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 원형탈모증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Child with Alopecia Areata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6 no.2, 2012년, pp.47 - 52  

황보민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  정민정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  서형식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effect of Baekhogainsam-Tang on alopecia areata. Methods We decided the treatment principle through abdominal examinations and symptoms. We used herbal medicine (Baekhogainsam-Tang) to increase the roots of hair and hair. Results After the treat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白虎加人蔘湯으로 轉方한 후 복약하고 다음 방문시에 患兒의 탈모반에 가는 솜털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하였다. 또한 잠꼬대가 횟수가 감소하고 식욕이 조금 느는 것 같다고 보호자 진술하였다. 이후 同方 1개월 복용 후 탈모반이 직경 약 2.
  • 이에 저자는 유아기 患兒의 원형탈모증에 腹診과 外症을 처방 근거로 하는 고방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白虎加人蔘湯7) 투약만으로 치료하여 유의한 효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의 증례보고를 제외하고는 소아의 원형탈모증에 관한 한의학적 연구는 찾아보기가 힘들었다. 이에, 저자는 비록 1 case이나 의미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 원형탈모증에 대한 보고 중 주입 방법이 어려운 학령기 이전의 환아에게 어떠한 부작용이 일어 났는가? 3%에서 치료율을 보였으며 발병 6개월 이전에 병변내 부신 피질호르몬제 투입군에서는 90%에서 회복을 보였다. 그러나 주입 방법이 어려운 학령기 이전의 환아에게는 부신피질 호르몬제의 펄스 정맥 주사를 주로 시행하였고 이때 오심, 구토, 안면홍조, 안면부종 등의 부작용이 흔히 일어났고 일부 환자에게서는 골 성장 억제로 추측되는 부작용이 나타났다4).
원형탈모증의 특징은 무엇인가? 원형탈모증 (alopecia areata)은 소아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넓은 연령군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특히 학령기 아동에 있어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나타날 수 있다1).
소아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는 무엇인가? 소아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는 긴 유병기간, 원형탈모증의 기왕력, 아토피피부염의 동반, 부모와의 관계 형성 결핍 등으로 보고되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m DG, Kim YH, Kim JH, Park EJ, Baek JH, Lee SY, Lee JY, Chang GT. Oriental Pediatrics. Seoul: Jung Dam Publishing Co, 2002:157. 

  2. Ro BI. Clinical Study of Alopecia Areata in Children. Korean J Dermatol. 2003;41(Suppl 2):92. 

  3. Lee D. Park JH. Lee SS. Cho SH. Park SW. A Clinical Study of Alopecia Areata in Children. Korean J Dermatol. 2004;42(2):131. 

  4. Chong JH, Ihm CW. Clinical Study for Alopecia Areata in Children under 12 Years Old. Korean J Dermatol. 2002;40(7):759-65. 

  5.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ermatology&Surgery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Text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Surgery. Pusan: Sunwoo, 2007:508-11. 

  6. Jang HY, Choi KH, Kim SH, Kwon KR, Kim BW. Bibliographic Studies of Depilation. J Pharmacoacupuncture. 2002;5(2):92-108. 

  7. Ha KS, Song IS, Lee JL, Na HS, Shin JN. A Case Report of Child in Alopecia Totalis. J Korean Orient Pediatr. 2004;18(2):191-200. 

  8. Rho YB. Rho EJ. Illustrations Yuchwibang. Seoul: Publishing Gobang, 2010:18-23. 

  9. Dermatology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Dermatology. Seoul: Yeomungak, 2001:479-80. 

  10. Kim KB, Kim DG, Kim YH,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Yu SA, Lee SY, Lee JY, Lee HJ, Chang GT Chae JW, Han YJ, Han JK. Oriental Pediatrics. Seoul: Uiseongdang, 2010:917. 

  11. Kim UJ, Kim BJ, Ro BI. A Clinical and Psychological Study for Alopecia Areata in Children. Korean J Dermatol. 2003;41(2):179-86. 

  12. Yun JH, Kim KH, Jang SJ, Sin MS. One Case Treated Alopecia Areata with Herbal Acupunture. J Orient Med Surg Ophthalmol Otolaryngol. 2001;14(1):105-10. 

  13. Lee IJ, Kim HJ. The Case Study of Korean Medicine on Patients with Alopecia Areata Accompanied by Atrophodermia. Semyung Orient Med Inst. 2009;12:39-52. 

  14. Jeon WJ, Jeong SH, Han SH, Jeong SH, Shin GJ, Lee WC. The Clinical Observation on 1 Case of Alopecia Areata with Headache. J Korea Inst Orient Med Inform. 2001;7(1):1-7. 

  15. Lim S, Choi GD, Kim SK. The Study about the Comparison of Oriental-Western Medicine on the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Alopecia. J Jeahan Orient Med Acad. 1999;4(1):699-710. 

  16. Park SG, Jo HG, Yang MS, Choi YJ, Kim SJ. Bibliographic Study on Herbal Medicine for Alopecia.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10;24(3):367-72. 

  17. Park WS, Sung DS, Kim DK, Cho WH, Lee WK, Lee CH, Park SK, Sim YC. The Effect of Hair Essence (HHRHG0202-80) Containing Five Herbal Extracts on Hair Growth and the Prevention of Alopecia in Vitro & Vivo. J Korean Orient Med. 2004;25(1):152-60. 

  18. Lee SM, Yi TH, Keum DH. A Clinical Study on 80 Cases of Alopecia Patients in the Oriental Medicine Clinic. J Orient Rehab Med. 2005;15(2):141-54. 

  19. Rho EJ, Kang HY. Gobangyuchwi. Seoul:Publishing Gobang, 2009:404-11. 

  20. Oranje AP, Peereboom-Wynia JD, de Raeymaecker DM. Alopecia Areata in Children. Tijdschr Kindergeneeskd. 1987;55:177-81. 

  21. Mendoza BE. Psychosomatics of Alopecia Areata. An Esp Pediatr. 1987;26:263-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