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쇠비름 첨가 설기떡의 저장성 및 노화 특성
Storage Characteristics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Sulgidduk Added with Portulaca oleracea 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0, 2015년, pp.1517 - 1524  

이수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보담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미라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유정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우수한 전통음식인 설기떡에 쇠비름을 첨가하여 쌀에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보완할 수 있도록 개발하여 저장 중 노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멥쌀가루에 0, 1, 3 또는 5%의 쇠비름 페이스트를 첨가하여 제조한 후 $15^{\circ}C$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수분, 당도, 경도, 노화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쇠비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보유량은 증가하였으며 5% 첨가군의 수분 보유율이 가장 높았다. 쇠비름은 당 함량이 적어 설기떡의 당도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경도는 쇠비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했고,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시료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탄력성은 쇠비름을 첨가할수록 탄력성이 증가하였다. 응집성은 쇠비름 첨가량의 증가가 설기떡 응집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쇠비름이 설기떡 내부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결합력을 유지시키는 데는 효과가 미약한 것으로 사료된다. 씹힘성은 5% 쇠비름 첨가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복탄성력은 쇠비름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시료군에서 감소하였다. 시차주사 열량계를 측정한 결과 엔탈피는 대조군이 123.47 cal/g으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쇠비름 첨가량이 많을수록 쇠비름 설기떡의 엔탈피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이를 통해 설기떡 제조 시 쇠비름을 첨가함으로써 노화를 억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관능검사 결과 쇠비름을 첨가할수록 색, 쇠비름향, 쇠비름맛, 촉촉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경도는 쇠비름 첨가군에서 낮아졌다. 다음과 같은 결과로부터 설기떡 제조 시 쇠비름의 첨가는 설기떡의 수분 보유력을 높여 수분 함량의 감소를 억제하고 조직의 변화를 줄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경도의 단단함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관능평가를 통해 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5% 쇠비름 첨가군이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orage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 kind of rice cake, added with Portulaca oleracea L. The effect of P. oleracea L. paste (0, 1, 3, or 5%) on the storage qualities of Sulgidduk was evaluated during storage period at $20{\pm}2^{\circ}C$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우수한 전통음식인 설기떡에 쇠비름을 첨가하여 쌀에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보완할 수 있도록 개발하여 저장 중 노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멥쌀가루에 0, 1, 3 또는 5%의 쇠비름 페이스트를 첨가하여 제조한 후 15 °C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수분, 당도, 경도, 노화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조상의 지혜와 정서가 깃든 떡에 기능성 식품인 쇠비름을 첨가해 노화를 늦추어 저장성을 높인 쇠비름 설기떡을 개발하고 품질 특성 및 노화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설기의 제조 방법은? 그러나 전분질 식품인 곡류를 호화시켜 만드는 떡은 상당한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저장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건조해지고 전분이 노화하면서 굳어지는데, 이러한 떡의 품질과 저장성 변화는 주재료 외에 첨가하는 부재료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또 백설기는 멥쌀가루에 소금, 물, 설탕 또는 꿀을 혼합하여 쪄낸 것으로 설탕과 꿀을 혼합함으로써 떡의 노화가 지연된다고 규곤요람(1896)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설탕 또는 꿀만을 섞어서 노화를 지연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고, 떡은 저장 기간이 짧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쇠비름의 다른 이름은 무엇이 있는가? )은 쇠비름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예로부터 민간요법과 한방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오래 먹으면 장수한다는 의미로 장명채(長命菜)라고도 하고 잎이 말의 이를 닮아 마치채(馬齒菜), 다섯 가지 색을 가지고 있어 오행초(五行草)라고도 불리며, 우리나라 각지의 길가, 채소밭, 빈터 등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쇠비름은 봄에서 여름까지의 연한 순을 데쳐 나물로 먹기도 하고, ‘본초강목’ 과 ‘동의보감’에서는 충독이나 사독 등의 해독제로도 사용한다(15).
떡은 제조 방법에 따라 크게 어떻게 나누는가?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급속한 변화로 주식으로서의 쌀소비가 저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쌀 가공식품의 개발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실제 쌀의 이용 정도가 낮고 특별한 가공제품이 없어 쌀 소비의 한계를 보여 주고 있다. 쌀 소비를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한 식품형 태가 떡으로, 멥쌀과 찹쌀뿐만 아니라 모든 곡식가루를 반죽 하여 쪄서 만든 가공식품으로 크게 찌는 떡, 치는 떡, 지지는 떡, 삶는 떡으로 나뉘고, 백설기는 찌는 떡의 가장 기본이라할 수 있다. 떡은 한때 사용빈도가 줄었으나 오래된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으로 명절이나 의례 시에 필수음식으로 자리 잡아 왔고 또한 요즘에는 쿠키나 케이크 대신 떡을 파는 떡카페가 생기는 등 현대인들에게 떡이 많이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Kim KO, Youn KH. 1984. Effects of hydrocolloids on quality of Packsulki.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159-164. 

  2. Chio IJ, Kim YA. 1992. Effect of addition of dietary fibers on quality of Backsulgies. Korean J Soc Food Sci 8: 281-289. 

  3. Yoo JN, Kim YA. 2001. Effect of oligosaccharide addition 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Backsulgi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156-164. 

  4. Song JC, Park HJ. 2003. Effect of starch degradation enzymes on the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62-1269. 

  5. Choi YS, Kim YA. 1993. Effect of addition of brown rice flour on quality of Backsulgies. Korean J Soc Food Sci 9: 67-73. 

  6. Cho KR.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with germina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 Nutr 20: 185-194. 

  7. Chong HS. 2000. Physical properties of Paeksulgies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 of Gardenia jasminoid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380-383. 

  8. Joung HS. 2004. Quality of characteristics of Paeksulgis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93-98. 

  9. Lee HG, Lee ES, Cha KH. 2005. Sensory and mechanical of Maneul-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 180-189. 

  10. Hwang SJ, Kim JW. 2007. Effects of roots powder of balloonflowers on general compos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Culture 22: 77-82. 

  11. Ko S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nd Julpyun with beet (Beta vulgaris L.) leaf and root. Ph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p 101. 

  12. Son DH, Hwang WI. 2012.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of Sulgi added with onion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677-683. 

  13. Park YM, Kim MH, Yoon H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Korean J Culinary Res 18: 54-64. 

  14. Ahn G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amount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6: 127-136. 

  15. Jeong MA, Kim WW, Jin CW, Cho DH. 2012.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Portulaca oleracea L. fractions. Abstract No P3-39 presented at 2012 Spring Meeting of Korean Medicinal Crop Science. Cheongju, Korea. 

  16. Mohamed AI, Hussein AS. 1994. Chemical composition of purslane (Portulaca oleracea). Plant Foods Hum Nutr 45: 1-9. 

  17. Kim DC, Lee SD, In MJ. 2007. Preparation of purslane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375-376. 

  18. Lee MS, Kim CT, Kim CJ, Cho YJ, Kim Y. 2006.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on lipolysis and hormone sensitive lipase (HSL) gene expression in 3T3-L1 adipocytes. Korean J Nutr 39: 742-747. 

  19. Lim JP, Suh ES. 2000. Hepatoprotective, diuretic and anti 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extract from Portulaca oleracea Linn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189-193. 

  20. Lee HJ, Lee BJ, Lee DS, Suh YW. 2003.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in vitro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by Portulaca oleracea. Korean J Biotechnol Bioeng 18: 165-169. 

  21. Kim JO, Choi CR, Shin MS, Kim SK, Lee SK, Kim WS. 1996. Effects of water content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aging of rice starch g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552-557. 

  22. Kim HJ, Shim EK, Kim MR. 2014. Storage characteristics and retrogradation property of Makphyun containing peach. Korean J Food Cookery Sci 30: 531-539. 

  23. Chen H, Rubenthaler GL, Leung HK, Baranowski JD. 1988. Chemical, physical, and baking properties of apple fiber compared with wheat and oat bran. Cereal Chem 65: 244-247. 

  24. Kim HJ, Shin SK, Kim MR. 2013. Stor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dried mulberry poma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972-1980. 

  25. Cho MS,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sea tangl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37-44. 

  26. Sim YJ, Paik JE, Chun HJ. 1991. A study on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Ssooksulgis affected by mugworts. Korean J Soc Food Sci 7: 35-43. 

  27. Cho MS, Lee JS, Hong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paprika.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33-339. 

  28. Yoon SJ. 1999. Sens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rice cak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pumpkin. Korean J Soc Food Sci 15: 586-590. 

  29. Hwang SJ, Yoon S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ok added with aloe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50-658. 

  30. Chong HS.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eksulgi made with black color r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 370-375. 

  31. Park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6: 259-267. 

  32. Hyun YH, Hwang YK, Lee Y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tapioca flour. Korean J Food & Nutr 18: 103-108. 

  33. Won HR, Kim SH. 2011.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diet containing Portulaca oleracea L. ethanol extract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38-543. 

  34. Choi HY.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Paeonia japonica extract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 effects in Sulgidduk.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35-444. 

  35. Son KH, Park DY.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 prepared using different amounts of mulberry leaf powder and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977-986. 

  36. Choi WS, Chae KY.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apricot paste.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695-701. 

  37. Lim JH, Jeong SY, Kim J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maesil (Prunus mume) concentrate.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761-771. 

  38. Choi BS, Kim 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perilla leaves. Korean J Culinary Res 16: 299-310. 

  39. Kim HY, Kim MR, Go BG. 2004. Food quality evaluation. Hyoil, Seoul, Korea. p 63-68. 

  40. Lee HG, Kim HJ, Cha GH. 2005.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onghwa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505-513. 

  41. Lee JA, Choi S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added with mulberry concentrate. Korean J Culinary Res 17: 285-294. 

  42. Shin WC, Park HJ, Song JC. 2006. Optimization of modified starches on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 (Garaeduk). Korean J Food & Nutr 19: 279-287. 

  43. Park YK, Kim HS, Park HY, Han GJ, Kim MH. 2011. Retarded retrogradation effect of Garaetteok with apple pomace dietary fiber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6: 400-4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