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형 안면 소증 및 성정 특성 기반 사상체질 진단 프로그램 개발
A Development of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Program Based on Characteristics of Body Shape Face Physiological Symptom and Personality 원문보기

사상체질의학회지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24 no.1, 2012년, pp.21 - 31  

장은수 (한국한의학연구원) ,  박기현 (한국한의학연구원) ,  백영화 (한국한의학연구원)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  김성훈 (부산대치의학 전문대학원) ,  주종천 (원광대 한방병원 사상체질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1.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derived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both by using questionnaire on character and symptom and by collecting objective measurement data through face, body shape. Furthermore, by developing a program, we intend to help one's diagnosis of Sasang constitution. 2.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정 및 소증에 대한 정성적 설문 증례와 체형, 용모에 대한 정량적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그 체질 특성을 파악한 후 해당 요소별 체질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여 체질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체질 진단 보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각 세부 분류마다 데이터의 속성에 맞는 분석법을 활용하고자 하였고,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변수 특징에 적합한 분석법을 다시 활용하여 최적의 모델을 찾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성정 및 소증에 대한 정성적 설문 증례와 체형, 용모에 대한 정량적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그 체질 특성을 파악한 후 해당 요소별 체질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여 체질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 1,178명의 데이터 중 수집 기간에 따라 먼저 수집된 자료 958명을 훈련집단으로, 다소 늦게 수집된 자료 219명을 테스트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훈련집단을 통해 개별 체질점수를 산정하고 이를 변수로 활용하여 통합 체질진단 알고리즘을 만들었으며, 이 규칙을 테스트 집단에 적용하여 체질진단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상체질의학에서 중요한 것은? 사상체질의학에서는 체질에 따라 처방이 다르고 병증에 대한 예방법도 달라 체질을 명확하게 아는 것은 중요한 것으로, 현 시점에서 사상의학 연구와 임상에 있어서 가장 큰 난점은 사상체질의 진단이다1. 체질 임상 연구자들은 체질임상연구가 타 연구에 비해 어려운 점으로 객관적 체질진단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 하였고 우선적으로 연구해야 할 분야로 체질진단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라고 하였다2.
계층적 방법과 비계층적 방법으로 나누는 군집 방법의 단점은? 군집분석은 모집단 또는 범주에 대한 사전정보가 없는 경우에 관측치들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전체를 유사한 몇 개의 그룹 또는 군집으로 나누는 분석법으로 군집분석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군집들 사이의 거리를 어떻게 정의하느냐 하는 것이다. 크게 계층적 방법과 비계층적 방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런 군집 방법은 매우 큰 자료에 대해 효과적 분석이 가능하나 이상치에 민감한 단점이 있다26,27. 안면과 체형 연구에서는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를 미리 선정하지 않고 나타난 모든 변수를 이용하여 체질 가능성을 표현하고자 하여 다변량 구조 파악에 유리하고, 분리군집 방법에서 많이 알려져 있는 k-평균 군집방법28을 이용하여 각 체질가능성을 표현하였다.
사상체질의학회의 공식 진단툴이었던 QSCCII8에 대해 어떤 단점이 지적되고 있는가? 현재 사용 중인 체질진단 도구로는 사상체질의학회의 공식 진단툴이었던 QSCCII8와 한국한의학연구원과 사상체질의학회가 공동 개발한 온라인 사상체질 진단 설문프로그램20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QSCCII는 낮은 체질진단 예측률이 다수 보고되고21,22 온라인 사상체질진단 설문프로그램은 문항이 많아 응답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체형, 안면, 설문을 통합하여 임상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체질진단 보조프로그램이 있다면 임상의가 체질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i SM, Lee SH, Yoon YS, Kim JY. The study of Data Factors for SCIB(Sasang Constitution Information Bank). J Sasang Constitut Med. 2005;17(1):45-55.(Korean) 

  2. Yoo JH, Jang ES, Lee HJ, Kim YY, Kim HS, Lee SW. Knowledge and Attitude of Sasang Constitution Investigators on the Sasang Constitution Clinical Study in Korea. J Sasang Constitut Med. 2008;20(3):118-132. (Korean) 

  3. Lee JM. 사상의학 개정판. 사상의학교실. Jipmoondang. 2006:151-161. 

  4. 윤원교, 김종원. 사상체질 진단법의 문헌적 고찰. J Sasang Constitut Med. 1999;11(2):95-117.(Korean) 

  5. Jung WG, Kim JW.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s od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J Sasang Constitut Med. 2000;12(2):34-42.(Korean) 

  6. Lee EJ, Goh BH, Song IB. The Study on the Q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I). J Sasang Constitut Med. 1995;7(2):89-100.(Korean) 

  7. 김선호, 고병희, 송일병. 사상체질분류검사의 타당화 연구. J Sasang Constitut Med. 1993;5(1):67-85. (Korean) 

  8. 김선호, 고병희, 송일병. 사상체질분류검사지 (QSCCII)의 표준화 연구. J Sasang Constitut Med. 1996;8(1):187-246.(Korean) 

  9. Kim TY, Yoo JH, Lee EJ, Goh BH, Song IB. The Study on the Upgrade of QSCC(II). J Sasang Constitut Med. 2003;15(1):27-38.(Korean) 

  10. Korea Institution Oriental Medicine. 사상체질진단 객관화 기초연구. 대전. 2006.(Korean) 

  11. 허만회, 고병희, 송일병. 사상인의 형태화적 도식화를 위한 연구. J Sasang Constitut Med. 1989;1(1):29-40. (Korean) 

  12. 허만회, 송정모, 김달래, 고병희. 사상인의 형태학적 도식화에 관한 연구. J Sasang Constitut Med. 1992;4(1):107-148.(Korean) 

  13. Kim JW, Jeon SH, Sul YK, Kim KK, Lee EJ. A Study on the Body Shape classified by Sasang Constitutions and Gender using Physical Measurements. J Sasang Constitut Med. 2006.;18(1): 54-61.(Korean) 

  14. Lee HS, Park SS. A Morphologocal Study of the Angle of Costal Arch according to the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2008;20(1):48-55.(Korean) 

  15. Jeon SH, Kwon SD, Park SJ, Kim JY, Song JH, Kim HJ, Kim JW. An Accuracy Analysis of the 3D Automatic Body Measuring Machine. J Sasang Constitut Med. 2008;20(1):42-47.(Korean) 

  16. Jong SC, Lee EJ, Lee SK, Han GH, Hho BH, Song IB.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Upper Face of Moire According to the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1998;10(2):271-281.(Korean) 

  17. Yun JH, Lim KS, Kim SB, Lee JH, Park GS, Lee SK, Lee EJ, Koh BH, Song IB. The Comparison Research of the Head and Face on the 30's, 40's, and the 50's, 60's, in Kirean Men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2000;12(2): 143-152.(Korean) 

  18. Yun JH, Lee SK, Lee EJ, Goh BH, Song IB. Morphological standardization research of the head and face on the 50's, and 60's, in Korean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2000;12(2): 123-131.(Korean) 

  19. Seok JH, Song JH, Kim HJ, Yoo JH, Kwak CK, Lee JH, et al. A Software Error Examination of 3D Automatic Face Recognition Apparatus (3D-AFRA): Measurement of Facial Figure Data. J Sasang Constitut Med. 2007;19(2):30-39. (Korean) 

  20. Jeon SH, Jeong SI, Kwon SD, Park SJ, Kim KK, Kim JW. A Study on the Diagnostic Accuracy Rate of the Sasang Constitution Questionnaire for Doctors Used in the On-line System. J Sasang Constitut Med. 2008;20(3):82-93.(Korean) 

  21. Kim SB, Lee SK, Lee EJ, Koh BH, Song IB. A Study on the Validity to make a diagnosis of Soeumin by QSCC II(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 J Sasang Constitut Med. 2000;12(2): 94-103.(Korean) 

  22. Park HS, Ju JC, Kim JH, Kim KY. A Study o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QSCC II(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II). J Sasang Constitut Med. 2002;14(2):35-44.(Korean) 

  23. Jang ES, Lee HJ, Kim HG, Baek YH, Lee SW, Kim JY.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Sasang Constitutional Body Trunk Measurement. ECAM. Volume 2012. Article ID 604842. 

  24. Jang ES, Kim YJ, Kim SH, Joo JC. Characteristics of Distance, Angle and Ratio among the Face Point on Photo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 Sasang Constitut Med. 2010;22(2):37-47.(Korean) 

  25. Jang ES, Kim MG, Baek YW, Kim YJ, Kim JY. Influence of Cold and Heat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e in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J Sasang Constitut Med. 2009;21(3):76-88.(Korean) 

  26. Lee HS, Lim J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4.0 Mannual. Kyoungkido:Bobmunsa. 2008. (Korean) 

  27. Song MS, Cho SS. SAS를 이용한 통계 자료 분석. Seoul:Freedom Academy. 2002.(Korean) 

  28. Beum SG. 사상체질 분류모형 개발 및 진단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Korean) 

  29. Kim KY, Jeon MS. SAS 판별 및 분류분석. Seoul: Freedom Academy. 1997.(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