액에서 가장 잘 자랐고, 여기에 2% yeast extract, 1% peptone 및 0.05~1% 인산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발효액을 만들 수 있었다. 쇠비름 발효액에 들어있는 생균수는 발효 48시간 후 $1{\times}10^{12}\;CFU/m{\ell}$로 증가하였고, 2주간 냉장 보관을 한 이후에도 생균수가 $1.3{\times}10^{10}\;CFU/m{\ell}$로 남아있었다. 쇠비름 발효액의 pH와 산도는 발효 48시간 이후 3.7과 3.14로 각각 나타나 일반 유제품 발효액의 기준 범위 안에 들어감을 알 수 있었다. PLAB과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만든 쇠비름 발효액은 10 $mg/m{\ell}$ 이상의 농도에서 C. jejuni에 대해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이 억제 효과는 48시간 동안 지속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main microorganisms causing diarrheal diseases is Campylobacter jejuni. Purslane or Portulaca oleracea is an edible plant containing polyphenols that has been widely used as a folk remedy for treatment of diarrhea for a long tim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 질환과 사망 원인 중 첫 번째에 해당하는 설사의 주된 원인균인 Campylbactor jejuni에 대한 쇠비름 발효액의 항균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민간요법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온 쇠비름은 각종 항균 효과나 항염증, 항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용 식물로, 여기에서 식물성 유산균을 분리해 각종 프로바이오틱스와 더불어 쇠비름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 쇠비름은 예로부터 민간요법과 한방에서 널리 사용되어온 식용 식물로 각종 항균효과나 항염증, 항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국내 야산 등지에서 널리 자생하고 있다(Bae JH 2004; Park 등 2011). 본 연구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와 약용 식물로 활용되어 온 쇠비름으로부터 식물성 유래 유산균을 분리하여 쇠비름 추출물 발효액을 제조한 후, 이들이 신생아 장염 유발 미생물인 C. jejuni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사는 무엇인가? 설사는 소장이나 대장에 병원성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증식함으로 생기게 되는 장내 질환으로, 성인의 경우 Clostridium difficile이나 rotavirus가 주된 원인이며, 신생아의 경우 Campylobacter jejuni가 주된 원인균으로 보고되고 있다(GonzalezSarrias 등 2010). 선진국에서도 중요한 건강상의 문제가 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많은 수의 환자들이 설사 등의 장염으로 치료를 받고 있으며, 특히 신생아에게는 치명적인 장내 질환이다(Bhatnagar 등 1998).
성인의 경우 설사의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설사는 소장이나 대장에 병원성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증식함으로 생기게 되는 장내 질환으로, 성인의 경우 Clostridium difficile이나 rotavirus가 주된 원인이며, 신생아의 경우 Campylobacter jejuni가 주된 원인균으로 보고되고 있다(GonzalezSarrias 등 2010). 선진국에서도 중요한 건강상의 문제가 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많은 수의 환자들이 설사 등의 장염으로 치료를 받고 있으며, 특히 신생아에게는 치명적인 장내 질환이다(Bhatnagar 등 1998).
프로바이오틱스 중 Lactobacillus casei rhamnosus는 어떤 효능들이 있는가? 프로바이오틱스란 살아있는 미생물로 장내 균총을 개선해 숙주에게 유리한 효과를 제공해 주는 것을 말하는데,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균총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므로 발생하게 되는 여러 가지 장관 질환을 안정화시킨다고 한다. 이 중 Lactobacillus casei rhamnosus(LGG)는 사람에게서 분리된 균으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설사의 치료에 효과적이고, Clostridium difficile이나 Helicobacter pylori에 의한 장염, 유당불내증,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Caco-2(human colonic carcinoma)를 가지고 한 실험에 의하면 LGG는 장관세포에 흡착하여 집락을 이루고 장내 유해 미생물인 C. jejuni,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및 C. difficile 등의 침투를 방해한다고 한다(Mattar 등 2001). Bifidobacterium이나 Lactobacillus와 같은 프로바이오틱스들은 유제품의 제조에 널리 이용되어온 미생물인데, 이들 또한 유해 장내 미생물의 흡착, 증식, 침투, 독소 생산 등을 막아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기전으로는 이들이 장내에서 휘발성 저급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SCFA)을 생산함으로 장내 pH를 낮추거나 또는 박테리오신을 생산하여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한다고 한다(Fooks & Gibso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 JH.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s on food-brone pathogens. J Food Sci Nutr 9:306-311 

  2. Bezkorovainy A. 2001. Probiotics: determinants of survival and growth in the gut. Am J Clin Nutr 73:399S-405S 

  3. Bhatnagar S, Singh KD, Sazawal S, Saxena S, Bhan MK. 1998. Efficacy of milk versus yoghurt offered as part of a mixed diet in acute noncholera diarrhea among malnourished children. J Pediatrics 132:999-1003 

  4. Chang DR, Kim JB. 2010. A case study on Pulmone healthy life's Pulmone vegetable lactic acid bacteria advertising campaign: Creating a new category in a growth market. Korean J Advertising 21:253-265 

  5. Fooks LJ, Gibson GR. 2002. In vitro investigations of the effect of probiotics and prebiotics on sicected human intestinal pathogens. FEMS Microbiol Ecology 39:67-75 

  6. Friedman M, Henika PR, Mandrell RE. 2002. Bactericidal activities of plant essential oils and some of their isolated constituents against Campylobacter jejuni, Escherichia coli,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enterica. J Food Protection 65:1545-1560 

  7. Friedman M. 2007. Overview of antibacterial, antitoxin, antivir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tea flavonoids and teas. Mol Nutr Food Res 51:116-134 

  8. Ganan M, Silvan JM, Carrascosa AV, Martinez-Rodriguez AJ. 2012. Alternative strategies to use antibiotics or chemical products for controlling Campylobacter in the food chain. Food Control 24:6-14 

  9. Gonzalez-Sarrias A, Larrosa M, Tomas-Barberan F, Dolara P, Espin JC. 2010. NF-kappaB-depend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urolithins, gut microbiota ellagic acid-derived metabolites, in human colonic fibroblasts. Br J Nutr 104: 503-512 

  10. Karimi O, Peria AS. 2008. Indications and challenges of probiotics, prebiotics, and synbiotics in the management of arthralgias and spondyloarthropathie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J Clin Gastroenterol 42:136S-141S 

  11. Larrosa M, Gonzalez-Sarrias A, Yanez-Gascon MJ, Selma MV, Azorin-Orturil M, Toti S, Tomas-Barberan F, Dolara P, Espin JC. 2010.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a pomegranate extract and its metabolite urolithin-A in a colitis rat model and the effect of colon inflammation on phenolic metabolism. J Nutr Biochem 21:717-725 

  12. Lee MD, Newell DG. 2006. Campylobacter in poultry: filling an ecological niche. Avian Diseases 50:1-9 

  13. Ley RE, Backhed F, Turnbaugh P, Lozupone CA, Knight RD, Gordon JI. 2005. Obesity alters gut microbial ecology. Proc Natl Acad Sci 102:11070-11075 

  14. Mattar AF, Drongowski RA, Coran AG, Harmon CM. 2001. Effect of probiotics on enterocyte bacterial translocation in vitro. Pediatr Surg Int 17:265-268 

  15. Nannapaneni R, Chalova VI, Crandall PG, Ricke SC, Johnson MG, O'Bryan CA. 2009. Campylobacter and Arcobacter species sensitivity to commercial orange oil fractions. International J Food Microbiol 129:43-49 

  16. Park SF. 2002. The physiology of Campylobacter species and its relevance to their role as foodborne pathogen. International J Food Microbiol 74:177-188 

  17. Park SH, Kim DK, Bae JH. 2011. The antioxidant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s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on Helicobacter pylori. Korean J Food & Nutr 24:306-311 

  18. Rooks MG, Garrett WS. 2011. Bacteria, food and cancer. F1000Reports Biol 3:12-18 

  19. Saavedra JM. 1995. Microbes to fight microbes: a not so novel approach to controlling diarrheal disease.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1:125-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