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tioxidativ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75%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Prunus sargentii.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the branch extract was 277.92 mg/g as the highest level. In the measurement of DPPH rad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잎과 가지의 경우에는 채취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목의 생장에도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벚나무의 잎과 가지 추출물과 산벚나무 수피 부위의 외층인 순수 수피층 (이하 수피)과 내층인 코르크층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항균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의 기초 활성을 비교하여 잎과 가지 부위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벚나무의 수피의 의학적 효능은? 산벚나무의 수피는 벚나무 (Prunus serrulata),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의 수피와 함께 화피 (樺皮)라는 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데 동명의 생약재인 자작나무과 (Betulaceae) 유래의 화피와 구분하여 앵피 (櫻皮)라고도 한다. 효능으로는 청열 (靑熱), 해독 (解毒), 거담 (去痰)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효능을 바탕으로 염증성 질환이나 피부 관련 질환에 빈번히 이용되어 왔다 (Shin, 2006; Kam, 1981; Park et al., 1998).
산벚나무의 수피이며 약재로 사용되는 화피 채취의 단점은? , 2003)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기 때문에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식물인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하지만 화피라는 약재로 이용하는 부위인 수피와 코르크층은 채취가 용이하지 않으며, 과도하게 채취하는 경우 나무의 생장에 영향을 끼치는 등의 위험성을 어느 정도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잎과 가지의 경우에는 채취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목의 생장에도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산벚나무란? 산벚나무 (Prunus sargentii)는 장미과 (Rosaceae) 벚나무속 (Prunus)에 속하는 식물로 산지 조림수, 조경수 및 가로수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산벚나무의 수피는 벚나무 (Prunus serrulata),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의 수피와 함께 화피 (樺皮)라는 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데 동명의 생약재인 자작나무과 (Betulaceae) 유래의 화피와 구분하여 앵피 (櫻皮)라고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 BJ, Cho YJ, Son JH, Park JM, Lee JY and Park TS. (2006). Antioxidant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extract of Prunus sargentii Rehd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49:145-148.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3. Lee HJ, Lee SS and Choi DH. (2003).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 (7)-antimicrobial and antioxidation activities of extractives from the heartwood of Prunus sargentii. Mokche Konghak. 31:16-23. 

  4. Chung HT, Pae HO, Choi BM, Billiar TR and Kim YM. (2001). Nitric oxide as a bioregulator of apoptosi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82:1075-1079. 

  5. Dewick PM. (2002). Medicinal natural products. Wiley & Sons. Chichester, United Kingdom. p.149-151. 

  6. Eom HJ, Kim SM, Pyo BS and Lee KI. (2009). Changes of physiological activity by drying temperature in leaf of Eriobotrya japonica.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40:178-183. 

  7. Han BH and Han YN. (1978). Immunosuppressant activity of cherry bark extract.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9:173-175. 

  8. Im DY and Lee KI. (2011). Antioxidative, antibacterial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Taraxacum coreanum Nakai.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238-245. 

  9. Jung HA. (2002).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the leaves of Prunus serrurata var. spontanea. Pukyu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6-16. 

  10. Jung SW, Lee NK, Kim SJ and Han D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7:891-896. 

  11. Kam WS. (1981). Pharmaceutical botany. National Chinese Medicine Institute. p. 305-306. 

  12. Kang GJ. (2007).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extracts from Prunus yedoensis Matsum barks on the atopic dermatitis-like inflamm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Cheju, Korea. p. 56-60. 

  13. Kim HJ. (2005). Development of tea using flower and young leaf of oriental cherry(Prunus serrurata var. spontanea).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p. 11-12. 

  14. Kim HJ, Heo BK, Baek SH, Park YS and Park YJ. (2006a). Effects of the tea manufacture method on mineral contents and sensory evaluation in flower and young leaf of Prunus serrulata lindl. var. spontanea Max.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9:26-33. 

  15. Kim HJ, Park YJ, Bea KS and Heo BG. (2006b). Component analysis of petals and young leaves for oriental cherry plants.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9:20-25. 

  16. Lee HJ, Lee SS and Choi DH. (2003).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VII)-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ives from the heartwood of Prunus sargentii. Mokchae Konghak. 31:16-23. 

  17. Lee HJ, Lee SS, Choi DH and Atsushi K. (2001).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VI)-Flavonoids in heartwood of Prunus sargentii. Mokchae Konghak. 29:133-139. 

  18. Liu RH. (2004). Potential synergy of phytochemicals in cancer prevention : mechanism of action. Journal of Nutrition. 3479S-3485S. 

  19. Manach C, Williamson G, Morand C, Scalbert A and Remesy C. (2005). Bioavailability and bioefficacy of polyphenols in human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1:230S-242S. 

  20. Marcocci L, Maguire JJ, Droy-Lefaix MT and Packer L. (1994). The nitric oxide-scavenging properties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1.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1:748-755. 

  21. Moreno MIN, Sampietro AR and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ournal of Enthropharmacology. 71:109-114. 

  22. Oh YJ, Seo HR, Choi TM and Jung DS. (2010).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aerial par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373-378. 

  23. Otto F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2:239-243. 

  24. Park ES, Shin MK and Song HJ. (1998). A study on the antiallergic effect of Cortex betula Platyphyllae or Cortex pruni Serrulatae extract. Korean Journal of Herbology. 13:57-68. 

  25. Park JM, Lee JY, Park TS, Park GH, Park KS, Kim TH, Cho YJ, Kwon OJ, Choi KI and An BJ. (2008a). Biological activity investigation, and phenol compounds isolation from barks of Prunus sargentii 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173-182. 

  26. Park JM, Lee JY, Park TS, Hyun SJ, Kim HH, Cho YJ, Kwon OJ, Son AR, Kim DS and An BJ. (2008b). A study on the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runus sargentii 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1:70-78. 

  27. Park JW.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Korea. p. 1-2. 

  28. Park YJ, Kim HJ and Heo BG. (2007).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with of the flower and the young leaf extracts in oriental cherry plants.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0:43-49. 

  29. Radi R, Beckman JS, Bush KM and Freeman BA. (1991). Peroxynitrite oxidation of sulfhydryls, the cytotoxic potential of superoxide and nitric oxid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6:4244-4250. 

  30. Shin MK. (2006).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Younglimsa. Seoul, Korea. p. 399-400. 

  31. Shin KM, Park YM, Kim IT, Hong SP, Hong JP and Lee KT. (2003).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mygdalin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4:223-2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