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동백나무 어린 잎의 페놀류 함량과 항산화 효능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young leaves of Camellia japonica L. in Jeju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0 no.4, 2017년, pp.307 - 311  

정동원 (Toxicology Laboratory, Major in Biomaterials,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  김민영 (Toxicology Laboratory, Major in Biomaterials,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 동백나무 어린메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페놀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메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4.9과 46.1 mg GAE/100 g 및 30.6과 21.4 mg RE/100 g이었다. 또한 추출물들은 DPPH, superoxide와 nitric oxide 라디컬 소거능, chelating 및 환원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로 동백나무 어린 잎이 높은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차후 기능성 식품 및 약물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dentify the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of young Camellia leaves in Jeju.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74.9 and 46.1 mg gallic acid equivalent/100 g, and 30.6 and 21.4 mg RE/100 g in the methanol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체계적인 군락지별 주요성분 함량과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군락지별 비교분석이 절실히 요구되나 국내 재배 지역에 따른 동백나무 어린 잎의 생리활성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과학적 자료 및 증거는 확보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타지역과 달리 독특한 기후 및 토양을 지닌 제주도에서 서식하는 동백나무 어린 잎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기에 본 연구는 제주산 동백나무 어린 잎의 부가가치 향상과 천연항산화제로서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제주 동백나무 어린 잎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백나무가 잘 자라는 기후, 토양적 조건은? )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에서 동백군락지가 주로 온대 남부의 해안 도서지방인 전남, 경남, 제주를 중심으로 많은 분포를 보이는데, 이는 기후와 토양 조건과 연관이 깊은 것으로 생각된다. 도서, 해안지역은 내륙지역보다 2배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부는데 이러한 바람이 엽온을 저하시켜 한여름의 생육장애를 피하게 할 수 있고, 평균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으며 갈색 산림토로 구성되어 있는 지역일수록 동백군락지가 형성되어 있다(Cho과 Kwack1994). 예로부터 차나무가 없는 지역에서 활엽상록수인 동백나무 잎을 차의 재료로 사용하여 왔는데, 동백나무 잎의 약리학적 효과로는 건선, 인후 통증, 화상과 항균, 진경 및 알코올 흡수 억제 등이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Cha등, 2004; Heo 등, 2007; Choi 등, 2010) 천연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 이용가치가 높은 식물로 사료된다.
동백나무의 국내 군락지는?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에서 동백군락지가 주로 온대 남부의 해안 도서지방인 전남, 경남, 제주를 중심으로 많은 분포를 보이는데, 이는 기후와 토양 조건과 연관이 깊은 것으로 생각된다. 도서, 해안지역은 내륙지역보다 2배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부는데 이러한 바람이 엽온을 저하시켜 한여름의 생육장애를 피하게 할 수 있고, 평균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으며 갈색 산림토로 구성되어 있는 지역일수록 동백군락지가 형성되어 있다(Cho과 Kwack1994).
동백나무 잎의 약리적 효과는? 도서, 해안지역은 내륙지역보다 2배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부는데 이러한 바람이 엽온을 저하시켜 한여름의 생육장애를 피하게 할 수 있고, 평균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으며 갈색 산림토로 구성되어 있는 지역일수록 동백군락지가 형성되어 있다(Cho과 Kwack1994). 예로부터 차나무가 없는 지역에서 활엽상록수인 동백나무 잎을 차의 재료로 사용하여 왔는데, 동백나무 잎의 약리학적 효과로는 건선, 인후 통증, 화상과 항균, 진경 및 알코올 흡수 억제 등이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Cha등, 2004; Heo 등, 2007; Choi 등, 2010) 천연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 이용가치가 높은 식물로 사료된다. 하지만 동백나무의 꽃, 열매, 성엽 등의 부위(Choi 등, 2013)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린 동백나무 잎에 대한 성분 및 생리학적 활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차의 원료로 쓰이는 동백나무 잎은 그 채취시기나 부위 및 품종에 따라 효능의 차이가 발생하지만(Kim 등, 2005; Jeong 등, 2014), 이에 대한 명확한 연구가 되어 있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 K, Park SY, Lee JY, Moon JH, Kim EI (2017) Comparison of the phenolic contents of Camellia japonica leaves collected in different regions. J Kor Tea 23(2): 63-67 

  2. Boo HO, Lee HH, Lee JW, Hwang SJ, Park SU (2009) Differe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L. according to cultivars. Korean J Med Crop Sci 17: 15-20 

  3. Cha YJ, Lee JW, Kim JH, Park MH, Lee SY (2004) Major components of teas manufactured with leaf and flower of Korean native Camellia japonica L. Kor J Medi Crop Sci 12: 183-190 

  4. Chan EWC, Lim YY, Chong KL, Tan JBL, Wong SK (2010) Antioxidant properties of tropical and temperate herbal teas. J Food Comp Anal 23: 185-189 

  5. Cho KH, Kwack BH (1994) Ecological significance for wild distributions of Cymbidium goeringii and Camellia japonica in Korea. J Kor Flower Res Soc 3(1):25-34 

  6. Choi BD, Jeon HS, Lee YS, Joo EY, Kim NW (2010)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alystegia japonica leaf extracts. Kor J Food Sci Tech 42: 250-255 

  7. Choi MH, Min MJ, Oh DS, Shin HJ (2013)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amellia japonica extracts for cosmetic applications. KSBB J 28: 99-105 

  8. Heo ID, Seo HJ, Kim JD (2007) Anti-angiogenic and anti-cell adhesion effect of the Camellia japonica flower extract. J Life Sci 17: 1152-1156 

  9. Jain DP, Pancholi SS, Patel R (2011) Synergistic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with some herbs. J Adva Phar Tech Research 2: 177-183 

  10. Jeong MJ (2008)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s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extract. J Kor Soc Food Sci Nutr 37: 1109-1113 

  11. Jeong YS, You YH, Jun WJ (2014) Anti-obesity effects of extracts from young Akebia quinata D. leaves. J Kor Soc Food Sci Nutr 43: 200-206 

  12. Jin SY (2011)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rean and Iranian pomegrana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63-1072 

  13. Kang DH, Kim MY (2015) Comparative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honey and honeycomb extracts. J Life Sci 25:1169-1175 

  14. Kang KM, No HK, Park CS, Youn KS, Hong JH, Lee SH (2012) Antioxidative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shoot extracted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J Kor Soc Food Sci Nutr 41: 1686-1692 

  15. Kawaguchi K, Mizuno T, Aida K, Uchino K (1997) Hesperidin as an inhibi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n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echnol Biochem 61: 102-104 

  16. Kim BS, Choi OJ, Shim KH (2005) Properties of chemical components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according to picking time. J Kor Soc Food Sci Nutr 34: 681-686 

  17. Kim HK, Lee MY, Hong IP, Choi YS, Kim NS, Lee ML, Lee SC (2010)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capacity of several monofloral honey correlation with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Kor J Apic 25: 275-282 

  18. Kim HS, Seong LS (1999) Induction of erythromycin by virginiamycin inducing factor, Virginiae Butanolide C. Korean J Biotechnol Bioeng 14: 682-687 

  19. Kim JH, Jeong GH, Shim KH (2010)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fractions from the leaf of Camellia japonica L. Kor J Food Pres 17: 267-274 

  20. Kim JH, Kim MY (2011) Effect of citrus waste substrate on the production of bioactive component, and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y of Grifola frondosa. Life Sci J 8: 564-571 

  21. Kim MJ, Park EJ (2011) Feature analysis of different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assays and their application to fruit and vegetable samples. J Kor Soc Food Sci Nutr 40(7): 1053-1062 

  22. Kim YD, Mahinda S, Koh KS, Jeon YJ, Kim SH (2009)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of jeju native citrus peel during maturation. J Kor Soc Food Sci Nutr 4: 462-469 

  23. Kim YR, Han JS (2014) Antimicrobial effects of Camellia japonica leaf extract on skin disease-related microorganisms and its antioxidative activity. J Invest Cosmetol 10(1): 13-19 

  24. Lee BG, Kim JH, Ham SG, Lee CE (2014)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or cosmeceutical development from Lagerstroemia indica L. branch. Kor J of Plant Reso 27: 29-34 

  25. Lee SY, Hwang EJ, Kim GH, Choi YB, Lim CY, Kim SM (2005)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ves and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3): 93-100 

  26. Li AN, Li S, Li HB, Xu DP, Xu XR, Chen F (2014)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51 edible and wild flowers. J Func Food 6: 319-330 

  27. Nor Qhairul Izzreen MN, Mohd Fadzelly AB (2013)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different parts of Camellia sinensis leaves from Sabah Tea Plantation in Sabah, Malaysia. Int. Food Res J 20(1): 307-312 

  28. Park MR, Yoo C, Chang YN, Ahn BY (2012) Change of total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and radical scavenging. Kor J Plant Reso 25: 379-386 

  29. Ramakrishna A, Ravishankar GA (2011) Influence of abiotic stress signals on secondary metabolites in plants. Plant Signal. Behav 6: 1720-1731 

  30. Seo Y, Kim C (2015) Fusion-complex activity of Camellia extract. J Digital Conv 13: 431-436 

  31. Siddhuraju P, Mohan PS, Becker K (2002) Studie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ndian laburnum(Cassia fistula L.):a preliminary assessment of crude extracts from stem bark, leaves, flowers and fruit pulp. Food Chem 97: 61-67 

  32. Tsai PJ, Tsai TH, Yu CH, Ho SC (2007) Comparison of NO-scavenging and NO-suppressing activities of different herbal teas with those of green tea. Food Chem 103: 181-187 

  33. Woo JH, Shin SL, Lee CH (2010) Antioxidant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lower species of compositae plant. J Kor Soc Food Sci Nutr 39(2): 159-1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